[K-VIBE] 강성곤의 아름다운 우리말...헛갈리는 표현 쓰기법-①

성도현2 2024. 8. 27. 15: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편집자 주 =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2024년 발표에 따르면 세계 한류 팬은 약 2억2천5백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해 지구 반대편과 동시에 소통하는 '디지털 실크로드' 시대도 열리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한류 4.0'의 시대입니다. 이에 연합뉴스 K컬처 팀은 독자 제위께 새로운 시선의 한국 문화와 K컬처를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 칼럼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시리즈는 매주 게재하며 K컬처 팀 영문 한류 뉴스 사이트 K 바이브에서도 영문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강성곤 전 KBS 아나운서. 현 KBS 한국어진흥원 운영위원·방송통신심의위원회 언어특위위원. 가천대 특임교수

강성곤 KBS 한국어진흥원 운영위원 본인제공

'걸맞는'(X), '걸맞은'(○)

'걸맞다'는 형용사다. '걸맞아', '걸맞으니', '걸맞은' 등으로 활용된다. 형용사에는 '-는'이 오지 않는다. '-는'은 동사에 적합하다. '먹다'가 대표적이다.

'먹어', '먹으니', '먹는' 등의 말은 행위와 동작을 나타낸다.

헛갈리는 이유는 '맞다' 때문인 듯하다. '맞는 것은'이 맞으니까 '걸맞은'이 맞을 것 같은 거다. 그런데 '맞다' 앞에 '걸'이나 '알' 등이 붙으면 형용사로 그 정체성이 바뀐다. 따라서 '걸맞은', '알맞은'이 맞는다.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걸 '과거/현재'처럼 시제로 오인하는 경향도 오류를 부추긴다.

마치 '-는'은 현재 같고, '-은'은 지나간 과거 같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헛갈리지 말자.

'~두어'의 의미

고유어식 표현이 언제나 좋은 건 아니다. 더 큰 가치는 정보의 정확성, 명료성이다. '두어'는 얼마만큼을 말하는가?

적지 않은 사람들이 '2~3'으로 알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두어는 '그 수량이 둘쯤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약 2, 2 남짓, 2 정도. 즉 3에는 못 미친다.

'달포'도 헛갈리기 쉽다. 요즘은 흔히 보기 힘든 표현이라 낯설 수도 있겠다. 달포는 '한 달 보름', 45일 정도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또는 보름과 혼동해 15일, 즉 한 달의 반쯤으로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정답은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그러니까 31~35일 어름이다. 새로 익힌 단어라면 이참에 기억해두도록 하자.

'-데','-대'

'-데'는 자기 생각이다. 자기가 느끼고 경험한 걸 말할 때 쓴다. '-더라'와 같은 의미다.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

"그 친구는 아들만 둘인데."

"고향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데"

'-대'는 인용이다.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다른 이가 말한 걸 전할 때 쓴다. '사람들이 그러는데'가 생략된 걸로 이해하면 쉽다.

"전학생이 아주 잘생겼대"

"그 식당 음식이 맛있대"

"문제가 보기보다 까다롭대"

'너머'와 '넘어'

'산 너머 남촌'을 아시는가? 시인 김동환의 시 제목이기도 하고, 가수 박재란의 노래 가사이기도 하다.

'넘어'와 '너머'를 헛갈리는 사람이 많다. 둘 다 동사 '넘다'에서 왔으나 '넘어'는 '넘다'의 활용형이고 '너머'는 독립된 명사다.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든다면 앞에 목적어 성격의 단어가 오면 '넘어'다. '아시아를 넘어', '고개를 셋이나 넘어' 등이 그 예다. '산 넘어 산'도 '산(을) 넘어'의 형태이기에 '넘어'가 맞다.

"고개를 셋이나 너머"( X )

"고개를 셋이나 넘어" (○)

너머는 '높이나 경계로 가로막은 사물의 저쪽 또는 그 공간'을 뜻한다. 몇몇 예로 '고개 너머에 뭔가 있다', '어깨너머로 배웠다', '지평선 너머로 해가 진다', '들창 너머 물안개가 피어오른다' 등을 들 수 있겠다.

"어깨넘어로 배웠다"( X )

"어깨너머로 배웠다 (○)

이런 설명이 아니더라도 '산 너머 남촌' 같은 시구는 통으로 기억해둬도 좋겠다. 참고로, '어깨너머'는 한 단어로 붙여 쓴다.

'-런지'와 'Lunge'(?)

'할런지', '갈런지', '될런지', '행복했을런지', '사랑했을런지' ( X )

모두 틀렸다. '런지'는 우리말에 없다. 'ㅡ' 모음과 'ㅓ' 모음의 전도 현상이 원인인 듯하다. '른지'는 당연히 아니며, 오직 '는지'만 맞는다.

될는지, 맞을는지, 저지를는지, 영원했을는지 (○)

바른 표현은 위와 같다. '던지'는 과거형에 쓰인다. 어찌나 마음을 졸였던지, 얼마나 고왔던지, 왜 그렇게 비굴했던지 등 추측, 감탄, 의문의 쓰임이다.

뭉뚱그리면 '막연한 의문'을 동반하는 연결어미다. '든지'는 나열과 선택이다.

"냉면이든지 밀면이든지 막국수든지 다 좋아요"

이렇게 나열할 때 조사로 쓸 수 있다. "떠나든지 남든지 어서 결정해라." 선택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미로는 이런 식으로 쓸 수 있다.

단, '든'으로 줄여 쓰면 '건'으로 바꿔도 된다.

'어떻건' = '어떻든'

'좋건 싫건' = '좋든 싫든'

'하든 말든' = '하건 말건'

'건'이 선택을 나타내는 '거나'의 준말이기에 그렇다.

'건지'는 '것인지'의 준말이므로 앞의 어간 다음에 띄어 써야 한다.

'할 건지', '살 건지', '그만둘 건지' (○)

우선 '런지'부터 추방하자. ('런지'는 운동할 때 쓰는 용어)

*더 자세한 내용은 강성곤 위원의 저서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 '한국어 발음 실용 소사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정리 : 이세영·성도현 기자>

raphael@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