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전자증명서 활용, 전년대비 232% 증가…공공데이터 이용건수도 3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주민등록등·초본 등 각종 증명서를 스마트폰으로 발급·제출하는 전자증명서 서비스 활용이 전년도에 비해 2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등록등·초본, 건강보험표 납부확인서 등 각종 증명서를 스마트폰으로 발급·제출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증명서 서비스는 지난해 서비스 활용 실적이 2686만 3406건으로 전년에 비해 232% 대폭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주민등록등·초본 등 각종 증명서를 스마트폰으로 발급·제출하는 전자증명서 서비스 활용이 전년도에 비해 2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문서지갑 발급과 공공데이터 이용건수도 각각 20%, 30% 가량 증가하는 등 디지털정부 서비스가 일상 속에 정착되는 분위기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이 같은 결과를 담은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를 발간했다.
연보에 따르면 디지털정부 분야에서는 전자증명서 활용 건수, 공공데이터 이용 건수 등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주민등록등·초본, 건강보험표 납부확인서 등 각종 증명서를 스마트폰으로 발급·제출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증명서 서비스는 지난해 서비스 활용 실적이 2686만 3406건으로 전년에 비해 232% 대폭 증가했다.
전자증명서를 발급받아 보관하고 유통할 수 있는 전자문서지갑 발급(개인) 건수는 559만 1887건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24시간 365일 필요한 민원을 신청·발급·열람할 수 있는 정부24 서비스 총 이용 건수는 4억 1444만 7066건으로 전년에 비해 8.4% 증가했다.
서비스 이용 유형으로는 '발급'이 39.7%(1억 6451만 1225건)로 가장 많았다. '신청' 38.2%(1억 5851만 4670건) '열람' 22.1%(9142만 1171건) 순으로 집계됐다.
공공데이터 이용 건수는 6116만 9928건으로 전년에 비해 3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업이 필요로 하는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고 양질의 데이터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품질정비, 개선 등 노력이 이어진 덕분이라고 행안부측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도 8만 7682건으로 전년대비 13.5%(1만 410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날 공개한 통계연보는 202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정부조직 △행정관리 △디지털정부 △지방행정 △지방재정 △안전정책 △재난관리 등 8개 분야 총 328개 통계가 수록됐다.
조사에 따르면 주민등록세대는 2391만 4851세대로 전년에 비해 0.88% 증가했다. 전체 세대 중 1인 세대가 993만 5600세대(41.5%)로 세대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인 세대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 19.7%, 60대 18.4%, 30대 16.9%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신문고 신고 건수는 752만 8979건을 기록, 전년에 비해 33.2% 증가했다. 불법주정차 신고가 65.03%로 전년(343만 1971건)에 비해 42.7% 증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대차그룹, 의왕에 전고체 배터리 설비 구축
- 국내은행 부실채권 비율 또 상승···“신용위험 확대 가능성”
- 2025년 국가 예산 677조...R&D는 29조 회복
- '양당 대표 회동' 두고 동상이몽… 韓 '리더십 돌파구' 李 '성과 정치 극대화'
- “IT OLED 시장 겨냥” 머크, 韓 디스플레이 R&D 투자 추진
- 尹 “사이버범죄, 국가안보 위협수준..국제공조 강화해야”
- 벤츠, 전기차 화재 수습 안간힘…하루 100대씩 점검
- 현대차, 美 쏘나타 가격 인하…토요타 '캠리'에 맞불
- 팁스 R&D 지원금 지연 지급 여진…스타트업 “팁스보증대출 도입 고려해야”
- 국산 바이오 소부장 육성 대책 만든다…산업계 “인센티브·규제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