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10년 간 4배 급증...해외판매는 정점 찍고 하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10년 간 해외 직구(소비자가 해외 업체로부터 온라인 업체 등을 통해 필요한 재화를 직접 구매하는 방식) 규모가 4.1배 늘어난 반면 역직구는 2019년까지 상승하다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역직구란 국내 업체가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반면 해외 역직구는 2014년 7000억 원에서 6조 원까지 성장했지만 2019년 성장세가 꺾이면서 지난해 1조7000억 원까지 2023년 1조7000억 원으로까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 간 해외 직구(소비자가 해외 업체로부터 온라인 업체 등을 통해 필요한 재화를 직접 구매하는 방식) 규모가 4.1배 늘어난 반면 역직구는 2019년까지 상승하다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직구는 중국의 한한령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역직구란 국내 업체가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발간하는 2024 유통물류 통계집에서 이같이 밝혔다. 2014년 1조6000억 원이었던 온라인을 통한 해외 직구 규모가 지난해에는 6조7000억 원으로 4.1배 늘었다. 반면 해외 역직구는 2014년 7000억 원에서 6조 원까지 성장했지만 2019년 성장세가 꺾이면서 지난해 1조7000억 원까지 2023년 1조7000억 원으로까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직구시장은 의류·패션잡화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퀀텀 점프를 이뤘고 역직구는 ‘K-뷰티’ 관련 품목 판매가 늘어나다 2017년 중국 한한령(限韓令)으로 꺾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동일 한국유통학회 회장(세종대 교수)은 “2021년까지만 해도 아마존, 베스트바이 등 미국 쇼핑몰을 중심으로 국내 소비자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고 직구에서 미국 비중이 가장 높았다”면서 “알리·테무 등 C-커머스 플랫폼의 글로벌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국내 진출이 본격화됐던 지난해부터는 중국 비중이 높아지면서 직구의 성장 폭이 더욱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중국 역직구에서 화장품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0~90%에 이르는데, 화장품 품목의 역직구 규모가 2020년 4조9000억 원을 정점으로 큰 폭으로 감소한 이후 회복하지 못했다. 대한상의는 “플랫폼을 통한 역직구(수출)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실제 성장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아직 역부족한 상황”이라며 “K-콘텐츠, K-뷰티, K-푸드 등이 한류열풍으로 인기가 높아지는 만큼 경쟁력 있는 품목과 중소기업·소상공인의 플랫폼 진출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물류·마케팅을 포함한 종합적인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