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첫 공개한 ‘자폭형 드론’, 우크라전 투입 염두에 뒀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무인공격기(드론) 성능시험 현지 지도를 보도하며 자폭형 무인공격기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이번에 공개한 자폭형 무인공격기가 이스라엘이 개발한 '하롭'(Harop)에 기반해 개발한 것으로 보이는 '가오리 날개형'과 러시아의 '란쳇' 자폭 드론과 비슷한 '엑스자 날개형' 드론이라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러 무인공격기 군사협력 분석도
북한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무인공격기(드론) 성능시험 현지 지도를 보도하며 자폭형 무인공격기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24일 국방과학원 무인기연구소에서 최근 개발한 무인기의 타격시험을 현지지도했는데 “각종 무인기들은 설정된 서로 다른 항로를 따라 비행하였으며 모두 지정된 표적을 정확히 식별하고 타격소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전략정찰 및 다목적 공격형 무인기들뿐 아니라 전술적 보병 및 특수작전구분대들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자폭형무인기들도 더 많이 개발생산해야 한다”며 “해양국의 특성에 맞게 핵어뢰와 같은 수중전략무기체계들은 물론 각종 자폭공격형수중무인정들도 부단히 개발해야 하며 무인기 개발에서 인공지능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새로 개발한 무인기들의 전술기술적 특성과 제원에 만족을 표시하고 “전투적용 시험을 더 강도 높게 진행해 하루빨리 인민군부대들에 장비(배치)시켜야 한다”고 지시했다.
북한이 자폭형 무인기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북한 매체에는 백색 계열로 도색한 자폭형 무인공격기 2종이 날아가 한국 군의 ‘K-2전차’ 등으로 보이는 모의 표적을 타격해 폭발하는 사진이 실렸다. 북한은 2023년 7월 전승절 열병식에서 ‘샛별-4’ ‘샛별-9’와 같은 무인정찰기나 무인공격기를 공개한 적은 있지만, 자폭형 무인공격기를 공개한 것은 처음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이번에 공개한 자폭형 무인공격기가 이스라엘이 개발한 ‘하롭’(Harop)에 기반해 개발한 것으로 보이는 ‘가오리 날개형’과 러시아의 ‘란쳇’ 자폭 드론과 비슷한 ‘엑스자 날개형’ 드론이라고 분석했다.
이스라엘의 아이에이아이(IAI)사가 개발한 하롭 자폭 무인공격기는 적의 방공방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레이더 기지를 공격하도록 개발되었다. 하롭은 장시간 작전지역에서 체공하다가 적의 레이더 통신 전파가 탐지되면 이를 추적하면서 비행해 레이더 기지나 통신기지를 파괴한다. 이스라엘은 하롭을 이용해 시리아의 대공기지를 파괴한 바 있다.
러시아 방위산업체 잘라 항공그룹(ZALA)이 개발한 엑스자형 날개의 란쳇 자폭 무인공격기는 우크라이나군을 괴롭혀온 대표적인 무기다. 러시아는 란쳇 자폭 무인공격기로 우크라이나군 포병을 집중 공격하고, 자주포, 곡사포, 박격호, 다연장로켓시스템, 하이마스, 통신중계소, 대공방어무기, 전차, 장갑차 등을 공격한다. 최종 공격단계에서 표적 바로 머리 위에서 수직에 가깝게 급강하하거나 낮은 고도로 미끄러지듯 비행해 미리 발견하고 대응하기 매우 어렵다고 한다.
북한이 이 시점에 자폭형 무인공격기를 공개한 배경에 대해 홍민 선임연구원은 세가지 요인을 꼽았다. 우선은 북한 자체 전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북한은 2021년 8차 당대회 때부터 21세기 전쟁의 게임 체인저로 등장한 무인기의 효용성에 일찍부터 관심을 가지고 개발해왔다. 두번째는 현재 진행중인 한미연합훈련과 한·미의 공군력에 대응하면서 한국을 압박하는 심리전의 차원이다. 한·미가 대규모 기동 훈련을 실시했는데, 북한은 자폭용 무인공격기 등으로 언제든 공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세번째는 북·러 군사협력을 염두에 둔 것이다. 홍민 선임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러시아의 무인공격기 의존율이 점점 더 높아져 현재 매년 100만대 이상을 필요료 하는데, 러시아 란쳇은 현재 20만대 정도밖에 생산하지 못한다. 이란산 ‘샤헤드’ 드론을 들여오다가 아예 러시아 내에 공장을 지어서 이란과 협력해 대량 생산까지 하고 있다”며 “현재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 상황을 보면 북한이 러시아와 무인기 협력을 확대해나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박민희 선임기자 minggu@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김건희 조사’ 권익위 국장, 사망 전날 좌천 통보받은 정황”
- 김희영 ‘위자료 20억’ 바로 입금…노소영 “계좌 어떻게 알았나”
- [단독] 공무원증 사진으로 딥페이크 성범죄…군 내부자 연루 가능성
- ‘임신중지권 옹호'로 입장 바꾸는 트럼프
- 119 구조견이 81살 치매노인 살렸다…풀숲에 쓰러진 채 발견
- ‘이진숙 방통위’ 제동 걸렸다…법원, MBC 방문진 이사 효력정지
- [단독] 8층 높이서 에어매트 가장자리에 떨어지자 ‘70도 들썩’
- ‘호텔 화재’ 25살 아들 문자…처음도 끝도 “사랑해 엄마”
- 검찰총장 “수심위 결과 존중할 것”…핵심은 명품가방 ‘직무 관련성’
- ‘셀카왕’ 한동훈의 부천 화재 현장 ‘발연기’ [유레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