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에 구경꾼은 없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스를 전하는 기존 언론의 보도는 '언제·어디서·누가·무엇을·어떻게·왜'의 6하 원칙을 앞세웠다.
언론은 객관성을 견지해야 하니 여러 의견을 두루 듣고 균형을 잡아야 한다는 주장은 보편적으로 설득력을 갖는다.
환경을 훼손해 온 정책의 맥락과 비판, 환경이 파괴되는 구조적 원인,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삶의 방식 언론이 담당해야 할 책무는 이런 정보를 더 많이 더 강하게 알리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변상욱 칼럼]
[미디어오늘 변상욱 언론인]
최근 미디어오늘이 보도한 내용 중 개인적으로 주목한 것은 기후위기와 관련한 기사였다. <지역신문으로 본 폭염·폭우 기후위기의 현장>, <기후위기는 왜 인권의 문제일까?>, <22대 국회 기후약자 보호 법안 발의 “기후위기 취약계층 개념 도입”> 등 환경의 위기와 재앙이란 주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기자와 매체는 지극히 부족한 게 현실이다. 당연히 환경오염, 기후위기를 다루는 '환경 저널리즘'도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반가운 기사들이었다.
뉴스를 전하는 기존 언론의 보도는 '언제·어디서·누가·무엇을·어떻게·왜'의 6하 원칙을 앞세웠다. 언론은 객관성을 견지해야 하니 여러 의견을 두루 듣고 균형을 잡아야 한다는 주장은 보편적으로 설득력을 갖는다. 그러나 지구에 닥쳐 온 자연의 파괴 및 기후 위기를 중단하고 저지해야 한다는 목표를 가진 환경 관련 기사는 객관성과 공평무사함을 모시기 힘들다.
환경과 기후의 위기를 보도하려면 '재앙이 닥쳐 올 지도 모르고 어쩌면 이미 다가와 있고, 우리는 어떻게 해야만 한다'로 쓰게 된다. 그리 쓰지 않을 수 없다. 무엇이 더 급하고 무엇이 더 중요한 지 판단해 급히 알려야 한다. 생활 방식과 사고와 정책을 바꾸고 때론 뒤집자고 외쳐야 한다. 그러지 않고 객관성 공정성을 따지며 느긋하고 유유자적한다면 직무의 유기이고 자기기만으로 비판받을 수도 있다. 환경저널리즘에 들어서면 '중립'이나 '객관성'은 구경꾼들의 몫이 아니냐는 도전에 부딪힌다. 뒷짐 지고 이것저것 살피며 적당히 중간쯤에 자리 잡고 지켜보는 건 구경꾼이지 환경감시 저널리스트일 수 없다는 비판이다.
물론 정확한 자료나 실제 사례가 있다면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미래에 닥칠 위기와 재앙에 저널리즘이 맞서려면 상당 부분 상상력과 감정이입이 필요한데 그 지점에서 '객관성'을 떠올리며 멈추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환경문제에 대한 깊은 공감과 해결을 위한 적극적 개입, 멈추지 않는 의지와 끈기마저 필요하다. 위기대응을 운동가의 몫으로만 돌릴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감상적인 치우침이 아니라 저널리스트의 세계관이다.
포털에서 '기후위기'를 키워드로 최근 일주일 간 등장한 취재기사들을 검색해 보았다. <[지금은 기후위기] “더 뜨거웠던 적도 있었다”의 함정>, <'기후위기'란 말 시큰둥한가요? 당신만 그런 건 아닙니다>, <“산불이 산불을 낳는다”… 기후 위기 '악순환'에 고통받는 지구촌> 3건의 기사가 눈에 띄었다.
그 밖에 기사 건수로 가장 많았던 기후위기 보도는 경기도 관련 내용이다. <경기도, 인공위성 활용 기후위기 대응 공개 포럼 연다>, <기후위성 발사 발표 경기도, 인공위성 활용한 기후위기 대응 공개 포럼>, <경기도, '기후위성 발사' 추진… 인공위성 활용 기후위기 대응 포럼>, <[경기] 경기도, 27일 인공위성 활용한 기후위기 대응 공개포럼>, <캐나다 BC주에 소개된 김동연표 기후위기 대응정책 '똑버스'>.
정치권과 관련된 기사들도 있다. <우원식 의장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속도… 기후위기 대응 전면화”>, <당정 “기후위기로 민생 부담… '기후플레이션' 대응 혁신방안 연내 마련”>, <국민의힘, '기후물가' 당정토론회 개최… “기후위기로 인한 물가상승 대응해야”>, <與 김소희 “기후위기, 밥상물가에 미치는 영향 잡겠다”>. 기업 비즈니스나 산업박람회 소식들도 등장했다. <기후 위기 대응 최신 기술 집결…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내달 개막>, <“최신 기술로 기후 위기 대응”… 기후산업국제박람회 9월 개최>, <“기술로 기후 위기 대응”… 기후산업국제박람회 9월 개최>, <'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다음 달 개최>, <글로벌·기후위기… 아산나눔재단, '정주영 기금' 운용 방향성 개편>.
폭염 속에서 기후위기 보도가 가장 많이 쏟아져 나오고 관심 있게 읽힐 시기지만 언론 보도는 이 정도 양에 이 정도 수준이었다. 환경을 훼손해 온 정책의 맥락과 비판, 환경이 파괴되는 구조적 원인,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삶의 방식… 언론이 담당해야 할 책무는 이런 정보를 더 많이 더 강하게 알리는 것이다.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원석 ‘김건희 무혐의 수긍 못했나’ 질문에 “수사팀 존중…바깥 의견 들어야” - 미디어오
- [단독] 유진, 폐지된 YTN 프로그램인데 “운영 중, 확대할 것”…방통위는 승인 - 미디어오늘
- 검찰 수사심의위 간 김건희 명품백 논란, 동아 “도이치모터스 의혹도” - 미디어오늘
- 최민식이 틀렸다? 영화관람료 비싸 극장 떠난다 - 미디어오늘
- 키오스크 어려워 ‘문전박대’ 당하는 어르신들, 정부 대책은? - 미디어오늘
- 틱톡에서 뉴스를? 美 젊은 세대 절반은 뉴스 보기 위해 틱톡 접속 - 미디어오늘
- 구글, 뉴스사용료 압박에 캘리포니아 언론에 2억5000만 달러 지원 - 미디어오늘
- 방통위, 방송 재허가 ‘시청자 의견’ 듣는다… MBC 운명은? - 미디어오늘
- 아직도 5·18 북한군 침투설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 미디어오늘
- 이진숙 방통위가 선임한 KBS 이사, ‘이승만기념재단’ 추진위원이었다 - 미디어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