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화학·이동통신' SK 기틀 닦은 최종현 선대회장

최유빈 기자 2024. 8. 26. 0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 선대회장 26주기…섬유에서 시작해 IT강국 초석 다져
폐암수술을 받은 최종현 SK 선대회장(가운데)이 IMF 구제금융 직전인 1997년 9월, 산소 호흡기를 꽂은 채 전경련 회장단 회의에 참석, 경제위기 극복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SK
"우리의 섬유산업을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석유화학공업에의 진출이 불가피한 것이며 더 나아가 석유정제사업까지도 성취해야 하겠습니다."

1998년 8월26일 세상을 떠난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이 남긴 말이다. 그는 '산업보국'이라는 정신 아래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던 대한민국을 '무자원 산유국'으로 만들었다. 석유부터 섬유까지 수직 계열화를 완성한 데 이어 세계 최초 CDMA(코드분할다중접속)을 개발해 ICT(정보통신기술) 강국의 기틀을 닦았다.

최종현 선대회장은 1962년 선경직물에서 이사로 재직하며 그룹 경영에 뛰어들었다. 그는 1970년대 두 차례 석유파동을 겪으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무자원 산유국' 프로젝트를 선언했다.

1975년 최종현 선대회장은 신년사에서 두 가지를 강조했다. 첫 번째는 석유에서 섬유에 이르는 완전 계열화였고 두 번째는 경영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섬유공업에서 석유정제사업에 이르는 방대한 규모를 성취해 나가는 데에는 수억 달러에 달하는 자본력과 고도의 전문지식과 기술이 필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국제적 기업으로서 손색없는 경영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1983년 인도네시아 카리문 광구 지분 참여를 시작으로 석유개발 사업을 본격화했다. 국내 민간기업이 해외 자원개발에 뛰어든 첫 사례였다.

자원 개발 산업은 순탄치 않았다. 석유개발 사업은 큰 비용을 들여 탐사에 성공해도 수익으로 돌아오기까지 10~20년 이상 소요되고 성공 가능성은 5~10%에 불과해 우려하는 시각도 많았다.
최종현 선대회장이 1991년 울산콤플렉스에서 주요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SK
유공(현 SK어스온)은 첫 프로젝트와 이듬해 참여한 아프리카 모리타니아 광구 개발 모두 실패했다. 1984년 7월 북예멘 마리브 광구에서 원유를 발견, 1987년 12월 하루 15만배럴의 원유 생산을 시작했다. 대한민국이 무자원 산유국 대열에 오르는 순간이었다. 1991년 울산에 합성섬유 원료인 파라자일렌(PX) 제조시설을 준공함으로써 꿈에 그리던 수직 계열화를 완성했다.

최종현 선대회장은 자원개발에 실패해도 임직원들을 문책하지 않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얀마 자원개발이다. 1989년 미얀마에서 시작한 초대형 프로젝트가 1993년 총 7447만달러를 쏟아붓고 철수했어도 "우리는 장사꾼이 아니라 기업인이고 자원개발 사업이란 본래 1~2년 내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번 실패에 대해서는 말도 꺼내지 말라"고 직원들을 다독였다.

최종현 선대회장은 인간 존중의 경영관을 강조했다. 자원개발 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장 잘 할 수 있는 전문가에게 전권을 맡겼다. 수직 계열화에 성공한 뒤에도 도전은 계속됐다. 정보통신 분야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은 최종현 회장은 미국 ICT 기업들에 투자하고 현지법인을 설립해 이동통신사업을 준비했다.

앞선 준비 끝에 1992년 압도적 격차로 제2이동통신사업자에 선정됐지만 특혜 시비가 일자 사업권을 자진 반납했다. 2년 뒤 문민정부 시절인 1994년 한국이동통신 민영화에 참여, 이동통신사업에 진출했다. 당시 주당 8만원 대이던 주식을 주당 33만5000원에 인수하기로 하자 주변에서 재고를 건의했지만 최종현 회장은 "이렇게 해야 나중에 특혜시비에 휘말리지 않을 수 있다"며 "앞으로 회사 가치를 더 키워가면 된다"고 직원들을 설득했다.
최종현 선대회장이 1986년 한국고등교육재단 장학생들에게 장학증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SK
국내 최초로 경영시스템을 정립한 것도 최종현 선대회장이다. 그는 기업이 대형화·세계화되고 사회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주먹구구식 경영으로는 지속가능한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1979년 고민 끝에 SK의 경영철학과 목표, 경영방법론을 통일되게 정의하고 업무에 똑같이 적용할 수 있도록 SK경영관리시스템(SKMS·SK Management System)을 정립했다.

최종현 선대회장이 정립한 SKMS는 경영환경과 사회적 요구에 맞춰 개정을 거듭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SK그룹은 지난 6월 '경영전략회의'에서 SKMS를 주요 경영회의체에 토론 의제와 중점 과제로 정해 각 사별 실천 활동을 공유하며 고도화하고 있다.

장남 최태원 회장은 지난 21일 이천포럼에서 "SKMS는 그룹의 많은 멤버사와 구성원들에게 공통적인 교집합 역할을 한다"며 "변화의 시기를 맞을 때마다 SKMS를 다시 살펴보며 우리 그룹만의 DNA를 돌아보고 앞으로 가야 하는 길의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유빈 기자 langsam41@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