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아지는 '폭발물 테러'… 일상의 공간이 위험하다 [뉴스+]

안경준 2024. 8. 25. 22: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허위 폭발물 테러 예고가 잦은 가운데 광주의 한 병원에서 실제 사제폭탄 테러가 일어났다.

해당 남성은 3억원을 빌려 주식과 옵션에 투자했으나 손실만 보고 빚 독촉에 시달리자 미리 풋옵션 상품에 투자한 뒤 폭발물을 터트려 주가하락을 꾀해 수익을 챙기려 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 연세대 기계공학과 B씨는 논문을 작성하면서 지도교수에게 심한 질책과 함께 모욕감을 느끼는 발언을 듣고 테러 계획을 세운 것으로 파악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치과 치료 불만·스토킹 등 동기도 가지각색
지도교수에 앙심 대학원생이 폭발물 설치
주가 변동 차익 노리고 테러 황당 사건도

최근 허위 폭발물 테러 예고가 잦은 가운데 광주의 한 병원에서 실제 사제폭탄 테러가 일어났다. 피의자는 해당 병원 환자로, 보철치료 이후 통증이 이어지자 분풀이성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에도 주가하락, 스토킹 등 황당한 이유로 폭탄 테러가 일어났다.

23일 광주 서부경찰서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1시14분쯤 서구 치평동 한 건물 3층에 위치한 치과병원 출입구에서 정체불명의 종이 상자가 폭발했다. 폭발한 상자는 방석보다 작은 크기로, 그 안에는 부탄가스 4개와 인화물질이 담겼을 것으로 추정되는 플라스틱 통이 함께 묶여 있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치과 병원과 이 건물 4층 한방병원 관계자, 환자 등 90여명이 대피했다.
광주 서구 한 치과병원에서 폭발한 정체불명의 종이상자. 연합뉴스
경찰은 용의자인 A(79)씨를 폭발물 테러를 한 혐의(현주건조물방화)로 체포했다. A씨는 피해 병원의 환자로, 해당 병원에서 지난달 중순부터 5차례 진료를 받았다. 그는 보철(크라운) 치료를 받은 후 계속 흔들리는 이를 고정하는 시술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가 계속 흔들리자 병원에 항의를 하는 등 갈등을 빚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 조사에서도 “통증이 심해 화가 나 범행을 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도 테러 사건은 종종 있었다. 2011년에는 주가 하락을 노리고 서울역과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사제 폭탄을 터트리는 황당한 사건이 있었다. 해당 남성은 3억원을 빌려 주식과 옵션에 투자했으나 손실만 보고 빚 독촉에 시달리자 미리 풋옵션 상품에 투자한 뒤 폭발물을 터트려 주가하락을 꾀해 수익을 챙기려 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폭탄은 부탄가스와 폭죽 화약, 타이머 등을 이용해 만들었다. 이후 그는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교수에게 앙심을 품고 대학에 폭발성 물질을 설치한 대학원생도 있었다. 2017년 연세대 기계공학과 B씨는 논문을 작성하면서 지도교수에게 심한 질책과 함께 모욕감을 느끼는 발언을 듣고 테러 계획을 세운 것으로 파악됐다. B씨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제1공학관 479호실 앞에 폭발성 물질을 설치해 지도교수의 얼굴 등에 2도 화상을 입혔다.
2017년 서울 신촌 연세대 1공학관 김모 교수 연구실에서 터진 ‘테러의심’ 폭발물.
이 사건에선 범행도구가 ‘폭발물’ 인지에 대해 경찰과 검찰의 판단이 달랐다. 경찰은 범행 도구가 위력적인 ‘사제 폭발물’이라고 판단했으나 검찰은 폭발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봤다. B씨가 제작한 폭발성 물질은 폭죽 화약과 0.5㎝ 크기의 나사못, 텀블러 등으로 구성됐다. 이를 감싸고 있는 종이상자 뚜껑과 내부에 있는 자석을 낚싯줄로 연결해 상자를 열면 화약이 터지도록 만들어졌다.

폭발물로 규정되기 위해서는 불특정 다수에게 상당한 피해를 입힐 정도의 살상력이 입증돼야 한다. 폭발성 물건은 구동 방식은 폭발물과 유사할지라도 위력이 다수 대중에게 위협적이 않을 때 적용된다. 이 사건에서 실제 폭발이 발생했을 당시 연소만 일어나 김 교수가 화상 외 다른 부상은 입지 않았기에 검찰은 ‘폭발성 물건’으로 해석했다.

최근에는 관심을 가진 이성 친구가 자신과의 만남을 거절했다는 이유로 폭발물을 들고가 터뜨린 사건이 있었다. 2020년 전주시 덕진구의 한 아파트 3층에서 C씨가 폭발물을 터뜨려 현장의 유리창이 깨지고 굉음이 났다. C씨는 중학교 동창으로 알려진 여성이 만남을 거절하자 폭발물을 들고 찾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C씨는 여성의 가족이 집에서 나오는 것을 보고 폭발을 일으켰지만 C씨의 왼쪽 손목 일부가 절단됐다.

안경준 기자 eyewher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