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공백 내몰린 비수도권 시민들 “정부가 지역의료 붕괴 방치”
병원 문 닫으며 인력 유출도
“유일한 답은 공공의료 강화”
경남 양산시 웅상지역에 사는 진재원씨(45)는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세 자녀가 다치기라도 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노심초사하며 지낸다. 지난 3월 지역 내에서 유일하게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하던 웅상중앙병원이 문을 닫은 이후 차로 30분 거리에 있는 종합병원이 가장 가까운 곳이 됐다. 진씨는 25일 “차라도 있으면 다행인데 그렇지 않은 지역의 어르신들이 병원에 가는 방법은 40분에 한 대씩 오는 버스뿐”이라며 “어렵게 부산이나 울산에 있는 병원까지 가더라도 응급실 문턱도 못 넘어가고 돌아와야 한다고 걱정하는 주민이 많다”고 말했다.
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이 6개월째 이어지면서 비수도권에 사는 시민들은 수도권보다 더 극심한 의료공백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정부가 의대 증원을 추진하며 내세운 ‘지역의료 강화’가 길어진 의·정 갈등으로 무색해지면서 “정부가 지역의료 붕괴를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들은 ‘공공의료 강화’가 빠진 의료개혁은 지역의료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없다고 했다. 진씨는 10년 전에도 이미 한 차례 종합병원이 폐원해 1년여간 의료 공백을 겪었다고 했다. 해당 병원은 가까스로 인수자를 찾아 문을 열었지만 10년을 채 못 버티고 수익성을 이유로 다시 문을 닫았다. 진씨는 “공공이 역할을 해줘야 하는데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모두 아무 행동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의료 체계를 지켜오던 공공병원이 사라지면서 의료 인력 유출이 심화된다는 우려도 이어진다. 광주에 사는 16년 차 간호사 김승연씨(38)는 지난 10년간 일해온 광주제2시립요양병원에서 지난해 말 일자리를 잃었다. 적자가 크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적자가 쌓였지만 운영 정상화를 위한 지원은 없었다.
김씨는 의료 공백의 피해자이기도 했다. 그는 “광주 내 종합병원인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기독병원 모두 동쪽에 5분 거리로 몰려있어 다른 구에서 응급사고가 나면 가뜩이나 골든타임 안에 소생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런 불균형에 대해 이미 5년도 훨씬 전부터 이야기가 나왔지만 아무런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던 것”이라고 말했다.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지난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을 찾아 이 같은 목소리들이 담긴 ‘지역의료 공백 해결을 촉구하는 의료취약지역 주민들의 요구안’을 대통령실 관계자에게 전달했다. 현장에 모인 지역주민과 의료계 종사자 200여명은 “의대 증원 이슈에 지역의료 문제는 실종됐다”며 “지역의료를 위한 유일한 답은 공공의료”라고 주장했다.
김송이 기자 songy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료 공영주차장 알박기 차량에 ‘이것’ 했더니 사라졌다
- ‘블랙리스트’ 조윤선 서울시향 이사 위촉에 문화예술계 등 반발
- [전문] 아이유, 악플러 180명 고소…“중학 동문도 있다”
- 미납 과태료 전국 1위는 ‘속도위반 2만번’…16억원 안 내고 ‘씽씽’
- 고작 10만원 때문에…운전자 살해 후 차량 불태우고 달아난 40대
- 평화의 소녀상 모욕한 미국 유튜버, 편의점 난동 부려 검찰 송치
- “내가 죽으면 보험금을 XX에게”···보험금청구권 신탁 내일부터 시행
- 경북 구미서 전 여친 살해한 30대…경찰 “신상공개 검토”
- 가톨릭대 교수들 “윤 대통령, 직 수행할 자격 없어” 시국선언
- 김종인 “윤 대통령, 국정감각 전무·현실인식도 부족” 혹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