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 사태 미정산금 1조3천억…업체 2%에 피해액 88% 집중

김세훈 기자 2024. 8. 25. 17: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티몬·위메프(티메프) 피해 판매자와 소비자들이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티몬 사무실 앞에서 검은 우산 집회를 열고 있다. 이들은 현금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파산이나 회생을 검토할 수 밖에 없는 사정이라고 밝히며 정부가 내놓은 지원책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권도현 기자

이커머스 업체 티몬·위메프(티메프)의 미정산금액이 최종 1조3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정부가 파악했다. 전체 피해업체의 2%에서 피해액의 90% 가까이가 발생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3일 티메프 사태 관련 관계부처 TF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조사에 따르면 위메프와 티몬이 판매업체에 지급하지 못한 미정산금액 총액은 1조3000억원으로, 총 피해업체 수는 약 4만8000곳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19일 미정산액을 8188억원으로 집계하면서 추후 정산일이 돌아오는 대금까지 합치면 총 1조3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이날 발표한 액수가 사실상 티메프 사태로 인한 최종 미정산액이다.

전체 피해업체의 약 90.4%는 미정산금액이 1000만원 미만이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피해금액이 100만원 미만인 업체(69.3%)가 가장 많았고, 이어 100만~1000만원(21.1%), 1000만원에서 1억원(7.6%) 수준이었다.

미정산 금액이 1억원 이상인 업체는 전체의 2.1%(981곳) 수준이었다. 다만 이들의 미정산금액은 전체 미정산 규모의 88%를 차지했다. 30억원 이상 피해를 본 업체는 74곳으로 전체 피해업체의 0.2%에 불과하지만, 피해액은 6759억으로 전체 피해금액의 52.9%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디지털·가전분야(29.0%)에서 피해액이 가장 컸다. 이어 상품권(25.2%), 식품(10.0%), 생활문화(8.8%), 패션·잡화(6.3%), 여행(6.2%)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65.9%)과 인천·경기(21.5%)에 피해가 집중됐다. 이어 대전·충청(3.2%), 부산·경남(3.0%), 광주·전라(2.9%) 순이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및 신보와 기업은행을 통한 금융지원 지급결정 누계액은 지난 21일 기준 350억원이다. 앞서 기재부는 총 1조6000억원의 유동성 공급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향후 대출금리 인하 등 피해업체의 자금조달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인터파크 커머스 등 PG업을 겸영하지 않는 이커머스 업체의 미정산 피해도 TF에서 논의됐다. 티메프 사태 이후 중소 이커머스 업체들에서도 미정산 피해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공정위를 중심으로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기재부는 “정산주기 축소, 판매대금 별도 관리 등 입법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며 “조만간 대규모유통업법 개정 등 제도개선안 주요 골자를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