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아리아나 그란데까지 모셔오더니…"막을 자 없다" 독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보기술(IT) 업계와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경쟁했던 팬덤 플랫폼 시장에서 위버스가 독주하고 있다.
네오위즈가 팬덤 사업을 추진했던 자회사를 처분했다.
현재 네오위즈의 팬덤 플랫폼 앱인 '팹'은 다른 자회사인 티앤케이팩토리가 2022년 양수해 운용하고 있다.
IT 업계에선 네오위즈가 지난해 게임 'P의 거짓'으로 비디오 게임 시장에서 성장동력을 찾는 데 성공했던 만큼 상대적으로 사업 확장이 어려운 팬덤 시장에 투자할 만한 유인이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이브의 위버스, 해외 아티스트 영입
'카카오와 협업' 디어유는 美·日 공략
정보기술(IT) 업계와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경쟁했던 팬덤 플랫폼 시장에서 위버스가 독주하고 있다. 네오위즈가 팬덤 사업을 추진했던 자회사를 처분했다. 네오위즈를 비롯한 IT 업체들이 플랫폼 확장 대신 기반 사업인 소프트웨어에 집중하는 쪽으로 노선을 바꾸면서 팬덤 플랫폼이 엔터 업계의 독무대가 됐다.
팬덤에서 발 빼는 IT
25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오위즈는 자회사인 네오위즈랩을 지난 2분기 매각했다. 지난 14일 공개한 반기보고서에도 계열사 목록 중 네오위즈랩을 삭제했다. 네오위즈랩은 네오위즈의 팬덤 플랫폼 사업을 맡아왔다. 현재 네오위즈의 팬덤 플랫폼 앱인 ‘팹’은 다른 자회사인 티앤케이팩토리가 2022년 양수해 운용하고 있다. 네오위즈 관계자는 이번 자회사 매각 배경에 대해 “본업인 게임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네오위즈는 팬덤 시장 진출을 위해 그간 공을 들여왔다. 2022년 아티스트 ‘이달의소녀’를 영입하는 데에 성공하기도 했다. 하지만 자체 아티스트가 없는 게임 업체인 네오위즈가 외부 아티스트를 꾸준히 영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IT 업계에선 네오위즈가 지난해 게임 ‘P의 거짓’으로 비디오 게임 시장에서 성장동력을 찾는 데 성공했던 만큼 상대적으로 사업 확장이 어려운 팬덤 시장에 투자할 만한 유인이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엔씨소프트도 지난해 팬덤 사업에서 발을 뺐다. 이 게임사는 팬덤 플랫폼인 유니버스를 SM엔터테인먼트가 최대 주주로 있는 디어유에 지난해 1월 매각했다. 같은 해 5월엔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위해 운영했던 자회사 클렙의 지분 66.67%도 모두 팔아치웠다. 네이버도 팬덤 플랫폼으로 쓰였던 동영상 서비스인 브이라이브를 2022년 위버스컴퍼니에 영업양도했다. 위버스컴퍼니는 하이브의 자회사로 네이버가 2021년에 이 회사 지분 49%를 4118억원에 사들였다.
위버스, MAU 1000만명 회복
팬덤 플랫폼 시장을 차지한 건 위버스컴퍼니가 운영하는 플랫폼 앱인 위버스다. 위버스는 지난 6월 월간활성이용자(MAU) 1000만 명을 확보했다. 지난 1분기 920만 명까지 떨어졌다가 1000만 명대 회복에 성공했다. 앱 다운로드 수는 지난 6월 기준 1억5500만 회다. 아티스트 수급에 고전했던 IT 업체들과 달리 방탄소년단(BTS)을 비롯한 하이브 아티스트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었던 점이 강점이었다.
해외 시장 확장도 성공적이다. 위버스 접속자의 해외 비중은 90%가 넘는다. 소속 아티스트 152팀 중 137팀이 하이브 소속이 아닐 정도로 외연도 넓어졌다. 지난달엔 미국 가수 아리아나 그란데를 영입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위버스컴퍼니는 올 4분기 중 멤버십 카드, 동영상 오프라인 저장, 광고 제거 기능을 추가한 유료 구독 서비스를 도입해 수익 다각화를 하겠다는 구상이다.
위버스의 위상에 도전할 만한 경쟁자는 디어유가 운영하는 ‘버블’이다. SM엔터의 최대주주인 카카오가 지난 2월 카카오톡에서 버블 구독권 판매를 시작하면서 디어유를 지원하고 있다. 디어유는 지난 5월 미국 법인을 세우고 현지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6월엔 일본 서비스를 시작했다. 다만 최근 일부 아티스트의 이탈로 유료 구독자 수가 200만명 초반대에서 정체한 점, 카카오의 사법 리스크 등은 악재다. 분기 매출도 지난해 4분기 209억원을 기록한 뒤 지난 1분기 203억원, 2분기 191억원으로 줄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빚내서 전기차 사업에 5억 베팅했는데…" 잭팟 터진 '이 회사'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 "우리도 매출 터졌다"…프로야구 '역대급 흥행'에 난리 난 곳
- "2000만원대에 테슬라 살래" 인기 폭발…전기중고차 '불티' [테슬람 X랩]
- "각진 턱 만들어준다"…韓 시들한데 美 Z세대 사이에 유행 [이슈+]
- "나 검사인데" 구속영장 내밀더니…1511억 챙긴 보이스피싱 조직
- 통장에 1000만원 넣고 1년 뒤 받은 돈이…"이자 쏠쏠하네"
- 종부세 때문에 일부러 집 팔았는데…"이럴수가" 분통
- '국민 영웅' 아니었어?…'매국노 사기꾼' 반전 실체에 '화들짝'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 34평을 46평으로…아파트 불법 개조한 1층 입주민 '황당'
- 현대차 야심작 곧 나오는데…"계약 취소할래요" 날벼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