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난 당뇨 위험군 있다…'생활 습관' 하나만 고쳐도 발병 늦춰

박정렬 기자 2024. 8. 23. 09: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전적으로 당뇨병 위험이 큰 사람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전적 요인이 있으면 인슐린 분비 능력의 더 빠른 속도로 감소해 장기적으로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크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 교수와 이현석 서울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연구원은 지역사회 당뇨병 코호트에 등록된 6311명을 2001~2016년간 총 7회 추적 관찰한 결과와 이들의 DNA 정보를 바탕으로, 당뇨병의 유전적 위험에 따른 인슐린 분비 능력의 장기적 변화 양상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정렬의 신의료인]
당뇨병 없는 성인 6311명 다유전자 위험점수 및 인슐린 분비 기능 분석
유전적 고위험군 인슐린 분비 기능 더 빨리 줄어…30년 후 2배 차이
건강한 생활 습관 실천 시 인슐린 분비 기능 감소 속도 늦춰져


유전적으로 당뇨병 위험이 큰 사람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전적 요인이 있으면 인슐린 분비 능력의 더 빠른 속도로 감소해 장기적으로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크다. 하지만, 이런 당뇨병 고위험군도 운동, 금연, 충분한 수면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면 감소 속도가 더뎌지는 것으로 파악돼 '자기 조절'이 중요하다는 게 의학계의 조언이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 교수와 이현석 서울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연구원은 지역사회 당뇨병 코호트에 등록된 6311명을 2001~2016년간 총 7회 추적 관찰한 결과와 이들의 DNA 정보를 바탕으로, 당뇨병의 유전적 위험에 따른 인슐린 분비 능력의 장기적 변화 양상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제2형 당뇨병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분비 능력이 떨어져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이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 등으로 유병인구가 증가하면서 2022년 국내 사망원인 8위를 차지하는 등 보건사회학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당뇨병 고위험군을 미리 선별하고 이들에 맞춤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관건으로 꼽힌다.
인슐린 분비 능력, 고위험군이 25% 더 낮아
당뇨병의 유전적 위험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다유전자 위험점수'는 당뇨병 발생의 주요 예측 지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인슐린 분비 능력과도 연관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 점수와 장기적인 인슐린 분비 능력의 변화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이제껏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당뇨병이 없는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유전체분석을 실시해 당뇨병 관련 유전자변이 여부를 확인한 후, 다유전자 위험점수를 계산해 △고위험(상위 20%) △중간위험 △저위험(하위 20%)을 구분하고 장기 추적 관찰했다.

당뇨병 유전적 위험에 따른 인슐린 분비능력의 변화 그래프. 고위험군은 저위험군보다 1.83배 빠른 속도로 인슐린 분비능력이 감소했다./사진=서울대병원


첫 번째 당부하검사(공복 상태로 포도당 75g을 섭취하고 2시간 후 혈당 농도를 평가하는 당뇨병 진단 검사 방법) 결과를 비교한 결과, 유전적 고위험군일수록 인슐린 분비 능력이 낮았다. 저위험군에 비해 중간위험 및 고위험군은 인슐린 분비 능력이 각각 14%, 25%씩 낮았다.

장기적으로 변화 폭도 컸다. 연구팀이 14년에 걸친 당부하검사를 비교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인슐린 분비 능력이 점차 감소했지만, 고위험군의 감소 폭이 가장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의 인슐린 분비 능력 감소 속도는 1.83배 빨랐다. 다 유전자 위험점수를 활용해 인슐린 분비 능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당뇨병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 교수와 이현석 서울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연구원.


이번 연구에서 당뇨병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유전자 위험점수와 함께 5가지 건강한 생활 습관(건강한 식단, 운동, 금연, 체중 관리, 충분한 수면) 실천 여부에 따라 인슐린 분비 능력 감소 속도를 비교했더니 '모든 '유전적 위험 그룹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은 인슐린 분비 능력 감소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됐다. 특히 유전적 고위험군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한 가지 더 실천할 때마다 10년 후 인슐린 분비 능력이 4.4%씩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곽수헌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발병 후 심각한 인슐린 결핍이 예상되는 환자를 유전정보에 따라 선별하고, 조기 개입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생활 습관 개선이 당뇨병 예방이나 발병 지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고위험군일수록 생활 습관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향후 유전자 기반 정밀 의료가 발전해 환자 맞춤형 당뇨병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분야의 국제학술지 '당뇨병 관리'(Diabetes Care) 최근호에 게재됐다.

박정렬 기자 parkjr@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