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인스타·구글에 사로잡힌 10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외 빅테크의 한국 정보기술(IT) 플랫폼시장 잠식이 가속화하고 있다.
유튜브 등 외산 애플리케이션(앱)들이 국내 사용자들의 '시간'을 압도적으로 점유하면서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모바일인덱스 데이터로 국내 10대 이하(만 19세 이하)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시간(8월 12~18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유튜브, 인스타그램, 구글 크롬 등 외산 앱이 총 사용시간 1~3위를 싹쓸이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대 최애 1~3위 모두 외산
외국 플랫폼 쏠림현상 심화
해외본사서 유해콘텐츠 관리
즉각 대응 어려워 피해 우려
네카오앱은 20대이상서 애용
해외 빅테크의 한국 정보기술(IT) 플랫폼시장 잠식이 가속화하고 있다. 유튜브 등 외산 애플리케이션(앱)들이 국내 사용자들의 '시간'을 압도적으로 점유하면서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미래 핵심 소비층인 10대 사용자의 외산 플랫폼 편중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매일경제가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에 의뢰해 집계한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8월 2주 차(8월 12~18일) 국내 스마트폰 전체 앱 사용시간 순위에서 유튜브가 1위를 차지하며 독주를 이어가고 있다. 해당 기간 유튜브 총 사용시간은 4억5691만시간으로 2위인 카카오톡(1억1654만시간)과 4배에 가까운 격차가 났다. 8월 1주 차(8월 5~11일)와 비교하면 유튜브 사용시간은 약 382만시간 늘어난 반면 카카오톡은 334만시간가량 줄어들어 차이가 더 벌어졌다. 같은 기간 3위인 네이버 앱의 사용시간은 8320만시간에서 8098만시간으로 감소했다.
한 달에 최소 한 차례 서비스를 쓴 사람 수를 의미하는 월간활성사용자수(MAU) 집계에서도 유튜브가 작년 12월 이후 8개월째 1위에 올라 있다. 지난달 기준 유튜브 MAU는 4580만8803명으로 2위와 3위인 카카오톡(4500만4079명)과 네이버(4308만7420명)를 제쳤다. 구글 크롬과 구글 포털 앱도 5위권에 들며 구글의 존재감이 갈수록 커지는 형국이다. 지난달 구글 크롬 MAU는 3676만6463명, 구글 포털은 3430만9901명으로 각각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새롭게 주목할 점은 한국 10대들의 외산 플랫폼 치중 현상이다. 모바일인덱스 데이터로 국내 10대 이하(만 19세 이하)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시간(8월 12~18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유튜브, 인스타그램, 구글 크롬 등 외산 앱이 총 사용시간 1~3위를 싹쓸이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메신저 포함)로 범위를 좁혀보면 10대의 외산 앱 편중이 더욱 두드러진다. 같은 기간 10대의 인스타그램(SNS 부문 1위) 총 사용시간은 2280만시간으로 3위인 카카오톡(1074만시간)의 2배 이상에 달했다. 인스타그램은 만 14세부터 가입할 수 있으며 카카오톡은 가입 연령에 제한이 없다. 특히 X(옛 트위터·1147만시간)가 8월 들어 사용시간에서 카카오톡을 밀어내고 2위에 오른 것이 눈에 띈다. 10대들이 선호하는 짧은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앞세운 외산 SNS가 카카오톡을 밀어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쇼츠(유튜브)' '릴스(인스타그램)' 등 숏폼 영상을 킬러 콘텐츠로 젊은 사용자층을 강력하게 '록인'하는 것이 외산 플랫폼들 전략이다. 요즘 10대는 카카오톡 대신 인스타그램 내 메시지 전송 기능인 '다이렉트 메시지(DM)'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IT업계 일각에서는 외산 앱의 10대 대상 사용시간 점유율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청소년들이 지나치게 선정적인 SNS 콘텐츠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외산 플랫폼의 경우 청소년 유해 콘텐츠 대응 등이 쉽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문제가 되는 콘텐츠에 대한 심의가 해외 본사에서 이뤄지고 있는 데다 세계적으로 유해 콘텐츠가 워낙 많다 보니 대응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청소년 유해 콘텐츠를 차단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차단 조치가 나오기 전까지 그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황순민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 여성 아니었으면 ‘스타 임영웅’ 없었다…손대는 것마다 ‘흥행’ [신기자 톡톡] - 매일경제
- 김희영 “노소영과 자녀들께 진심으로 사과”...위자료 20억 항소 안한다 - 매일경제
- “인민을 사랑하는 김정은 총비서님”…최재영 목사가 창간 참여한 온라인 매체 수사 - 매일경
- “이게 말이 되나”…공무원연금 월 100만원도 안되는데 기초연금 못받아 - 매일경제
- “먹고살기 힘들다고, 연금 80% 대신 내주네”…국민연금 ‘이 제도’ 뭐길래[언제까지 직장인] -
- 수박 아니었어?…알고보니 종이 뭉치 속 67억원어치 마약이 - 매일경제
- “속도는 1000배 비용은 50분의 1?”…엔비디아 ‘이것’에 전세계 기상청 ‘발칵’ - 매일경제
- [속보] 광주 치평동 치과서 도착한 택배 폭발…90여명 긴급 대피 - 매일경제
- “100세대에 할 것”…파주 신축 아파트에 험악한 낙서, 대체 무슨 의미? - 매일경제
- “또 만났네” 한국, WBC에서 일본 호주 체코와 한 조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