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월평균 연금액 65만 원…20%는 20만 원 미달
2022년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의 연금액은 월평균 65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보다는 조금 많지만 1인 노후 최소 생활비에는 크게 미달하는 수준이다.
특히 미취업자의 절반, 무주택자 넷 중 하나는 연금에 전혀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2일 이런 내용의 ‘2022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11종의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분석한 결과다.
2022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18만2000명으로 연급 수급률은 90.4%였다.
연금 수급률은 전년(90.1%)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연금 수급자가 늘면서 수급률 역시 2016년 이후 지속해서 상승세다.
연금을 2개 이상 수급한 수급자 비율은 36.0%로 전년(34.4%)보다 상승했다.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전년(60만 원)보다 8.3% 늘어난 65만 원이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월 62만3368원)보다는 조금 많지만 개인 노후 최소 생활비(국민연금연구원·124만3000원)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
연금 수급액은 25만∼50만 원대가 40.4%로 가장 비중이 컸고 50만∼100만 원(27.5%), 25만 원 미만(19.9%) 등 순이었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74만5000원, 미등록자는 61만1000원의 연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률은 각각 92.3%, 89.7%였다.
주택을 소유한 수급자의 수급액은 82만5000원, 무주택 수급자는 50만8000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90.9%, 90.1%로 집계됐다.
18∼59세 연금 가입률은 80.2%로 전년(78.8%)보다 상승했고 2개 이상 중복 가입률은 32.2%로 전년(32.3%)보다 소폭 하락했다.
월평균 보험료는 31만8000원으로 전년(32만9000원)보다 3.2% 감소했다. 통계 표본이 확대된 점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18∼59세 등록 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4.5%로 월평균 36만4000원의 보험료를 냈다.
반면 미등록자의 연급 가입률은 50.8%에 그쳤다. 이들이 낸 월평균 보험료는 14만5000원이었다.
18∼59세 주택 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91.4%, 월평균 보험료는 41만3000원이었다. 주택 미소유자의 가입률은 75.5%, 월평균 보험료는 27만 원으로 집계됐다.
연금 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16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2016년 458만8000명에서 지속 증가해 2021년 593만2000명을 기록했고 2022년 600만 명을 넘겼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435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마찬가지로 매년 증가세다. 2016년(252만6000명)과 비교하면 1.7배 수준으로 늘었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7만9000원, 국민연금이 41만3000원으로 나타났다.
직역연금이 252만3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퇴직연금은 158만3000원, 농지연금 130만6000원, 주택연금 121만6000원 등이었다.
2022년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가입자는 각각 2162만8000명, 740만6000명으로 나타났다. 중복가입을 포함한 전체 가입자 수가 2382만6000명임을 고려할 때 두 연금 가입자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국민연금이 22만3000원, 개인연금이 27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가입 기간별로는 국민연금은 10∼20년 가입 후 수급자(214만7000명), 직역연금은 30년 이상 가입 후 수급자(26만5000명)의 비중이 컸다.
가구로 보면 연금 받는 사람이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는 619만 가구다. 수급률은 95.6%로, 월평균 83만8000원을 받는다.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수급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수급가구)는 28만8000가구로 나타났다.
1인 가구 중에 연금을 받는 가구는 185만7000가구다. 월평균 58만 원을 받는다.
1인 연금 수급가구의 수급액 구성비는 25만∼50만 원대가 5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50만~100만 원(29.2%), 25만 원 미만(5.4%) 순이었다. 연금을 받지 않는 가구는 11만7000가구다.
조해동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건강했던 명문대 대학원생 딸”…양재웅 운영 병원 사망 가족, 고인 사진 공개
- ‘청담동 술자리 의혹’ 첼리스트 “태어나서 윤석열·한동훈 본 적 없어”
- “내 정자, 50만 원에 판매중”…억만장자의 고백
- “내가 왜 잡혀가”…술 취해 경찰 폭행한 ‘빙그레 3세’ 재판행
- [속보]아파트 흡연장서 70대 이웃 때려 숨지게 한 20대 체포
- 음주 운전하다 사고 내고 숲으로 도망…어떻게 잡혔나
- 아무리 주차공간이 없었어도…철로에 차 놓고 간 젊은 남녀
- 군부대 교회 女화장실서 발견된 몰카…설치한 사람은 목사
- “아내 포함 42명 살해·유기” 연쇄살인 용의자, 감방 쇠창살 끊고 도주
- “제가 왜 출국금지죠?”…파출소 찾아온 외국인 남성의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