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월평균 연금 65만원 받는다···미취업자 절반은 연금 없어

김윤나영 기자 2024. 8. 22. 12: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5세 이상 10명 중 9명 연금 수급
18~59세 연금보험료 월평균 31만8000원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지난달 11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휴식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2년 65세 이상 연금수급자들이 월평균 연금으로 65만원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보다는 조금 많지만, 노후생활비로는 여전히 부족해 ‘용돈’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미취업자의 절반, 무주택자 4명 중 1명은 연금에 전혀 가입하지 않아 노후 보장 사각지대에 놓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2일 ‘2022년 연금통계’ 자료를 통해 2022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라도 받은 65세 이상 인구는 1년 전보다 41만4000명 늘어난 818만2000명이라고 밝혔다. 65세 이상 인구 중 연금 수급자 비율은 90.4%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늘어났다. 연금을 2개 이상 받은 인구는 36.0%였다.

통계청 제공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가 받은 월평균 수급금액은 65만원으로 1년 전(60만원)보다 8.3% 늘어났다. 이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인 월 62만3368원보다는 많지만, 국민연금연구원이 추산한 개인 노후 최소 생활비인 124만3000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연금별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7만9000원, 국민연금이 41만3000원이었다.

연금 수급자가 받은 중위 수급금액(수급액 순으로 나열시 정중앙에 있는 값)은 41만9000원이었다. 월평균 25만~50만원을 받는 65세 이상 인구가 40.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50만~100만원(27.5%), 25만원 미만(19.9%) 순이었다.

남성은 여성보다 연금수급액이 1.7배 정도 많았다. 남성은 월평균 84만2000원, 여성은 48만6000원을 받았다. 성별 연금 수급률은 남성 95.1%(376만8000명), 여성 86.8%(441만4000명)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수급액이 많았다. 65~69세는 월평균 75만9000원, 70~74세 67만1000원, 75~79세 60만4000원, 80세 이상은 51만5000원을 받았다. 반면 연금 수급률은 연령이 높을수록 많았다. 65~69세는 수급률이 88.9%였고, 70~74세 90.0%, 75~79세 91.9%, 80세 이상은 92.0%였다.

일자리를 구했거나 주택을 보유한 사람일수록 수급액이 많았다. 65세 이상 인구 중4대 보험을 제공하는 일자리에 취직 중인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연금 74만5000원을 받았지만, 미등록자는 61만1000원을 받았다. 주택소유자는 월평균 82만5000원을, 미소유자는 50만8000원을 받았다.

18~59세 인구 중 연금 가입자는 80.2%(2382만6000명)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가입자 수가 9만9000명 늘었고, 보험료로 한달 평균 31만8000원을 냈다. 월평균 보험료는 국민연금이 22만3000원, 개인연금이 27만3000원이었다. 보험료는 개인이 내는 금액과 직장·국가에서 부담하는 부담금을 합한 금액이다.

18~59세 중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거나 주택이 없는 상당수는 노후보장 사각지대에 놓였다. 18∼59세 등록 취업자의 94.5%는 연금에 가입했고 보험료로 월평균 36만4000원을 냈다. 반면 미등록자의 연급 가입률은 50.8%에 그쳤고, 월평균 14만5000원을 보험료로 냈다. 18∼59세 주택 소유자의 91.4%는 연금에 가입했고 보험료로 월평균 41만3000원을 냈다. 반면 주택 미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75.5%에 그쳤고 월평균 보험료로 27만원을 냈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