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우의 간신열전] [248] 색은행괴(索隱行怪)

이한우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 2024. 8. 21. 23: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승님께서는 괴이한 일, 힘, 도리를 어지럽히는 것, 귀신[怪力亂神]에 대해서는 말씀하지 않으셨다.”

‘논어’ 술이편에 나오는 말이다. 스승이란 공자이다.

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괴력난신(怪力亂神) 이 네 가지를 행하려고 하는가? 한 마디로 그렇게 하면 사람들 눈과 귀를 쉽게 붙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풀이가 ‘중용’에 실려 있다. 공자가 말했다.

“(도리가 아니라) 은벽(隱僻)한 것을 찾고 괴이한 짓[索隱行怪]을 행하면 후세에 혹시 이름이 날 수도 있겠지만 나는 그런 짓을 하지 않으련다. 군자라는 사람들 중에도 도리를 좇아 행하다가 중도에 그만두는 일이 있는데 나는 그만둘 수가 없다. 군자는 중(中)하고 용(庸)하는 것에 의지하여 세상에 숨어 지내어 알려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후회하지 않는 것이니 오직 빼어난 이[聖人]만이 그렇게 할 수 있다.”

괴력난신은 바로 과유불급(過猶不及)의 과(過)를 말하는 것이고 중도에 그만두지 않는 것은 용(庸), 즉 상(常)이다. 중용(中庸)은 명사가 아니라 두 개의 동사다.

색은행괴(索隱行怪)하는 이유는 유명해지고 싶어서다. 우리 역사에서는 이황(李滉)이 김시습(金時習)을 평하여 색은행괴했다고 비판한 적이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기인(奇人)이나 이인(異人)에 대해 이런 평을 했으니 지금 관점에서는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다.

그러나 공자 본뜻으로 돌아가면 우리 정치를 이해하는 데 분명 도움을 준다. 최근에 끝난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거는 한 마디로 괴력난신(怪力亂神) 색은행괴(索隱行怪) 그 자체였다. 마치 누가 더 심하게 괴력난신하는지, 누가 더 충격적으로 색은행괴하는지, 눈 뜨고 보기 힘든 저질 경연장이었다. 한때 색은행괴의 상징과도 같았던 정봉주 후보조차 극히 정상적으로 보인 선거였으니 무슨 말을 더하랴! 물론 국민들 관심은 거의 없었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