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독도 방어훈련 비공개 실시…일본 정부 "유감" 항의(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 당국이 21일 독도방어훈련을 비공개로 실시했다.
군 당국은 매년 두 차례 독도 인근에서 실시하는 독도방어훈련을 '동해영토수호훈련'이라고 부른다.
이날 훈련은 작년 12월 실시된 독도방어훈련과 유사한 규모로 진행됐다.
현 정부 들어 진행된 독도방어훈련이 모두 비공개로 진행된 것도 일본의 이런 반응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도쿄=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경수현 특파원 = 군 당국이 21일 독도방어훈련을 비공개로 실시했다.
군의 한 관계자는 "오늘 동해영토수호훈련을 동해상에서 실시했다"며 "영토와 국민 재산 보호를 위해 정례적으로 이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매년 두 차례 독도 인근에서 실시하는 독도방어훈련을 '동해영토수호훈련'이라고 부른다.
이 관계자는 "1년에 두 번 동해영토수호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지침이어서 올해 안으로 한 번 더 실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훈련은 작년 12월 실시된 독도방어훈련과 유사한 규모로 진행됐다. 해군과 해경 함정이 참여했으며, 해병대 병력의 독도 상륙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정부 들어 독도방어훈련은 이번이 다섯 번째이며, 앞선 네 차례 훈련도 비공개로 진행됐다.
과거 군 당국은 공군 전투기와 해병대 상륙 병력까지 동원하고 사전에 훈련 계획을 알리면서 공개적으로 비교적 큰 규모로 독도방어훈련을 실시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현 정부 들어서는 매번 비교적 작은 규모로 실시하면서 언론에도 사전에 알리지 않고 있다.
독도방어훈련은 1986년 처음 시행됐고, 2003년 이후에는 매년 두 차례로 나눠 정례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독도방어훈련이 알려질 때마다 일본은 우리 정부에 항의했다.
현 정부 들어 진행된 독도방어훈련이 모두 비공개로 진행된 것도 일본의 이런 반응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번 훈련에 대해서도 외교 경로를 통해 항의했다.
NHK에 따르면 외무성 나마즈 히로유키 아시아대양주국장은 김장현 주일 한국대사관 정무공사에게 전화를 걸어 "다케시마(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명칭)는 역사적 사실에 비춰봐도 국제법상으로도 분명히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억지 주장을 펴고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으며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
주한 일본대사관도 한국 외교부에 비슷한 내용의 항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hoj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김준호·김지민, 7월 결혼…"웃음 가득 부부 될 것" | 연합뉴스
- 尹 "빨리 직무 복귀해 세대통합 힘으로 한국 이끌겠다" | 연합뉴스
- 서해안고속도로 행담도 휴게소 부근서 남성 2명 투신해 실종 | 연합뉴스
- 착륙중 여객기 뒤집힌 델타항공, 승객당 4천300만원 보상금 제시 | 연합뉴스
- 대구 수성못에 9억원짜리 공중화장실 등장…스페인 건축가 작품 | 연합뉴스
- 경찰, '거액 세금 추가납부' 이하늬 탈세 등 의혹 내사 | 연합뉴스
- 대낮 천변서 낚시꾼들 난투극…맨손은 실형·흉기는 집유 왜? | 연합뉴스
- 연세대·서울대 이어 고려대서도 '尹 탄핵' 찬반 시위 | 연합뉴스
- [샷!] 개그우먼 김신영이 뭇매 맞은 까닭은 | 연합뉴스
- '강제 입맞춤' 前스페인 축구협회장 1심 벌금형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