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도 인구 유입…‘공공형’ 일자리로 선순환
[KBS 부산] [앵커]
'인구소멸 도시'라는 수식어를 안게 된 부산에서 요즘 '위기'라는 말이 자주 들립니다.
정말 부산은 인구가 빠져나가기만 하는 곳일까요.
부산의 인구 이동 특성과 산업 구조를 세심하게 연계하면,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 고성에서 나고 자란 김초롱 씨, 대학을 부산에서 다니고, 일자리도 부산에서 찾았습니다.
생활하기도, 일을 하기도 부산이 더 낫다는 생각이었습니다.
[김초롱/직장인/경남 유입 : "출퇴근이나 이런 여러 부분에서 너무 만족하면서 잘 지내고 있어서 계속해서 부산에서 일하고 지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부산과 울산, 경남 3개 시·도 간 인구 이동을 살펴봤더니, 울산과 경남으로 꾸준히 빠져나가던 인구가 2년 전부터 '순 유입'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구직 등을 이유로 수도권으로 떠나는 부산 사람은 많지만, 적어도 동남권 안에서는 부산으로 들어오는 인구가 더 많아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부산으로 유입된 울산, 경남 인구의 취업 현황을 통계청 고용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습니다.
2016년 이후, 부동의 1, 2위는 소매업과 음식업.
전통적인 자영업 도시의 특성이 반영됐습니다.
눈에 띄는 건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의 증가세입니다.
2019년 처음으로 상위 5대 산업에 포함된 이후, 3년 전부터 꾸준히 3위에 올랐습니다.
'교육서비스업'도 취업자 수가 많은 주요 산업입니다.
사회복지와 교육업, 이들 두 업종은 고용 안정성이 높은 '공공형' 일자리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김민수/'교육업' 종사자/경남 유입 : "교육기관 자체, 교육과 관련된 서비스를 받기에 (부산이) 훨씬 나은 상황이라서 동남권 내에서는 사실 부산이 최우선적으로 떠오르는 게 사실이었습니다."]
하지만 공공형 일자리에 대한 인식과 지원은 부족한 실정입니다.
[손지현/신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경남 쪽에서 인구 유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이 아닌 경남에서 일할 때 직접적으로 20~30만 원 정도의 소득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인구를 안정적으로 (부산)지역 내에 유지시키는 동력이 떨어진다는 걸 보여주는 거죠."]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못지 않게, 양질의 일터에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게 하는 것도 인구 감소의 속도를 늦추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김기태/그래픽:조양성/자료조사:옥민지
이이슬 기자 (eslee31@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태풍 대피령에도 물놀이…안전불감증 심각
- 낮 기온 떨어졌는데 밤 기온 그대로…이유는?
- 이틀 연속 ‘땅꺼짐’에 주민 불안…“지난해 이후 9번째”
- “‘쓰레기 풍선’이 파괴한 활주로, 이렇게 복구한다”
- [단독] 의주비행장 검역시설 철거…북중 관계 여파? 군 비행장 기능 복원?
- 승강기서 야구방망이로 여성 폭행…20대 남성 구속
- [단독] 장애인연맹 임원 ‘갑질’ 신고하자 오히려 ‘역징계’?
- “탕후루 인기 절정엔 월 매출 8천만 원”…지속 기간은?
- “코로나19 이달 말까지 유행…고위험군 보호 집중”
- 이젠 ‘옷’만으론 안 된다…우리 섬유의 과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