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도 인구 유입…‘공공형’ 일자리로 선순환
[KBS 부산] [앵커]
'인구소멸 도시'라는 수식어를 안게 된 부산에서 요즘 '위기'라는 말이 자주 들립니다.
정말 부산은 인구가 빠져나가기만 하는 곳일까요.
부산의 인구 이동 특성과 산업 구조를 세심하게 연계하면,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 고성에서 나고 자란 김초롱 씨, 대학을 부산에서 다니고, 일자리도 부산에서 찾았습니다.
생활하기도, 일을 하기도 부산이 더 낫다는 생각이었습니다.
[김초롱/직장인/경남 유입 : "출퇴근이나 이런 여러 부분에서 너무 만족하면서 잘 지내고 있어서 계속해서 부산에서 일하고 지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부산과 울산, 경남 3개 시·도 간 인구 이동을 살펴봤더니, 울산과 경남으로 꾸준히 빠져나가던 인구가 2년 전부터 '순 유입'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구직 등을 이유로 수도권으로 떠나는 부산 사람은 많지만, 적어도 동남권 안에서는 부산으로 들어오는 인구가 더 많아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부산으로 유입된 울산, 경남 인구의 취업 현황을 통계청 고용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습니다.
2016년 이후, 부동의 1, 2위는 소매업과 음식업.
전통적인 자영업 도시의 특성이 반영됐습니다.
눈에 띄는 건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의 증가세입니다.
2019년 처음으로 상위 5대 산업에 포함된 이후, 3년 전부터 꾸준히 3위에 올랐습니다.
'교육서비스업'도 취업자 수가 많은 주요 산업입니다.
사회복지와 교육업, 이들 두 업종은 고용 안정성이 높은 '공공형' 일자리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김민수/'교육업' 종사자/경남 유입 : "교육기관 자체, 교육과 관련된 서비스를 받기에 (부산이) 훨씬 나은 상황이라서 동남권 내에서는 사실 부산이 최우선적으로 떠오르는 게 사실이었습니다."]
하지만 공공형 일자리에 대한 인식과 지원은 부족한 실정입니다.
[손지현/신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경남 쪽에서 인구 유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이 아닌 경남에서 일할 때 직접적으로 20~30만 원 정도의 소득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인구를 안정적으로 (부산)지역 내에 유지시키는 동력이 떨어진다는 걸 보여주는 거죠."]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못지 않게, 양질의 일터에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게 하는 것도 인구 감소의 속도를 늦추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김기태/그래픽:조양성/자료조사:옥민지
이이슬 기자 (eslee31@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통계’로 본 탕후루 인기 유효기간…인기 절정 땐 8천만 원 매출
- “유치원생에 초3 수학을”…강남 유치원 실태조사 결과 보니
- 백중사리에 인천 소래포구 침수 우려…“내일 새벽 최고 수위”
- 질병청 “코로나19 감염 다음달부터 감소할 듯…고연령 보호 필요”
- “140만 원 내고 마셔본 커피 맛?”…커피도 사치 열풍 [이슈픽]
- 유리창 깨지고 손님들 ‘혼비백산’…대낮에 SUV가 카페로 돌진
- 한국어 교가 또 울렸다…한국계 교토국제고 고시엔 첫 결승 진출 [이런뉴스]
- 91살 생일엔 ‘스카이 다이빙’이지 [이런뉴스]
- 손가락 6개, 큰 주먹? AI 광고모델, 거부감일까 비용 절감일까 [이런뉴스]
- [영상] “끼어들어 화났다” 도로 위 분노의 총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