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사 '셀비온' IPO 돌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 전문 기업 셀비온은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IPO) 일정에 본격 돌입했다고 21일 밝혔다.
김권 셀비온 대표이사는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의약품청(EMA)의 승인을 받은 테라노스틱 방사성의약품들이 시장에 출시되며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셀비온은 코스닥 상장을 기반으로 신약 개발에 속도를 올릴 계획"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 진단·치료 후보물질 임상2상 진행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 전문 기업 셀비온은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IPO) 일정에 본격 돌입했다고 21일 밝혔다.
셀비온의 총 공모주식수는 191만1000주로, 주당 공모 희망가는 1만~1만2200원이다. 회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약 233억원(희망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다. 오는 9월 5일부터 11일까지 5영업일간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9월 20일부터 23일까지 일반청약을 받는다. 10월 중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상장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
셀비온은 지난 2010년 설립해 방사성의약품 치료제과 진단제 개발, 방사성의약품 생산을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주요 파이프라인은 전립선암 치료제 'Lu-177-DGUL'와 진단제 'Ga-68-NGUL'를 활용한 전립선특이세포막항원(PSMA) 표적의 전립선암 테라노스틱(Theranostics) 방사성의약품이다. 테라노스틱이란 '치료(Therapeutics)'와 '진단(Diagnostics)'의 합성어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하는 약물을 의미한다. 특정 질병에 대한 진단과 그에 맞는 치료법을 한 번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환자에게 맞춤화된 치료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해당 방사성의약품은 진단용 동위원소 'Ga-68'를 통해 암환자 몸에 있는 암세포의 정확한 위치와 분포를 파악하고, 이를 치료용 동위원소 'Lu-177'로 치환해 진단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기전이다.
특히 현재 치료제 'Lu-177-DGUL'은 국내 임상 2상을 진행 중으로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 이 신약후보물질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으로부터 임상단계 신약과제로 선정됐으며 식약처로부터 2021년에는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2023년에는 GIFT(글로벌혁신제품 신속심사 품목)로 지정 받은 바 있다. 이에 회사는 임상2상 완료 후 조건부허가를 통한 국내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셀비온은 동아에스티의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 전문 계열사 앱티스와 지난 4월 항체 기반 방사선의약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김권 셀비온 대표이사는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의약품청(EMA)의 승인을 받은 테라노스틱 방사성의약품들이 시장에 출시되며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셀비온은 코스닥 상장을 기반으로 신약 개발에 속도를 올릴 계획"이라고 했다.
권미란 (rani19@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평 22억대'…디에이치 방배 견본주택 가보니
- 너무 잘 나가는 HMM…산은·해진공 깊어지는 '민영화' 고민
- [르포]방배동 언덕 위 거대단지…실거주의무 없다고?
- 10대 건설사 중 6곳, 상반기 대금지급 지연 발생
- [공모주달력]전진로봇건설‧케이쓰리아이 상장…기관물량 주의
- "외국인 들어온다"…호텔업계, 투자 확대 나섰다
- SK그룹 제약사, 동남아에 바이오인프라 까는 이유는
- '최고 3.5%' 파킹통장…다시 예금 끌어오는 저축은행
- 현대로템, 계약부채 2조 시대 눈앞…넉넉한 자금원에 '든든'
- [카카오페이 공방전]①금감원 vs 카카오페이…정보유출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