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진짜 문제는 플라스틱이 아니야 [북적book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 여성 해양생물학자가 어쩔 줄 몰라하는 바다거북의 코에서 조심스럽게 빨대를 끄집어내는 영상은 단기간 조회수 1억100만회를 기록했다.
그는 시뻘건 피가 뚝뚝 떨어지는 기다란 플라스틱 빨대를 카메라 가까이 비추는데, 이 장면은 시청자들에게 그 자체로 강력한 잔상을 남겼다.
플라스틱이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에 엄청난 위협을 가하고 있지만, 플라스틱만이 우리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도전은 아니라는 의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분별 토지 이용·동식물 과소비 지적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한 여성 해양생물학자가 어쩔 줄 몰라하는 바다거북의 코에서 조심스럽게 빨대를 끄집어내는 영상은 단기간 조회수 1억100만회를 기록했다. 그는 시뻘건 피가 뚝뚝 떨어지는 기다란 플라스틱 빨대를 카메라 가까이 비추는데, 이 장면은 시청자들에게 그 자체로 강력한 잔상을 남겼다.
아니나 다를까.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젠켄베르스 자연사박물관이 방문자들에게 가장 끔찍한 환경 문제가 뭐라고 생각하는지 묻자 가장 많은 사람들이 ‘플라스틱 쓰레기’라고 답했다. 어디서든 보고 접하는 플라스틱 문제는 다른 환경 관련 주제들에 비해 사람들의 머릿속에 더 분명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생물학자인 카트린 뵈닝게제와 저널리스트 프리데리케 바우어는 신간 ‘종의 소멸’에서 생물다양성을 가장 많이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 ‘무분별한 토양 이용’과 ‘과도한 동식물 이용’을 꼽는다. 플라스틱이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에 엄청난 위협을 가하고 있지만, 플라스틱만이 우리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도전은 아니라는 의미다.
인간은 지난 수천 년 동안 지표면을 바꿨다. 농업용 면적이 무자비하게 늘었고, 숲은 지나치게 벌목됐다. 집·도로·다리·철도·공장이 끊임없이 들어섰다. 독일 카를스루에 있는 기술연구소 연구원들이 개발한 지도를 보면, 단 60년 만에 전 세계 토지의 3분의 1이 어떤 형태로든 변했다.
그런데 개발은 어디에서나 똑같이 이뤄지지 않았다. 글로벌 노스(Global North·북반구에 위치한 선진국)는 대략 2006년 이후부터 개발을 멈췄지만,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북반구의 저위도나 남반구에 위치한 개발도상국과 신흥국)는 지금도 계속해서 자연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다.
예컨대 현재 아프리카 케냐에는 숲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불과 50년 사이 인구가 600만명에서 5600만명으로 급증하면서 토양 부식이 일어났고, 땅의 1~2%만이 숲으로 추정될 지경에 이르렀다. 라틴아메리카 페루를 찍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위성 사진을 보면, 우림 한 중간에 거대한 ‘금빛 물줄기’가 보일 정도다. 금을 채굴하려고 팠다가 물이 채워진 구덩이들이다. 옛 동독, 콜롬비아, 미국, 베트남에선 마치 달의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버려진 탄광을 볼 수 있다.
생물다양성을 훼손하는 또 다른 주요 원인은 인간이 생물 종의 번식 속도보다 더 빨리 그들을 소모한다는 점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무자비한 어획이다. 어망은 바닥에서부터 끌어올리는데, 이때 게와 불가사리 등 다른 많은 해양 동물이 함께 딸려 올라온다. 일부는 갑판에서 죽고, 나머지는 인간에게 ‘돈이 안 된다’는 이유로 다시 바다로 던져진다. 인간이 바다에서 사냥을 할 때는 이처럼 인정사정없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두 저자는 “매년 600조톤이라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자연자원이 사라지고 있다. 이는 40여년 전에 비해 두 배나 많은 수치”라며 “추세가 이어진다면, 곧 숲의 황폐화와 맞물려 동물과 식물의 다양성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동식물 멸종 시계는 빨라지고 있다. 수 십년 내 지구 상의 동식물 약 800만종 가운데 100만종이 멸종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략 77년 후에는 더 이상 우림이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바다는 이미 21세기 중반에 텅텅 빌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계산은 과학적 논쟁의 대상이지만, 이런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로 이미 대단히 우려스러운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종의 소멸/카트린 뵈닝게제·프리데리케 바우어 지음/이미옥 옮김/에코리브르
dsu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유빈과 셀카가 죄?” 북한 선수들 ‘히죽히죽 웃음’ 처벌 가능성
- '이혼 후 열애 그리고 결별' 황정음 "그럴 자격 있어" 의미심장 글
- "이정재 믿고 2천억 썼는데"…망한 '이 작품' 2는 안만든다
- "남편이 16살 연하 알바생과 바람피웠다"...폭로한 전처 피소 위기, 왜?
- 욕하면서 본다?…‘미성년자 성폭행’ 고영욱 유튜브, 조회수 30만·구독자 5000명↑
- "최민식, 출연료 기부는 하고 티켓값 내리라 하나" 비판한 교수
- '부조리 폭로' 안세영, 협회 조사 불응…대신 장미란 만났다
- “돈가스에서 2㎝ 머리카락 나왔다” 주장에…‘환불 거부’한 사장님, “내 머리카락은 3㎜”
- 박지성·김민지 부부 결혼 10주년 자축…"당신을 존경합니다"
- 평점 5점 만점에 4.9점…성시경의 ‘경탁주 12도’, 또 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