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의 맛과 섬] [204] 신안 증도 농게간장게장

김준 전남대 학술연구교수 2024. 8. 20. 23: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려 13세기 침몰한 ‘마도1호선’에서 발견된 농게 껍질이 담긴 옹기와 죽찰./국립해양유산연구소 태안해양유물전시관 도록

고려조와 조선조에 개경이나 한양으로 가던 많은 조운선이 안흥량을 지나다 침몰했다. 그곳은 조운로 중 험하기로 소문난 뱃길이다. 오죽했으면 난행량이라 불렀으며, 무탈하게 지날 수 있도록 지명마저 안행량이라 바꿨을까. 800여년 후 발굴된 침몰선에서 ‘죽산현’이라 적힌 ‘죽찰’이 발견되었다. 죽산현은 오늘날 해남 지역이며, 죽찰은 수화물 인식표다. 그 표에는 ‘죽산현에서 서울에 있는 교위 윤방준 댁에 올림 게 젓갈 1항아리 4말을 넣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같은 침몰선에서 농게 집게발과 게딱지가 담긴 옹기가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유물로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간장게장 흔적이다. 지금은 해남군 마산면에 갯벌이 없다. 하지만 한때 농게가 서식하기 좋은 우리나라 최고 펄갯벌 지역이었다. 지금도 신안, 무안, 영광에서 여름과 가을이면 즐겨 농게간장게장을 즐긴다. 농게는 칠게와 달리 단단한 껍데기와 큰 집게발로 이루어져 게장을 담으면 물러지지 않아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다. 주민들은 농게장이라 부른다.

한쪽 집게발을 들고있는 수컷 흰발농게

농게는 달랑게과에 속하는 게로, 붉은 발을 가진 ‘농게’와 흰발을 가진 ‘흰발농게’가 있다. 농게는 펄갯벌에 서식하고, 흰발농게는 모래갯벌에서 서식한다. 모두 암컷은 체형이 수컷보다 작고, 수컷은 한쪽 집게발이 크다. 큰 집게발을 높이 쳐들어 암컷을 유혹하고, 다른 수컷을 위협하기도 한다. 갯벌에 구불구불 서식굴을 마련하는 칠게와 달리 수직으로 굴을 파고 살기 때문에 어민들이 맨손으로 잡기 좋다. 또 물기가 있어야 하는 칠게와 달리 바닷물이 잘 들지 않는 단단한 조간대 상부 갯벌을 좋아한다. 염생식물이 자라는 육지와 가까운 갯벌에 서식굴을 마련하기도 한다. 바닷물이 들어오면 스스로 흙을 퍼서 구멍을 막는 지혜로운 생물이다.

농게를 잡는 어민(신안 증도)

농게장을 맛있게 먹었던 곳은 화도 밥집이다. 신안군 증도면에 있는 작은 섬마을이다. 섬에서 만난 주민이 갯벌에 손을 깊게 집어넣어 잡은 농게를 ‘꽃게’라며 보여줬다. 농게의 붉은색 게딱지와 다리를 생각하면 주민들이 부르는 ‘꽃게’라는 이름이 잘 어울린다. 농게 중 식재료 이용하는 것은 붉은 발 농게다. 흰발농게는 멸종 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보호종이다.

농게간장게장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