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재확산에 불거진 부산 호흡기센터 지지부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감염병 전담 치료시설인 부산의료원 호흡기센터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부산시는 2020년 음압 입원실·투석실과 최신 영상판독장비를 갖춘 호흡기센터를 공공의료시설인 부산의료원 별관에 설치한다고 발표했다.
호흡기 질병 전담시설의 중요성은 코로나19가 대유행한 2020~2023년 입증됐다.
호흡기센터가 늦어지는 사이 코로나19는 재확산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공의료 늘려야 팬데믹 대응 가능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감염병 전담 치료시설인 부산의료원 호흡기센터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부산시는 2020년 음압 입원실·투석실과 최신 영상판독장비를 갖춘 호흡기센터를 공공의료시설인 부산의료원 별관에 설치한다고 발표했다. 4년이 지났으니 완공해야 할 시점인데 아직 착공조차 못했다. 정부가 지난해 5월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을 선언하자 긴장의 끈을 늦춘 건 아닌지 염려스럽다.
호흡기 질병 전담시설의 중요성은 코로나19가 대유행한 2020~2023년 입증됐다. 코호트(동일집단) 격리 또는 봉쇄된 일반 의료기관과 달리 공공병원인 부산의료원은 일반 진료를 중단하고 공중보건 최전선에서 수많은 생명을 살렸다. 예기치 못한 부작용도 있었다. 의료진이 감염병 환자 치료에 매달리면서 부산의료원 책무 중 하나인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중단한 것이다. 일반 병동과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호흡기센터 필요성이 대두된 이유다. 2023년 착공해 올해 12월 완공 목표였던 호흡기센터가 지지부진한 원인은 원자재·인건비 상승에 따라 건축비가 453억 원에서 761억 원으로 폭등한 영향이 크다. 부산시는 수차례 보건복지부에 추가 국비를 요청했으나 수용되지 않자 다시 453억 원에 맞게 시설을 조정했다. 모든 사정을 감안해도 부산시 잘못이 면책되는 건 아니다. 국제 정세 불안으로 물가 상승이 이미 예견됐기 때문이다.
호흡기센터가 늦어지는 사이 코로나19는 재확산세다. 전국 코로나19 입원환자는 이달 둘째 주(4~10일) 올해 최고치인 1357명을 기록했다. 65세 이상 고위험군이 3분의 2가량이다. 질병관리청은 “8월 넷째 주에는 작년 최고 유행 수준인 주당 35만 명까지 가지 않을까” 예상했다. 부산도 개학 시즌을 맞아 비상이다. 이달 1~20일 중·고교생 확진자만 145명에 달한다. 초등학교 방학이 끝나면 급증할 가능성이 크다. 우려스러운 대목은 진단키트 품귀사태다. 부산시가 어제 보건소에 나눠준 자가진단키트 3만 개는 수요를 충족하기에 충분치 않다. 치료제 부족은 정부의 안이함이 자초했다. 올해 질병청의 코로나19 치료제 예산이 지난해 절반 수준인 1798억 원으로 줄었다. 코로나19가 잠잠해지자 ‘재난은 언제든 닥칠 수 있다’는 교훈을 잊은 것 아닌가. 의료 공백 장기화로 코로나19 고위험군이 제때 입원할 수 있을지도 걱정이다.
호흡기센터는 복지부 심의와 기본·실시설계 절차가 남아 있다. 이르면 내년 12월 착공해 2028년 8월 완공이 가능하다. 애초보다 4년 늦어지는 셈이다. 공공의료기관 확대 역시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는 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하지 못해 수년째 제자리다. 서부산의료원은 최근에야 민간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 모두 ‘건강한 부산’에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다. 더는 지체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뒷북’ ‘늑장행정’ 비판은 그만 받을 때도 됐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