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응급의료 공백 불안, 환자 피해 없도록 총력 기울여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여태껏 복귀하지 않으면서 응급의료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20일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인상 등 몇가지 대책을 내놨지만 전공의 이탈 뒤 남은 의료진의 피로감이 누적된 상태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는 1차 의료기관에서 주치의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대형병원 응급실 방문 환자의 44%가 경증·비응급 환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여태껏 복귀하지 않으면서 응급의료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20일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인상 등 몇가지 대책을 내놨지만 전공의 이탈 뒤 남은 의료진의 피로감이 누적된 상태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명절 연휴에 응급실 환자가 몰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9월에 고비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아 헤매는 ‘응급실 뺑뺑이’는 전공의 집단사직 이전부터 누적된 문제였다. 그런데 응급실 전공의 500여명이 빠져나간 뒤 복귀하지 않았고 업무 과중으로 번아웃이 온 전문의들의 퇴직·휴직이 늘면서, 응급의료 중단 위기로까지 번지고 있다. 응급실 의료진이 부족하면 병상 수를 줄이는 수밖에 없다. 전국 408곳 응급의료기관 병상 6천개 가운데 160~170개가량이 줄었다고 한다. 세종충남대병원은 8월 들어 매주 목요일마다 부분적으로 응급실 진료를 중단하고 있다. 순천향대천안병원·단국대병원 응급실도 정상 운영이 어려운 상태고 충북대병원도 얼마 전 응급실 운영을 일시 중단한 바 있다. 최근 폭염과 열대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늘고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많다는 점도 어려움을 가중시킨 요인이다.
응급의료 공백은 환자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차대한 문제다. 응급처치를 받거나 병동·중환자실에 입원하기까지 대기하는 응급실 병상이 줄어들면 환자가 ‘골든 타임’을 놓칠 우려가 커진다. 앞서 지난달 31일 경남 김해 공사장에서 60대 트레일러 운전자는 1.5톤 무게의 콘크리트에 깔리는 사고를 당했지만 병원 10곳에서 모두 이송을 거절당한 끝에 숨졌다.
문제는 기형적으로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이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응급실 과부하 문제를 해소할 대책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정부가 뒤늦게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체질을 바꾸고 경증·비응급 환자는 동네 병의원으로 분산하는 대책을 추진 중이지만, 단기간에 성과가 나오긴 어렵다. 우리는 1차 의료기관에서 주치의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대형병원 응급실 방문 환자의 44%가 경증·비응급 환자다. 한국 의료의 고질적 문제를 뜯어고칠 장기 대책을 추진하는 건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그렇다고 당장 환자들의 피해가 예상되는데도 정부가 손 놓고 있어선 안 된다. 응급의학과 이외 진료과목 전문의를 응급실 전담으로 채용하는 등 다각도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수돗물 틀자 코 찌르는 곰팡내…폭염에 수도권 식수 ‘녹조’ 비상
- KBS, 사상 첫 ‘무급 휴직’ 추진…수신료 분리징수 직격탄
- 에어컨 달다 숨지도록…폭염 속 급식실엔 ‘선풍기 2대’뿐
- 수도권 콕 집어 대출규제 강화…‘부동산 불길’ 잡힐지는 불확실
- “밝고 건강했던 딸”…부천 정신병원 ‘묶임 사망’ 유족, 생전 모습 공개
- [영상] 잃어버린 3살 여동생…오빠들, 경찰차 상봉하며 ‘와락’
- 태풍 종다리, 새벽 한반도 상륙…힘 잃었지만 전국에 폭우 동반
- ‘갈비 사자’ 바람이 곁에 7살 딸 왔다…아빠 보자 “으릉으릉”
- 경찰차 안에서 숨진 여성, 2번이나 발견할 기회 있었다
- 아침 9시인데 칠흑 같은…폭우에 잠긴 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