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노망" 해리스의 망언?…선 넘는 가짜뉴스, 전 세계 '몸살'
지난달말 영국 리버풀 인근에서 17세 소년이 댄스교실에 난입해 3명의 어린이를 흉기로 살해했다. 이 범죄자가 무슬림 이민자라는 가짜뉴스가 퍼지면서 영국 전역이 열흘 가까이 '반(反)이민·반이슬람' 폭력시위로 뒤덮였다.
영국의 가디언은 "흉기 사태 후 3시간 만에 AI(인공지능)로 조작된 사진이 X(옛 트위터)에서 90만번 이상 트윗(공유)됐다"며 "무슬림 복장의 남성들이 울고 있는 아이 뒤에서 칼을 휘두르는 AI 생성물이었다"고 보도했다. 진짜 사진과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고도화한 AI 생성물이 사실확인 없이 순식간에 퍼진 것. 영국 테러방지기술협회 애덤 해들리 대표는 "전쟁을 총알과 폭탄만 생각하는데 X와 같은 SNS(소셜미디어)도 이제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2년 11월 '챗GPT' 등장 이후 2년도 되지 않아 생성형 AI가 만든 제작물이 실체적 위협이 되는 시대가 왔다. 구글 딥마인드가 최근 발표한 '생성형 AI의 오용 및 남용'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가 가장 많이 악용된 사례는 '여론조작'(26.5%)이다. 이에 AI 제작물에 반드시 '워터마크'를 붙여야 한다는 요구가 커진다. AI 제작물이 불러올 사회적 혼란을 막기 위해 최소한의 규제라도 필요하다는 의미다.
지금까지 생성형 AI로 불거진 논란은 단순 '해프닝' 정도로 끝난 경우가 많았다. 카이스트(KAIST) 초빙교수로 임명된 가수 지드래곤이 카이스트가 있는 대전의 성심당 빵을 잔뜩 사가는 모습이나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롤러코스터를 탄 황당한 사진이 공유된 게 그 예다.
조금 더 심각한 논란을 빚은 사례로는 전쟁 상황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부부가 60억원 넘는 슈퍼카를 구매했다는 가짜영상이 하루 만에 2000만회에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한 것이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조 바이든 대통령이 노망났다"고 말하는 딥페이크(Deepfake) 영상도 조회수가 1억건을 넘은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딥페이크를 활용한 성착취물 제작 등 범죄도 늘어나는 추세다.
전세계는 AI 워터마크 도입 의무화 방안을 고민 중이다.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열린 AI 정상회의에 참석한 28개 국가는 AI 부작용을 막기 위해 워터마크를 도입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유럽연합(EU)이 올해 말부터 시행하는 AI법은 AI 제작물을 구별 또는 탐지·추적할 수 있도록 의무화했다. 미국 바이든행정부는 지난해 10월 AI 생성물을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우리 정부도 지난 5월 AI 생성물에 워터마크 표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새로운 디지털 질서정립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어도비와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등 빅테크(대형 IT기업)와 영국 BBC의 주도로 2021년 설립된 'C2PA 연합'도 구글·오픈AI·네이버 등 전세계 AI 기업이 참여하며 AI 워터마크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 확인 '기술표준'을 마련한다. C2PA는 메타데이터 형태로 삽입되는 '비가시적 워터마크'라서 제거가 더 어렵다.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모델 '달리3'(DALL-E3)에 C2PA가 적용됐다. C2PA는 민간 단체표준이었지만 생성형 AI 발달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면서 국제표준화 채택을 앞두고 있다.
이 밖에도 기업은 각자 AI 제작물 구분을 위한 기술개발에 전력을 쏟는 중이다. 구글의 최신 이미지 생성도구 '이마젠3'은 생성한 이미지에 디지털 워터마크를 표시하고 유명인사의 이미지를 제작하지 못하도록 했다. 유튜브와 틱톡, 인스타그램 등 SNS와 동영상 플랫폼은 생성형 AI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안내한다.
혼란을 틈타 윤리의식을 잊고 있는 기업도 생겨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오픈AI가 정확도 99.9%로 챗GPT가 작성한 문서를 탐지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나 1년째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AI 생성물을 구분할 수 있게 되면 이용자 이탈로 수익성이 저하될 것을 우려해서다. AI 이미지 생성기술 '그록2'를 발표한 xAI의 설립자 일론 머스크는 "(그록2가) 세계에서 가장 재미있는 AI"라며 그록2로 조작된 정치인의 영상을 적극적으로 공유했다. 머스크는 사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AI 안전장치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혼란 속에서 규제가 역효과를 내지 않도록 방향을 잘 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AI 워터마크 기술이 발전하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규제하면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는' 꼴이 날 수도 있어서다. 규제를 하되 기술적 어려움과 산업생태계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AI 생성물에 워터마크를 표기하는 것까지는 의무화할 수 있지만 기술투자와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제작·유통 과정까지 모두 메타데이터로 남기게 하는 등 무리하게 규제하면 결국 기업은 AI개발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 실효성 있는 규제를 할 수 있는 현명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한님 기자 bhn25@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연봉 35억 받자 최준석 돌변" 아내 울컥…10년째 각방 쓰는 중 - 머니투데이
- 박수홍, 30㎏ 빠져 영양실조 상태…"남자역할 못해 시험관 했다" - 머니투데이
- 말도 못 잇고 오열했던 장신영…'강경준 외도 논란' 용서한 이유는 - 머니투데이
- 사격 김예지, 루이비통 모델 됐다…"광고 요청도 20개 넘어" - 머니투데이
- '3살 늦둥이' 둔 김구라, 은퇴 언급…"목표 60세, 6년 남았다" - 머니투데이
- '돌돌싱' 61세 황신혜 "더 이상 결혼 안 할 것…연애엔 열려있어" - 머니투데이
- "남녀공학 반대" 난리 난 동덕여대…한밤중 들어간 20대 남성, 왜? - 머니투데이
- "13살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쓰러져"…'8번 이혼' 유퉁, 건강 악화 - 머니투데이
- 채림 "이제 못 참겠는데"…전 남편 가오쯔치 관련 허위 글에 '분노' - 머니투데이
- 테슬라 주가 5.8% 급락…전기차 보조금 폐지 + 자본 조달 가능성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