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충전 끝난 전기차 방치땐 '점거 사용료' 낸다…하루 최대 10만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충전 종료 후 15분 이상 지난 전기차에 대해 '점거 사용료'를 받기로 했다.
앞으로 서울시가 소유 중인 전기차 충전소에서 차량 충전이 완료된 후 또는 제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출차하지 않으면 점거 사용료를 징수한다.
서울시는 최근 인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내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우려가 제기되자 내달 1일부터 시에서 운영하는 급속충전기 충전율을 80%로 제한하기로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전 종료 후 15분 넘으면 사용료 부과…"화재 대책"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서울시가 충전 종료 후 15분 이상 지난 전기차에 대해 '점거 사용료'를 받기로 했다. 시에서 운영하는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율을 80%로 제한한 데 이어 한 단계 더 나아간 조치다.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 기후환경본부는 최근 이런 내용의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조례'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의견 수렴에 나섰다. 입법예고 기간은 다음 달 5일까지다.
앞으로 서울시가 소유 중인 전기차 충전소에서 차량 충전이 완료된 후 또는 제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출차하지 않으면 점거 사용료를 징수한다. 점거 사용료는 분당 500원 이하 범위 안에서 시 충전료심의위원회가 결정하며 하루 최대 10만 원까지 부과할 수 있다.
다만 충전 종료 후 15분까진 점거 사용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또 천재지변이나 불가항력으로 출차가 불가능한 경우도 사용료를 감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말 기준 시가 직접 설치한 전기차 충전시설은 공영주차장과 관공서, 주민센터 등 총 87곳이다. 서울 시내 25개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전기차 충전시설까지 포함하면 점거 사용료 부과 시설 범위는 크게 확대될 수 있다.
서울시는 최근 인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내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우려가 제기되자 내달 1일부터 시에서 운영하는 급속충전기 충전율을 80%로 제한하기로 했다. 과도한 충전이 전기차 화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데 따른 것이다. 시는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시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대책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sseo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기말시험 기간 기숙사 침대서 4.5㎏ '거대아' 출산한 여대생
- "밥버거 100개 노쇼당했다"…이웃에 무료 나눔한 자영업자 '응원'
- "육지랑 비교마라, 맛있다"…울릉도 비계반 삼겹살 1만5000원 '뻔뻔'
- 20년지기 후배, 남편과 딸 침대서 벌거벗고 함께…반성문 쓴 뒤 '배째라'
- "정수기 있는데 수돗물로 밥 차린 남편…자취 오래한 티, 정 떨어진다"
- "어머니 찾으려 배우 돼" 김태희, 40년 만에 친모 찾는다
- '56세' 김완선, 수영복 입어도 굴욕 없는 스키니 몸매 [N샷]
- 엘베·남의 차에도 '쉬' 노상방뇨 자랑하는 남성…"국민성 바꿔야"[영상]
- "독서 모임서 '취집' 할 남자 찾는 여회원…몸 배배 꼬고 눈빛 교환" 눈살
- "불량식품 나눠 먹고선 '돈 가져와라'…초2 자녀 친구, 너무 영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