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상어의 입이 쩍~참다랑어의 ‘미끼 공’을 향해 열렸다

김지숙 기자 2024. 8. 19. 15: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날쌘 대서양참다랑어가 소형 어류를 떼로 몰아 '미끼 공'으로 만들자, 거대한 포식자가 먹이를 노리고 서서히 다가온다.

현존하는 어류 중 가장 큰 몸집을 자랑하는 고래상어가 커다란 입을 벌려 먹이를 흡입하려는 찰나를 포착한 사진이 '2024 비엠시 생태와 진화 사진 공모전'에서 올해의 대상작으로 선정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2024 비엠시 생태와 진화 사진 공모전 수상작
소형 어류가 모인 ‘미끼 공’을 삼키려는 고래상어의 거대한 입을 포착한 사진이 ‘2024 비엠시 생태와 진화’ 사진 공모전 대상작에 선정됐다. 호르헤 폰테스/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날쌘 대서양참다랑어가 소형 어류를 떼로 몰아 ‘미끼 공’으로 만들자, 거대한 포식자가 먹이를 노리고 서서히 다가온다. 현존하는 어류 중 가장 큰 몸집을 자랑하는 고래상어가 커다란 입을 벌려 먹이를 흡입하려는 찰나를 포착한 사진이 ‘2024 비엠시 생태와 진화 사진 공모전’에서 올해의 대상작으로 선정됐다.

국제학술지 ‘비엠시 생태와 진화’(BMC Ecology and Evolution)는 16일(현지시각) “올해도 연구자들이 자연의 경이로움과 신비를 담은 여러 공모작을 제출했다”면서 4개 부문의 우승작과 대상작을 발표했다. 이들은 과학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포착한 자연의 모습을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지난 2020년부터 사진전을 열고 있다.

소형 어류가 모인 ‘미끼 공’을 삼키려는 고래상어의 거대한 입을 포착한 사진이 ‘2024 비엠시 생태와 진화’ 사진 공모전 대상작에 선정됐다. 호르헤 폰테스/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전체 대상작으로 꼽힌 사진 ‘먹이 경쟁’은 해양생물학자 호르헤 폰테스 박사가 포르투갈령 아소르스 제도에서 촬영한 고래상어와 대서양참다랑어의 독특한 관계를 담고 있다. 참다랑어가 대주둥치 무리를 한곳으로 몰자, 고래상어가 이를 노리고 접근하는 장면을 잡아낸 것이다. 사진전 설명을 보면, 폰테스 박사는 포르투갈 파이알 섬의 오케아노스 해양과학연구소 소속으로 어업이 참다랑어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폰테스 박사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인 고래상어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온순한 거인’”이라며 “주로 플랑크톤을 먹지만 여름에는 플랑크톤이 많지 않아 먹이 경쟁을 벌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참다랑어가 고래상어의 입에 ‘미끼 공’을 몰아주는 것은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독특한 생태적 관계를 보여준다”면서 “이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고래상어에게 첨단 추적기를 부착했다”고 덧붙였다.

멸종위기 조류에게 전해질과 단백질을 먹이는 조류학자 라이언 와그너의 모습이 연구현장 부문 우승작으로 꼽혔다. 라이언 와그너/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연구현장’ 부문 우승작은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한 새에게 조류학자가 전해질과 단백질을 먹이고 있는 모습이 선정됐다. ‘키위키우’는 미국 하와이에 서식하는 고유종으로 현재 130여 마리밖에 남아있지 않다. 라이언 와그너 미국 워싱턴주립대 생물과학부 박사 등 연구자들은 올해부터 ‘마우이 산림조류회복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키위키우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물고기를 쫓아서’는 세가락갈매기의 입에서 물고기를 빼앗으려는 북극도둑갈매기의 모습을 담았다. 알윈 하든볼/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먹이를 차지하기 위한 ‘공중전’을 포착한 장면은 ‘자연 속의 관계’ 부문에 선정됐다. 이 부문 우승작 ‘물고기를 쫓아서’는 북극도둑갈매기가 먹이를 입에 문 세가락갈매기를 따라 날며 먹이를 빼앗으려는 장면을 담고 있다. 이 장면을 촬영한 스웨덴 농업과학대 알윈 하든볼 박사는 “북극도둑갈매기는 다른 동물의 먹이를 빼앗는 행동으로 유명하다”면서 “노르웨이에서는 혹등고래가 수면으로 물고기를 몰자 세가락갈매기가 잡아 올리고, 이를 다시 북극도둑갈매기가 빼앗는 장면도 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자연보호 부문 우승작은 스테일리아 그레이트배리어리프 해양공원의 산호를 촬영하는 제임스쿡대 빅터 후에르타스 박사후연구원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 선정됐다. 빅터 후에르타스/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무화과의 수분 매개자인 무화과말벌이 알을 낳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은 클로즈업 부문 우승작에 꼽혔다. 아비지트 바야니/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자연보호’ 부문 우승작에는 오스테일리아 그레이트배리어리프 해양공원의 산호를 촬영하는 제임스쿡대 빅터 후에르타스 박사후연구원의 모습이, ‘클로즈업’ 부문 우승작은 무화과 안에 알을 낳는 무화과말벌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 꼽혔다. 아래는 각 부문 2위 상 수상작들이다.

연구부문 2위 수상작. 미국 플로리다국제대 브랜던 구엘 박사후연구원이 농업 유출수에서의 인 수치가 식물 다양성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있다. 브랜던 구엘/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붉은 벨벳 위의 수면’. 난초 위에서 잠든 벌 두 마리를 촬영한 사진은 자연 속의 관계 2위 수상작으로 꼽혔다. 마르타 샤리토니두/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스웨덴 룬드대 진화생물학자이자 보존사진가인 로베르토 가르시아-로아 박사는 전선에 감전되어 사망한 독수리의 모습을 담아 자연보호 부문 2위 수상작에 선정됐다. 로베르토 가르시아-로아/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공룡의 뼈’.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 고생물학자 아누수야 친사미-투란 교수가 화석화된 공룡의 뼈 단면을 암석 현미경으로 촬영해 클로즈업 부문 2위에 올랐다. 아누수야 친사미-투란/비엠시 생태와 진화 제공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