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베인 자의 사후 운명은… 잘린 머리를 누가 들고 있는지 보라[김영민의 본다는 것은]
적의 머리를 든 유디트와 다윗… 다시는 살아날 수 없는 죽음 선언
자기 손으로 자기 머리 든 생 드니… 죽음을 긍정해 새 삶 얻었다는 것
희생 넘어선 순교의 의미 강조
그러나 곱디고운 여인들이 거칠고 거친 적장의 잘린 머리통을 씻기고 단장하는 장면은 다르다. 한때 누구에게도 지지 않겠노라고 기세 높던 무사가 한없이 무력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리고 무력을 결여한 아름다운 여인들이 그 사나웠던 무사의 머리를 섬세하게 어루만진다. 희롱당하지 않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삼았던 무사의 머리가 지극히 고운 손에 의해 희롱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 여인들은 성사에 임하는 성직자처럼 정성껏 희롱하고 있으니, 그것은 희롱이라기보다는 희롱의 예식에 가깝다. 그 예식을 통해 피 흘리던 머리통이 극도로 아름다운 예술품으로 바뀌는 것이니, 여기에 지루함이 끼어들 여지는 없다.
이 퇴폐적인 장면을 목격한 호시마루는 이 기억으로부터 헤어 나오지 못한다. 오히려 강한 질투심에 사로잡힌다. 적장의 잘린 머리가 부럽다! 나 자신 목이 잘려 저 아름다운 여인들의 고운 손에 희롱당하고 싶다! 나 자신이 죽을 수 없다면 다른 식으로라도 그 경험을 반복하고 싶다! 마침내 호시마루는 적장의 머리를 잘라 오려고 단신으로 적진에 뛰어든다. 그의 몸이 적진을 향할 때 그의 마음은 퇴폐의 심연을 질주한다.
그러나 어떤 목 베인 자들은 부활한다. 자기 머리통을 타인의 몸에 이식해서 부활하는 게 아니라, 머리가 잘린 채로 부활한다. 자기 손으로 자기 머리통을 들고 있다는 것은 자기 죽음을 일단 긍정한다는 것이다. 나는 엄연히 죽었다. 엄연히 죽었기에 비로소 다른 삶을 살아갈 수 있다. 그리하여 순교자들은 희생자가 되는 데 그치지 않고 죽음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은 주체로서 그다음 생을 살아간다.
그리스도교를 프랑스에 전파한 생 드니는 자신의 잘린 머리를 들고 있고, 석쇠 위에서 구워져 죽은 라우렌시오는 석쇠를 들고 있고, 산 채로 피부가 벗겨져 죽은 바르톨로메오는 자신의 살 껍질을 들고 있고, 눈알이 뽑혀 죽은 루치아 성녀는 뽑힌 눈알을 들고 있다. 그들이 들고 있는 머리통과 석쇠와 살 껍질과 눈알은 모두 자신이 누군지를 나타내는 정체성의 표지다. 나는 이렇게 죽었지만, 그것이 전혀 부끄럽지 않고, 그 죽음으로 인해 새로운 삶을 얻게 되었다고 말한다. 파리 올림픽 개막식에 등장한 마리 앙투아네트도 자기 머리를 자기 손으로 들고 있음으로써 새로운 정체성을 얻게 된 것이 아닐까.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85% 득표… 민주당 대표 연임
- [정용관 칼럼]용산만 보이는 ‘가분수 정권’
- 인사청문회 무용론 확산… 61명 중 26명 임명 강행
- [월요 초대석]“대통령이 ‘日帝 식민지배 불법무효’ 분명히 밝혀야”
- [단독]이송 병원 못찾은 응급환자 5개월새 273명… “추석쯤 대란 우려”
- [단독]카페 돌진 테슬라 60대 운전자 “원 페달 드라이빙 조작 실수”
- 해리스 “신생아 세액공제” 트럼프 “법인세 인하”… 감세 경쟁
- “AI가 돼지 숫자 - 무게 바로 파악… 작업시간 20분의1로 줄어”
- 고려인, 피란민으로 살아간다[동행]
- 28일째 열대야 서울, 도심이 외곽보다 4.3도 더 더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