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재명 대표 2기’ 싸울 때 싸우더라도 민생 챙겨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2기 시대'를 맞았다.
이 대표 공약인 국민 1인당 25만 원 지급(민생회복지원금지급특별조치법)도 유사한 전철을 밟는 중이다.
"제왕적 대표" "명팔이(이재명팔이)"라는 비판까지 나왔다.
한 대표가 강조하는 취약계층 폭염 지원이나 청년 고독사 대책은 이 대표의 '먹사니즘' 민생 정책 기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권정당 능력 보여야 대권도 유리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2기 시대’를 맞았다. 이 대표는 차기 지도부를 뽑는 18일 전당대회에서 85.4% 득표율로 연임에 성공했다. ‘이재명 일극 체제 반대’를 내세운 김두관 후보는 12.1%에 그쳤다. 이날 선출된 김민석 전현희 한준호 김병주 이언주 최고위원도 친명(친이재명)계다. ‘이재명당의 완성’이라 해도 틀리지 않다. 입법 권력의 중심에 다시 선 이 대표와 윤석열 대통령의 관계 설정은 진영 갈등과 경색된 정국을 풀 열쇠다. 강성 친명 지도부가 여당과의 전면전에 나서고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는 도돌이표가 반복되면 민생과 협치의 공간은 소멸한다.
이 대표 앞에 쌓인 난제는 수두룩하다. 국회 정상화의 길은 지뢰밭을 건너는 것 만큼 험난하다. 당장 범야권이 주도한 ‘채 상병 특별검사법’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은 국회 통과→윤 대통령 재의 요구→폐기 악순환에 갇혔다. 이 대표 공약인 국민 1인당 25만 원 지급(민생회복지원금지급특별조치법)도 유사한 전철을 밟는 중이다. 김형석 신임 독립기념관장을 포함한 ‘뉴라이트 인사’ 논란은 민생 법안 우선 처리 합의로 훈풍이 부는 듯 했던 여야 관계를 급랭시켰다. 이 대표는 사법리스크와 더불어 계파 갈등도 수습해야 한다. 친명 지도부가 전당대회를 앞두고 권리당원 득표 반영 비중을 확대하자 비명계 반발이 거셌다. 결과적으로 최고위원 후보들은 정책 대신 ‘명비어천가’만 불러댔다. “제왕적 대표” “명팔이(이재명팔이)”라는 비판까지 나왔다.
정치 실종으로 22대 국회는 개원 두 달 넘게 법다운 법하나 만들지 못했다. 여야 원내대표가 지난 7일 합의한 여야정 협의체(정책협의기구) 구성은 열흘이 지나도록 별 진척이 없다. ‘톱다운’식 논의를 통해 속도감 있는 민생 법안 처리를 기대했던 국민은 또 한숨만 쉰다. 정치를 복원하려면 원내 1당 수장인 이 대표가 많이 듣고 포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영수회담이나 여야 대표 회담도 방법이다. 이 대표는 그동안 “윤 대통령을 다시 만나고 싶다”고 수차례 제안했다. 윤 대통령 역시 4대 국정과제인 노동·연금·의료·교육개혁에서 성과를 내려면 이 대표의 협력이 필수다. 취임 한 달을 앞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도 자주 소통할 필요가 있다. 한 대표가 강조하는 취약계층 폭염 지원이나 청년 고독사 대책은 이 대표의 ‘먹사니즘’ 민생 정책 기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정부 여당과의 협치는 이 대표의 대권 도전에도 결코 손해가 아니다. 싸울 때 싸우더라도 민생을 챙겨야 수권 정당 면모를 각인시킬 수 있다. 윤 대통령이 이 대표 도움 없이 어떤 입법도 할 수 없는 것처럼 이 대표 역시 윤 대통령이 반대하면 무엇 하나 성과내기 어렵다. 국민은 지난 2년간 대통령 권력과 입법 권력이 충돌하면 나라가 어떻게 망가지는지 지켜봐 왔다. 꼬인 실타래를 푸는 첫걸음은 신뢰 회복이다. 이 대표 연임이 대화 복원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