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칼럼] 영도구 인구감소 조선산업 육성이 답이다
‘부산, 전국광역시 최초 소멸위험단계’. 지난 6월 28일 자 국제신문 기사 제목이다. 부산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를 기록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고,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이 0.490으로 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섰다는 내용이다.
우리나라 제2의 도시를 자부해 오던 부산으로서는 큰 충격이었다. 특히 소멸위험지수가 제주도 0.590, 광주광역시 0.732보다 낮아 더 충격이었다.
부산의 소멸위험지수 값이 급격히 낮아지는 이유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젊은 인재들까지 수도권으로 옮겨가는 것에 기인한다. 소위 명문대와 좋은 일자리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집중돼 있고 부산에는 부족하다 보니 인구가 유출되고 인구감소라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지역소멸의 위기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이에 시에서는 ‘부산시 인구감소지역 대응 기본계획’에서 정주 인구 340만 명, 생활 인구 630만 명, 청년고용률 43%, 소멸위험지수 0.8을 목표로 시민 공감과 삶의 질 향상 중점의 인구 활력 증강을 위한 정책을 마련했다고 한다. 특히 시는 지역 내 인구감소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영도·서·동구 등 원도심의 인구 위기 극복을 위해 큰 노력을 기한다고 한다.
그럼 젊은 인재들을 부산에 머물게 해 청년고용률을 올리는 방법은 무엇일까? 국가경쟁력 분야 세계적인 석학인 마이클 포터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지역별 대도시권 육성 전략을 통해 각 지역의 특색있는 산업 클러스터를 발달시켜야 하고 그 산업 클러스터를 통해 지역경제가 성장과 인구 유출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 한 바 있다.
그렇다면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주요 산업 클러스터는 무엇일까? 그것은 단연 조선산업이다. 조선산업의 활성화가 젊은 인재들의 유입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지난 2000년대 초 이미 조선산업 호황기에 증명된 바 있다. 조선산업 호황기에는 서울의 유명대학 출신들이 부울경 지역의 조선소 및 선급 등 각종 기관에 입사했으며, 이 지역 부동산 및 소비산업 등 경제 활성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경험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근대 조선산업의 태생지인 영도구는 조선 관련 산업 비율이 지역 내 전체 제조업 대비 66%로 조선산업 클러스터가 구축된 기초 지자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영도구는 지역 주력산업인 중소형조선과 수리조선 산업 등의 쇠락으로 1984년 22만 1651명에 달하던 인구가 2022년 11만 254명으로 급격하게 줄고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전국 구 단위 지자체 중 소멸 위기 1순위가 됐다. 급격한 인구감소는 공가 폐가와 노후 건축물 확산, 생활 인프라 감소 등의 문제점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도구에서는 수리 조선산업을 차세대 일자리 생태계 확보를 위한 기반으로 육성하고자 수리조선혁신센터와 기술센터 등 인프라를 조성한 바 있다.
그러나 지역의 조선산업 클러스터를 보다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인프라 조성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친환경화 및 스마트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이런 변화의 물결에 대형조선소는 거대한 자본과 인력으로 적극 대응하고 있으나, 영도 내 기업들은 영세한 자본과 부족한 기술 및 인력으로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산업 환경과 기술 변화에 신속한 적응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마침,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인구감소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주도로 인구감소지역 내 중소기업의 지역연구 분야 사업을 지원하는 ‘시·군·구연고산업육성사업’을 모집했고 이에 영도구는 부산테크노파크, 중소조선연구원, 티랩 등과 함께 지역 조선산업 업체에 기술 및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영도구 중소형 조선산업 구조 고도화 지원 사업’을 지원해 선정되었다. 이 사업을 통해 조선산업의 발상지인 영도구가 지역 인구감소를 극복하고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재도약을 이끌어 갈 지역으로 다시 서기를 기대해 본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