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전기차 화재, 과충전 직접 원인 아냐”…모니터링 강화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과충전 제한부터 배터리관리시스템(BMS)까지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전문가는 과충전이 전기차 화재 직접 원인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18일 전기차 과충전이 화재의 원인이 될수 없다고 진단했다.
윤 교수는 "충전을 이보다 더하면 위험할 수는 있다"면서도 "과충전은 완성차와 배터리 업체 차원에서 BMS 등으로 이미 차단된 상태"라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과충전 제한부터 배터리관리시스템(BMS)까지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전문가는 과충전이 전기차 화재 직접 원인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배터리 모니터링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제기했다.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18일 전기차 과충전이 화재의 원인이 될수 없다고 진단했다. 윤 교수는 성균관대와 삼성SDI가 설립한 배터리공학과(가칭) 대표 교수다. 성균에너지과학기술원 차세대배터리 연구소 소장도 맡고 있다.
윤 교수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에 양극 소재 100% 용량은 g당 275mAh인데, 실제 사용되는 건 200∼210mAh 정도로 이를 100%라고 규정한다”며 “이미 어느 정도 안전이 고려된 상태”라고 분석했다.
전기차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안전 마진'을 뒀다는 얘기다.
윤 교수는 “충전을 이보다 더하면 위험할 수는 있다”면서도 “과충전은 완성차와 배터리 업체 차원에서 BMS 등으로 이미 차단된 상태“라고 강조했다. 완성차는 BMS를 통해 배터리 셀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기술 등을 통해 수천개 이르는 셀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윤 교수는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내놨다. 그는 “현재 배터리를 이중 또는 삼중으로 제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불량이 확률적으로 아주 안 일어날 수 없으며, 대처를 얼마나 잘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가운데 무엇이 위험하다는 식의 단순비교가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직 어떤 차량이 더 위험하다고 검증돼 있는 상태가 아니”라며 “화재가 났을 때 소방당국 입장에서화재에 대한 매뉴얼을 처음 이해 못 했을 수 있지만, 현재 어느 정도 제어 가능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윤 교수는 전기차 화재 이후 과한 규제로 전기차 전환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했다. 그는 “전기차는 전 세계 방향이기 때문에 특정 사고로 인해 우회하지 않을 것”이라며 “국내 전기차 산업이 얼마 만큼 경쟁력을 가질지 가 중요하다. 전기차에 대한 과한 우려를 갖고 모든 것을 제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에코프로비엠, 고체 전해질 양산 라인 만든다
- 상반기 신규 액셀러레이터 10곳 중 7곳 수도권…지방 창업 생태계 위축 우려
-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과제]〈1〉카르텔 논란 딛고 미래성장동력 전략 제시해야
- KB페이도 소수점 주식투자 신설…카드앱·증권앱 무너지는 경계
- 서울시, 도시경관 디지털플랫폼 구축한다
- 공공 초거대 AI 전담 기관 생기나···설립 필요성 제기
- 공직 비리 잡는 '청백-e', 클라우드로 감사 강화 추진
-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14〉 [AC협회장 주간록24] 인공지능 시대, 스타트업 창업방식 달라
- '가시화되는 전고체 체인'…이수스페셜티케미컬, 원재료 황화리튬 시생산
- [K-제조, 현장을 가다]〈7〉냉각 성능의 뿌리 기술 만든 '위닉스 기업부설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