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 전기차 화재, 과충전 단정 말아야…검증 후 대책마련 필요”

장우진 2024. 8. 18. 17: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연합뉴스

최근 인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차 화재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 전문가인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가 배터리 과충전을 화재 원인으로 단정 짓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윤 교수는 지난 16일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충전 깊이(충전율)와 화재는 당연히 관련이 있지만, 지배적인 관련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100% 충전이라는 게 굉장히 상대적인 개념"이라며 "예를 들어 NCM(니켈·코발트·망간)배터리 양극의 100%는 (g당) 275mAh 정도인 데, 우리가 실제로 쓰는 것은 200~210mAh 정도다. 이것을 100%라고 규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충전을 100% 이상으로 하면 위험할 수 있지만, 과충전은 몇 가지 방법으로 이미 차단돼 있다"며 "셀 만드는 회사도 독자적인 기술로 과충전을 막는 기술을 갖고 있고, 혹시 불량이 나더라도 자동차 회사에서도 이미 제어 시스템이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배터리관리시스템(BMS)라는 제어도 있지만 물리적으로도 갖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현대차 같은 경우 E-GMP라고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활용해 제대로 더 진보된 기술을 적용한 경우가 아마 3년 정도는 됐다. 그 사이에 (비충돌로 인한 화재가)한 건 정도밖에 없는 걸로 알고 있다"며 "그만큼 굉장히 잘 돼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소비자들이 100% 충전에 대한 불안함은 좀 해소가 돼 있는 상황인데 그런 부분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는 벤츠 전기차 화재 원인을 셀의 내부 결함으로 봤다. 그는 "충전 깊이가 그렇게 중요하고 충전 꽂아 놓는 게 중요하다면 그렇게 화재가 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셀의 내부 결함이 가장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결함이라고 말하면 마치 불량처럼 느껴질 수 있는데, 판매되는 셀마다 품질의 차이가 있는 것"이라며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출하하지만 그 밑단에 있는 것들은 계속 사용하다 보면 조금씩 더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셀은 아무리 잘 만들어도 편차가 날 수밖에 없다"며 "중요한 점은 자동차 매니지먼트가 잘 관리해 초동 조치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되느냐 아니냐 인 데 그런 부분에서 좀 아쉽다"고 덧붙였다.

그는 배터리 사양을 공개하고, 이를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현대차를 비롯해 완성차 제조사와 수입차 브랜드들은 배터리 제조사를 잇따라 공개하고 있다.

윤 교수는 "배터리·자동차 회사 입장에서는 밝히기를 꺼려하는 입장이 이해가 된다"면서도 "이용자들의 안전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는 공개가 돼야 되고. 그 회사의 이력 같은 것도 어느 정도는 공개가 돼야 되고 한다"고 제언했다.

또 "사고가 많이 있었던, 이슈가 있었던 회사라면 당연히 그걸 해결하는 기술을 발표했는지도 봐야 될 것"이라며 "소비자도 선택할 권리가 있다. 같은 A라는 자동차 회사에 3~4개의 셀 메이커의 제품을 가지고 간다고 하면, 그 중에서 본인이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은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최근 각 지자체나 정부가 내놓은 대책들이 일회성 방편에 그치지 않고, 한국 산업 경쟁력을 이어가도록 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힘써야한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법제화하거나 규정화 할 때는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전문가들이 모여 심도 있게 토의를 하고 좀 검증을 한 다음에 대책을 더 세우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지하주차장 들어가면 안 된다는 것은 마녀 사냥의 느낌이 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기차는 세계적으로 가는 방향으로 사고 때문에 우회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우리나라 산업이 얼마만큼 경쟁력을 계속 가질 수 있느냐 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모든 것을 제한하는 등 너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장우진기자 jwj1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