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AI 3강`…연구자 수 9위·논문 수 12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2030년 인공지능(AI) 세계 3강(G3) 도약을 목표로 내걸었지만, 기술 연구개발(R&D)부터 활용까지 갈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최근 공개한 '국가전략기술 R&D 인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AI 연구자 수는 2만1000여 명으로 세계 9위, 지난 6년 동안 이들이 발간한 AI 관련 논문 수는 1만4000여 건으로 세계 12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2030년 인공지능(AI) 세계 3강(G3) 도약을 목표로 내걸었지만, 기술 연구개발(R&D)부터 활용까지 갈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최근 공개한 '국가전략기술 R&D 인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AI 연구자 수는 2만1000여 명으로 세계 9위, 지난 6년 동안 이들이 발간한 AI 관련 논문 수는 1만4000여 건으로 세계 12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서는 중국이 연구자 약 41만1000명, 논문 수 22만 건으로 세계 1위에 올랐다. 이어 인도가 연구자 19만5000명, 논문 11만7000건으로 2위를, 미국이 연구자 12만명, 논문 8만8000여 건으로 3위를 기록했다. 다만 AI분야에서 최근 주목받는 컴퓨터비전이나 딥페이크 등 새로운 연구주제 관련해 가장 많은 논문 수를 발간한 상위 500명 연구자는 미국이 31.8%로 가장 많았고, 중국은 24.2%로 2위였다. 한국은 5명으로 세계 16위 수준이었다.
국내 기관 중 발간 논문 수 상위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자 중 46.9%가 기관 내 협력을 통해 논문을 만들었으며, 국제협력 비중은 2020년 22.7%에서 2022년 32.8%로 증가했다.
AI챗봇 등에 대한 인지도나 활용도도 기대치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202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결과, 지난해 국내 AI챗봇 이용률은 13.4%였고 이용자 중 유료로 써본 비율은 5.7%에 불과했다. AI챗봇 인지도도 '전혀 모른다' 13.6%, '들은 적은 있다' 40.9%, '아는 편이다' 42.1%, '잘 알고 있다' 3.4%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대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대(70.2%)·30대(75.8%) 젊은 층은 인지도가 높았지만 노년층은 60대 22.6%, 70대 7.2%에 그쳤다. 이용률 역시 20대(26.0%)·30대(26.5%)가 가장 높았고 60대 3.4%, 70대 0.2%로 노년층일수록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40·50대 중장년층은 20·30대보다 이용률은 떨어지나, 이용자의 경우 업무에 적용하는 등 보다 전문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방한한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도 "한국 5000만 인구 중 적극적인 챗GPT 사용자는 100만명 수준"이라며 "미국의 경우 전체의 20% 정도"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많은 사용으로 적용사례(유스케이스)가 늘어날수록 AI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안전성도 함께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기도 했다.
정부는 'AI G3' 달성을 위해 올해 들어 바쁜 행보를 보인다. AI 4대 석학 중 하나인 얀 르쿤 교수와 손잡고 AI공동연구를 위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을 뉴욕대에 설립하는 한편, 2028년까지 국비 총 360억원을 투입해 국내외 산·학·연이 교류하는 국내 대표 AI연구거점도 '서울AI허브'에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R&D뿐 아니라 'AI 일상화'에도 중점을 두고 올해 총 7102억원을 투입, 산업현장과 정부행정 등에 AI를 확산하기 위한 69개 과제를 추진 중이다. 나아가 AI분야 컨트롤타워로서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 출범도 앞두고 있다.
유상임 신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 16일 취임식에서 "AI 분야에서 G3 시대를 열겠다"며 "국가AI위원회가 국가 역량을 총결집하는 'AI 빅텐트'가 되도록 민간과 정부, 부처간 협력을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부싸움 중 10m 아래 계곡으로 추락한 여성…9시간 기어올라 극적 구조돼
- 순백의 웨딩 드레스 입은 단아한 조민…"천사 같아" 지지자들 난리났다
- 가출 신고된 40대 여성이 왜 찾으려던 순찰차 뒷자석에서...숨진 채 발견
- "사람으로 치면 57세"…홍콩 판다, 세계 최고령 출산
- "이러면 여자란 걸 믿겠어요?"…성별 논란 복서, 꽃귀걸이에 블라우스 입고 여성미 한껏 뽐내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