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인·정소민 캐스팅으로 제대로 힘준, 없는 게 없는 '엄마친구아들'

정덕현 칼럼니스트 2024. 8. 18. 16: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엄마친구아들’, 친구·가족·사랑·휴먼까지 다 담은 종합선물세트

[엔터미디어=정덕현] 정해인과 정소민이 출연한다는 것만으로도 tvN 새 토일드라마 <엄마친구아들>에 대한 기대감은 한껏 커진다.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와 <봄밤>으로 멜로의 결을 제대로 보여줬던 정해인이고 <이번 생은 처음이라>부터 <간 떨어지는 동거> 그리고 <환혼>에서 무덕이 역할로 강렬한 존재감을 보여줬던 정소민이다. <엄마친구아들>은 캐스팅부터 제대로 힘을 줬다.

그래서인지 첫 회는 사실상 이 두 배우가 입은 캐릭터들의 매력으로 온전히 채워졌다. 잘 나가는 젊은 건축가인 최승효(정해인)와 신의 직장이라 불리는 글로벌 대기업에 입사해 이제 결혼식까지 앞둔 탄탄대로의 배석류(정소민)가 그들이다. 어려서 같은 목욕탕 그것도 같은 탕에서 목욕까지 같이 했던 소꿉친구지만, 이제 각자의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던 두 사람이 다시 만난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결혼식을 앞두고 청첩장까지 찍었던 석류가 미국에서 돌아온 것. 게다가 폭탄 발언까지 한다. 회사도 그만뒀다고. 그 사실을 알고는 너무나 황당해 화가 잔뜩 난 석류의 엄마 미숙(박지영)이 대파로 딸을 때릴 때 그걸 온전히 다 맞은 건 다름 아닌 승효다. 미국에서 돌아온 석류와 승효가 진짜 엄친아, 엄친딸처럼 티격태격하며 보여주는 그 친밀함으로 가득 채워진 첫 회. 두 사람이 연애 감정이라고는 전혀 보이지 않는 그 모습에서 오히려 그들이 앞으로 펼쳐나갈 로맨스가 더더욱 기대된다.

드라마는 신하은 작가의 전작이었던 <갯마을 차차차>가 그랬던 것처럼, 인물들 간의 다양한 관계성들이 담는 재미들로 포진되어 있다. 시작부분에 승효의 엄마 혜숙(장영남)과 석류의 엄마 미숙, 또 모음(김지은)의 엄마 재숙(김금순)과 이들과는 조금 다른 삶을 살고 있는 듯한 인숙(한예주)이 함께 등산을 하며 자식 자랑으로 늘어놓는 이야기는 마치 가족드라마의 도입부분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 작품이 '가족'이라는 소재를 먼저 밑그림으로 깔고 있다는 걸 그 도입이 보여준다.

그러면서 혜숙과 미숙이 자식 자랑 배틀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는 승효와 석류로 옮겨가고 석류의 귀국으로 그들이 다시 만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거기에는 석류의 둘도 없는 친구 모음의 이야기도 슬쩍 들어가 있다. 119 구급대원으로 시원시원하고 털털한 그의 매력을 우연히 보고 겪게 된 청우일보 기자 단호(윤지온)와의 심상찮은 멜로가 벌써부터 예고된다. 또 119 구급대원인 모음이 술 취해 쓰러진 당뇨 노숙인을 도와주는 이야기에서는 이 작품이 뻗어놓은 이야기가 휴먼드라마적인 부분까지 나아갈 거라는 걸 기대하게 만든다.

따라서 이 작품은 엄친아, 엄친딸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가족드라마적 서사와 더불어, 승효와 석류 그리고 모음과 단호의 멜로가 더해져 있고 그들 간의 끈끈한 우정 또한 빠지지 않는다. 나아가 각각의 인물들이 숨겨온 서사들이 등장하면서 아마도 이 작품은 휴먼드라마의 결까지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관계의 묘미를 종합선물세트처럼 담아내는 작품이 될 거라는 것. 따뜻한 온기를 전해주는 관계에 있어서 없는 게 없는 '엄친아' 같은 드라마랄까.

어찌 보면 대단한 사건이 벌어지는 게 아니어서 슴슴한 맛으로 시작되지만 인물 간의 관계성이라는 건 차곡차곡 쌓여서 결국은 더 큰 에너지를 만들어내기 마련이다. 무엇보다 요즘처럼 삶이 팍팍해 더더욱 웃음이 간절해지는 시기에 이 드라마가 가진 코미디의 밀도는 승효와 석류가 주고받는 대사의 말맛에서부터 느껴진다.

끝없이 티격태격 말장난을 하는 것 같은 모습으로 무심한 척 가장하지만 승효와 석류가 던지는 몇 마디는 두 사람의 진심을 슬쩍 꺼내보인다. "인생에서 큰 결정을 한꺼번에 둘이나 내렸잖아. 타격이 없으면 그게 사람이냐? 인형이지." 석류에 대한 승효의 걱정이 담긴 말이다. 그런데 그 잘나가던 석류는 왜 퇴사에 파혼까지 하고 귀국하게 된 걸까. 석류 또한 승효에게 그 이유를 차분히 꺼내놓는다.

"그냥 내 인생이 너무 과열됐던 것 같아. 나 엄청 빡세게 살았잖아. 한국에서 학교 다니다가 갑자기 미국으로 유학가고 거기서 또 적응하고 취직하고 결혼까지 그렇게 내내 풀가동을 돌리니까 CPU가 멈춰버린 거지. 화면도 멎고 아무 키도 안 먹고 별 수 없더라. 그냥 전원을 껐다 켜는 수밖에." <갯마을 차차차>에서부터 일관된 주제의식이지만 <엄마친구아들> 역시 치열한 삶에 방전된 이들이 잠시 멈춰 서서 삶을 되돌아보는 그런 이야기를 그려나갈 거라는 걸 말해주는 대목이다.

이른바 '엄친아', '엄친딸'을 이야기할 때 그 의미에 담겨 있는 건 '비교'이고 마치 성공의 지표처럼 내세워지는 어떤 삶이다. 그래서 그 삶 바깥으로 나오면 마치 실패한 것처럼 여기는 사회가 꺼내놓은 게 바로 '엄친아'라는 단어가 아닌가. 그런 점에서 보면 이걸 제목으로 세워놓은 이 작품은 그런 비교와 경쟁 사회의 강박관념을 잠시 벗어던지게 해주는 작품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렇게 치열한 성공이 아니라도 행복할 수 있다고. 우리 주변에는 가족이 있고 친구가 있고 사랑이 있고 사람이 있으니.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