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천국' 일본, 주식시장서 상장사 멸종된 이유는
시장 규모 110조원…테슬라 2022년 매출 맞먹어
편의점 3사가 시장 90% 장악…사업도 안정적
편의점-가맹점, 자본·노동·경영 '러닝 메이트'
가맹점-주주 이익 상충…낮은 상장 메리트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다마쓰카 겐이치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는 과거 일본 편의점 로손 사장으로 일하던 당시 번호판이 ‘5563’인 법인차를 타고 다녔다. 일본어로 발음하면 ‘고고 로쿠산(ごご ろくさん)’. ‘로손으로 가자(Go Go 로손)’라는 의미를 숫자로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가 남다른 차량 번호판을 달게 된 건 그럴말한 사정이 있었다. 로손은 상장 당시 회사를 쉽게 떠올릴 수 있는 5563을 종목코드로 받길 원했지만, 이미 다른 기업이 쓰고 있어 차 번호판으로 아쉬움을 달랬던 것이다. 그랬던 로손이 도쿄 증시에서 상장폐지됐다. 이는 일본 증시에서 편의점 기업 주식의 ‘멸종’을 의미한다. ‘편의점 천국’ 일본에서 관련 종목들은 도대체 왜 사라졌을까.
18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지난 7월24일 로손이 상장폐지되면서 일본 편의점 업계 상위 3사가 모두 비상장사가 됐다. 로손은 지난 2000년 7월 증시 입성 24년 만에 비상장사로 되돌아갔다.
앞서 업계 1위 세븐일레븐은 2005년 상장폐지해 세븐앤드아이홀딩스의 자회사가 됐다. 업계 2위인 패밀리마트도 2020년 대주주인 이토추상사의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상장폐지됐다. 일본 증시에서는 이제 편의점 기업의 주식을 살 수 없게 된 셈이다.
일본 편의점 산업은 덩치만 놓고보면 존재감이 결코 작지 않다. 시장 규모는 약 12조엔(약 110조9460억원)으로 지난 2022년 미국 테슬라의 매출액(814억달러)과 맞먹는 수준이다. 이들 3사가 점유율 90% 이상을 차지, 시장을 삼분하고 있어 사업도 안정적인 편이다.
그럼에도 편의점 기업들이 증시에서 발을 빼게 된 건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등 다른 소매업과 사업 구조와 운영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의 사전적 정의는 영리를 얻기 위해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조직체다.
그러나 편의점 기업들은 이같은 정의에서 조금 벗어나 있다. 편의점 기업 뿐만 아니라 가맹점주들이 함께 움직여야 영리를 추구할 수 있다. 편의점 가맹점주들은 점포당 수천만원에 달하는 가맹금을 내는 방식으로 회사 성장을 위한 자금을 대고, 가족이나 아르바이트 등 시간제 근로자를 고용해 인력을 충당한다. 편의점 점주들은 본사에는 ‘자본가’, 편의점 점포 운영에 있어서는 ‘자영업자’이자 ‘노동자’라는 복잡한 정체성을 가진 셈이다.
편의점 대표 기업들이 일제히 비상장으로 전환하게 된 이유는 이런 사업 특수성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상장사는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면 그만이지만, 편의점 기업들은 가맹점포들의 수익성 향상이 선행돼야 주주가치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는 가맹점주와 주주의 이익이 항상 일치하지 않으며 때로는 이해상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는 업황 침체기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경영 효율성 관점에서 비용에 초점을 맞춘 운영 정책은 새는 돈을 줄여 주주에게 득이 됐지만 가맹점들은 수익성 하락에 직면해야 했다.
닛케이는 “편의점이 우상향하던 성장기에는 가맹점주나 주주 모두 불만이 없었지만,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가시화 됐다”며 “24시간 영업, 식품 가격 인하와 폐기 처리의 찬반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고, 사회문제로까지 발전했다”고 짚었다.
특히 고배당 정책은 그야말로 딜레마다. 한때 일본에서 편의점 산업이 급성장했던 시절, 기업들이 막대한 사내 유보금을 쌓아두며 주주 환원 문제가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당시 시장에선 적극적인 주주 환원책을 내놓거나 제품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고 편의점 기업들을 압박했고, 그 중 세븐일레븐은 주주 환원 요구를 일축했다. 지진 등 재해가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 수천개의 점포가 피해를 입게 될 경우를 대비해 최소 6개월의 운영 자금을 들고 있어야 한다는 이유를 들었다.
가맹점-주주 이익 상충…낮은 상장 메리트
실제로 편의점 기업들은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으로 오피스 상권이나 관광지에 위치한 점포들이 줄줄이 매출 타격을 입게 되자 그간 쌓아둔 실탄으로 가맹점 지원에 나섰다. 점포 수익성에 따라 편의점 기업의 실적이 좌우되다보니 ‘강건너 불구경’으로만 여길 수 없었던 것이다. 주주들이 있는 상장사였다면 투입 비용 대비 빠른 성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의사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밖에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 필요성이 크지 않은 점도 비상장사로 되돌아간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 1979년 일본 편의점 업계 최초로 상장한 세븐일레븐 재팬과 로손은 증권시장을 활용해 회사채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한 적이 없다. 세븐일레븐은 증시 입성을 통한 인지도 제고를 노렸고, 훼미리마트는 모기업에서 자금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상장했다. 로손은 경영난에 빠진 모회사를 살리려는 목적으로 상장사가 되는 길을 택했다.
닛케이는 “거대 자본을 등에 업은 편의점 기업들이 상장폐지로 경영 자율성은 높아지고, 가맹점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업환경 구축에 매진할 수 있게 됐다”며 “인구 감소, 인플레이션, 노동력 부족 속에서 디지털화, 인공지능(AI)으로 점포의 수준을 높이고 가맹점주의 수익성을 보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짚었다.
양지윤 (galile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소화기 뿌려도 소용없어” 소방대원 49명 투입된 테슬라 화재(영상)
- 순찰차 뒷좌석에 40대 女 시신…가출 신고 돼 있었다
- 임신 36주 낙태 병원장 "사산된 아이였다" 주장
- ‘김호중 방지법’ 발의한 의원들에 “낙선운동 할 것”…비판 쇄도
- 조국 딸 조민, 웨딩드레스 입은 결혼식 사진 공개
- 블랙핑크 리사, 재벌 2세와 하와이 데이트 목격
- “돌아가셔서 슬퍼요”…존경받는 여교사를 살해한 성폭행범 [그해 오늘]
- “엄마 회사에서 밥 먹고 어린이집 가요” 아·점·저녁 챙겨주는 사옥[회사의맛]
- 양지은 "치과의사 남편, 결혼 전 수입無…만삭에 배타고 행사 가기도"
- '하트시그널4' 유이수, 학폭 의혹 전면 반박 "오히려 피해자"[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