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만에 풀린다는 서울 그린벨트…환경단체 반발해도 ‘이곳’부터 [부동산 이기자]
서울 집값 상승세 심상찮자
정부, 공급확대 8.8대책 발표
이번 대책에는 주택 공급을 늘리는 다양한 방안이 담겼습니다. 공급을 대폭 늘려 수요 심리를 어떻게든 분산시키겠단 거죠. 아파트를 사려는 수요가 여러 선택지로 흩어지면 집값이 좀 안정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입니다.
구체적인 목표는 ‘앞으로 6년 동안 수도권에 총 42만 7000가구 규모의 주택을 공급한다’는 겁니다. 이 중 21만 가구는 아파트를 대규모로 지을 수 있는 새로운 택지를 발굴해 공급할 계획입니다. 나머지 21만 7000가구는 이미 계획된 물량을 더 빨리 공급하는 구상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1·2부에 걸쳐 알아보겠습니다.
하지만 서울 주택난이 심각해질 때마다 그린벨트는 조금씩 풀렸습니다. 예를 들어 이명박 정부는 보금자리주택을 짓기 위해 2009년~2012년 그린벨트를 일부 해제했습니다. 당시 서울 서초구 내곡동과 강남구 세곡동 일대 그린벨트 약 5㎢가 풀려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죠. 이후 12년 동안은 그린벨트가 대규모로 풀린 적은 없습니다.
관건은 ‘서울 어느 지역의 그린벨트를 풀 것이냐’입니다. 일단 강북권 그린벨트는 대부분 산에 설정돼 있어 풀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숲을 훼손하는 것에 대한 반발이 엄청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산이나 구릉지는 경사가 있어 애초에 택지로 개발하기 적합하지 않기도 합니다.
서울시도 힌트를 줬는데요. 그린벨트 중에서도 제대로 관리되지 못한 훼손 지역을 위주로 해제를 검토한다고 합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린벨트라 해서 모두 산림이나 숲인 것은 아니다”라며 “시가지에 농경지나 경작지, 창고가 있는 등 보존성이 낮은 곳을 훼손지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부와 서울시가 투기를 막기 위해 서울과 서울근교 그린벨트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한시 시정했는데요. 발표가 난 이후 첫 번째로 묶인 지역이라 주목됩니다. 참고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일정 규모 이상 부동산을 거래할 때 관할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허가를 받도록 한 제도입니다. 주로 시장 과열 우려가 있는 지역 내 투기를 막고자 시행됩니다.
국토부 역시 작년 5월 김포공항~여의도 구간을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 노선’ 구간으로 선정했습니다. 서울시는 이에 발맞춰 김포공항 혁신지구에 UAM 복합환승센터를 만들 계획입니다. 대규모 센터를 만들기 위해선 그린벨트 조정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아울러 대규모 주택 단지를 짓는다면 교통이 편리한 입지가 매력적일 수밖에 없겠죠.
다만 서울시는 집단 취락지역은 가급적 그린벨트 해제를 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쉽게 말해 전원주택들이 들어선 곳은 웬만하면 배제한다는 겁니다. 때문에 강남구 양재동에 있는 일부 마을들이 후보지로 선정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그린벨트를 풀어 주택 단지를 만드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신속함인데요. 전원주택이 있으면 이 장점을 살리기 어렵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기존 거주민이 반발하면 보상과 이주 절차가 늦어질 수밖에 없으니까요.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 역시 “어떤 식으로든 주택 공급을 위해 택지를 만들어야 한다면, 외곽의 양호한 녹지가 아닌 어느 정도 훼손되는 곳을 개발하는 건 마이너스가 꼭 아닐 수 있다”며 “아주 외곽에 주택 단지를 지으면 사회적으로 더 많은 통근 비용과 부담이 들기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 대도시권의 경쟁력 강화 측면도 있다고 봤죠.
박합수 겸임교수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택지 후보지를 발굴하는 건 필요하다”며 “기존에 윤석열 정부에서 발표한 신규 택지들은 서울의 주거 대체성을 확보하기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차원에선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박 교수는 “수도권 8만 가구란 물량으론 안 된다”며 “3기 신도시 용적률을 조정하는 등 물량을 대폭 늘려 공급 신호를 강하게 줬어야만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과거 강남·서초구 그린벨트를 풀었다고 주변 집값이 안정된 건 아니란 비판도 있죠. 나아가 시민단체들은 자연 환경을 훼손하는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미래세대가 사용해야 할 녹지와 그 주변지역에 무분별한 개발을 허용해 지속가능성을 훼손하는 행위는 피해야 할 잘못된 정책”이라며 “수도권 허파인 그린벨트를 한 평도 훼손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서울시는 그린벨트 해제 지역에 들어설 주택 상당수를 ‘장기전세주택Ⅱ’ 유형으로 공급할 계획입니다. 이 유형은 장기전세주택Ⅱ는 신혼부부와 자녀 출생 가구가 최장 20년 거주하고 두 자녀 이상을 출산할 경우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받을 기회를 주는 주택입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오늘의 운세 2024년 8월 17일 土(음력 7월 14일)·2024년 8월 18일 日(음력 7월 15일) - 매일경제
- 인구가 14억인데 금메달은 ‘0’…인도 ‘이것’ 잡느라 스포츠 신경 못 쓴다는데 - 매일경제
- 유망주라더니 상장 첫날부터 20% 뚝…공모주 투자자 초상집 - 매일경제
- 독도 그림 빼란 요구에 日 수출 거절…국내서 ‘돈쭐’난 이 업체, 어디? - 매일경제
- ‘김여사 명품백’ 수사 부담 느꼈나…검찰 “외부판단 구해보겠다” - 매일경제
- "9월엔 아무도 우릴 기억 못할걸요…새로 시작해야 롱런" - 매일경제
- “실망했다”…신유빈 이기고 동메달 딴 日선수 ‘발언 ’논란‘, 뭐라했길래 - 매일경제
- “옆집 애도 간다고 자랑하는데”…부모 등골 휘게하는 이녀석의 정체 - 매일경제
- “아파트 관리비 못내 전기 끊기 직전, 10kg 빠졌다”…정유라, 또 생활고 호소 - 매일경제
- ‘개막전 개막포는 이강인이 쏩니다’…왼발 환상 감차로 3분 만에 시즌 1호골 쾅!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