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째 대멸종 막기 위한 보호구역은 지구 면적 단 1.2%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섯 번째 대멸종 위기에 직면한 지구를 지키기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은 무엇일까.
비정부기구 리졸브(NGO Resolve)의 에릭 다이너스타인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6월 25일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사이언스'에 "지구 면적의 약 1.2%만 철저히 보호해도 여섯 번째 대멸종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섯 번째 대멸종 위기에 직면한 지구를 지키기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은 무엇일까. 비정부기구 리졸브(NGO Resolve)의 에릭 다이너스타인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6월 25일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사이언스'에 "지구 면적의 약 1.2%만 철저히 보호해도 여섯 번째 대멸종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3389/fsci.2024.1349350)
대멸종이란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생물 종이 급격하게 멸종하는 사건이다. 그동안 다섯 번의 대멸종이 있었다. 가장 최근 일어난 것이 약 6600만 년 전 공룡과 함께 전지구 생명체의 75%가 멸종한 백악기-제3기 대멸종이다. 이는 소행성 충돌 때문로 추정된다.
이처럼 기존 대멸종은 자연적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 그런데 현재 지구가 맞닥뜨린 여섯 번째 대멸종의 원인은 인간이다. 도시화와 농업 확장, 산림 벌채로 많은 종이 서식지를 잃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해양 산성화와 극단적인 기후 변동을 초래해 해양 생태계까지 위협하고 있다.
당장 도시화, 산림 벌채, 온실가스 배출 등을 멈출 수 없는 상황에서 연구팀은 대멸종을 막기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찾아냈다. 희귀종이나 멸종위기종들의 서식지를 고려해 '보존 의무 구역(conservation imperatives)'을 정하는 것이다.
물론 이전에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땅은 많았다. 2018~2023년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120만㎢의 토지가 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하지만 이 보호구역은 희귀종이나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와 겹치는 부분이 단 11만㎢에 불과했다. 어떤 종이 희귀하다는 것은 종의 서식 범위가 매우 좁거나 서식 밀도가 매우 낮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보존 의무 구역을 다시 지정하기 위해 위해 글로벌 생물다양성 평가 데이터로 희귀종 및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지역을 식별하고 기존 보호구역, 숲·사막 등의 지도와 결합했다.
그런 뒤 보존 의무 구역으로 지정해야 할 정확한 면적을 인공위성을 사용해 추정했다. 그 결과 약 1만 6825개의 지역을 보존 의무 구역으로 설정하면 예정된 멸종을 73%가량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면적으로는 약 164만㎢로 지구 면적의 약 1.2%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22년까지의 다양한 토지 보호 프로젝트를 토대로 보호구역 지정에 필요한 비용도 계산했다. 선형 회귀 모델을 사용해 추정한 비용은 약 1690억 달러로 1년 동안 전세계 화석연료 산업에 지원되는 보조금의 9%에 불과했다.
연구를 이끈 다이너스타인 박사는 "건강하고 활기찬 지구를 물려주는 것은 우리의 의무"라며 "보존 의무 구역 설정이 우리의 행동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8월호, [과학뉴스] 6번째 대멸종을 막기 위해 1.2% 땅을 보호하라
[김미래 기자 futurekim93@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