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못 갚겠으면 피부라도 잘라줘”···돈에 미친 도시에서 나온 혁신 [히코노미]
[히코노미-3] “돈, 오, 나의 돈! 나의 딸보다도 더 소중한 돈! 나의 황금과 보석을 위해 나는 기꺼이 모든 것을 버리겠다.”
대문호 셰익스피어의 소설 ‘베니스의 상인’에서 유대인 상인 샤일록은 돈이라면 자신의 영혼까지도 팔아넘길 위인입니다. 당대 유럽인들이 유대인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지요.
고리로 돈을 빌려주고, 악착같이 받아내는, 반(反)기독교적 인물. 샤일록은 기어이 채무자 안토니오에게 살 1파운드를 요구하다가 망신당합니다. 인간을 통찰하는 대문호조차 유대인을 향한 선입관을 떨쳐내지 못했습니다.
그 기반에는 상업을 기반으로 한 엄청난 경제력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공공채권을 발행한 도시도 바로 베네치아였습니다. 베네치안은 어떻게 도시국가를 세계적인 경제도시로 만들었을까요.
동로마 제국의 명군으로 통하는 유스티니아누스에겐 꿈이 있었습니다. 서로마 제국 옛 땅을 수복하는 일이었습니다. 콘스탄티노플로 수도를 옮긴 후, 이탈리아는 야만족인 반달족과 고트족의 놀이터로 전락해 버렸던 터였습니다. 유스티니아누스로서는 결코 좌시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기독교 성지가 야만족에 의해 유린당하고 있어서였습니다.
반달 왕국과 고트 왕국은 크게 성장해 이미 경제적으로 군사적으로 동로마제국을 위협할 수준에 이르렀지요. 유스티니아누스가 535년 옛땅을 되찾기 위한 ‘고토회복 전쟁’에 나선 배경이었습니다. 약 20년의 전쟁 끝,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는 미소를 지었습니다. 이탈리아·북아프리카, 옛 로마가 전성기에 차지한 영토 대부분을 수복한 뒤였습니다. 그의 이름 뒤에는 이제 ‘대제’라는 명칭이 따라붙습니다.
동로마 제국은 이탈리아 땅에 ‘라벤나 총독부’를 설치합니다. 파견된 제국의 관리가 이탈리아를 통치하는 시스템. 베네치아 역시 라벤나 총독부를 통해 제국의 행정 시스템에 편입되었지요.
베네치아는 자치권을 어느 정도 인정받는 도시로 성장합니다. 라벤나 총독부와는 바닷길로만 연결되어서 직접 통치가 힘든 구조여서였습니다. 늪지대를 개간해 도시를 만든 특수성도 그들의 자치권을 인정하는 계기로 작용했습니다.
베네치아 사람들이 자신의 도시를 누구보다 잘 알았기 때문이었지요. 시민들이 직접 뽑은 ‘도제(Doge)’가 베네치아의 통치자가 된 이유였습니다. 이탈리아에서 도제가 있는 도시는 제노바 외에는 베네치아가 유일합니다.
751년에는 라벤나 총독부가 무너지기에 이르렀습니다. 이탈리아 반도의 난민들이 베네치아로 흘러들었지요. 베네치아는 자주 흔들렸지만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외세에 맞서 자치권에 대한 역량을 키워갔지요. 베네치아 공화국의 탄생이었습니다. 작지만 강한 나라가 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대제 샤를마뉴가 세운 프랑크 왕국이 베네치아에 눈독을 들였지만, 결코 넘어가는 법이 없었습니다. 자력에 기대지 않는 국가는 무너지기 마련이라는 간단한 국제사회의 명제를 베네치아가 증명하고 있던 셈이지요.
자립을 결심했을 때 국력이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베네치아는 동로마 제국의 힘이 약해지자 본인들이 지중해 무역 도시가 되기를 자처합니다. 각 도시에 물산과 사람을 나르고, 정당한 이득을 취했습니다.
유럽에서 무역을 하려는 이들은 모두 베네치아를 거쳐야 했습니다. 중동 레반트 지역부터 이집트 앞 홍해까지. 베네치아의 상선이 없는 곳이 없었을 정도입니다. 중국까지 여행해 ‘동방견문록’을 쓴 마르코폴로도 베네치안입니다.
베네치아 정부는 금융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실험을 단행합니다. 베네치아 정부 이름의 채권을 발행한 것입니다. 세계 최초의 ‘공채’ 였습니다. 채권은 일정 이자를 주고 돈을 빌리는 계약.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가 자기 신용을 이용해 국채를 발행하듯, 베네치아도 우량한 정부의 힘을 기반으로 돈을 민간으로부터 조달한 것이지요. ‘프레스티티’라는 이름의 공채가 처음으로 발행된 사건이었습니다.
베네치아가 긴급하게 돈을 조달한 데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식민 모국이었던 동로마 제국과 군사적 갈등이 임박해서였습니다. 동로마 제국 황제 마누엘 1세는 1171년 베네치아 상인을 모두 수용소에 억류하고 재산을 몰수하는 조치를 단행했지요(후에 십자군으로 참전한 베네치아 군사들이 이슬람 국가와의 싸움 대신에 동로마 제국을 침략한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보유한 재산 규모에 따라 채권 구매량도 할당 되었지요. 매년 5퍼센트의 이자를 지급하기로 했지만 원금을 갚는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최초의 공채는 이렇듯 강제성을 띤 모습이었지요.
모든 베네치아인은 정부의 채권자가 된 셈이었습니다. 이 채권으로 조달한 자금 덕분에 베네치아는 동로마 제국에 맞설 함대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베네치아 정부는 원금 상황을 차일피일 미뤘습니다. 지중해 국가간 갈등이 쉽게 사그라지지 않아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서였습니다. 시간이 흐른 뒤 베네치아 시민들은 자신들의 채권을 내다 팔기 시작했습니다. 2차 시장의 등장이었습니다.
실제로 베네치아 국채 채권값은 비교적 정치적 안정기였던 1376년까지는 액면가의 80~100%로 팔렸지만, 이후부터 1441년까지는 40~60%까지 떨어집니다. 빚에 허덕이던 베네치아 정부가 이자 지급을 연체했기 때문입니다.
다른 도시국가와 전쟁에서도 국채는 유효한 자금조달 수단이었습니다. 페라라와 전쟁에서도, 제노바와의 갈등 속에서도 밀라노와 결전을 벌일 때도 그랬습니다. 베네치아에서 이제 국채가 제도화되기에 이르렀지요. 미우나 고우나 베네치아 시민들은 이 국가가 잘 되기를 빌 수밖에 없었습니다. 국채가 휴지 쪼가리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베네치아의 국채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이들이 있었습니다. 가톨릭 교회와 수도승들이었습니다.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건 기독교에서 엄히 금지하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상업권력과 교회권력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일이었지요. 유대인들이나 하던 일을 기독교 정권이 공공연히 벌이고 있다니요.
14세기 철학자 니콜라스 드 앙글리아는 “프레스티티는 베네치아 시민이 강제로 사야하는 채권으로, 그 안에는 욕망이 들어있지 않다”고 옹호했습니다. 다른 채권과는 달리 봐야 한다는 뜻이었지요. 교회권력도 점점 ‘국채’를 인정하게 되는 분위기였습니다. ‘공공재정’으로 포장된 ‘국채’는 이제 기독교 교리에 어긋나지 않은 정당한 금융행위로 자리를 잡게된 것이지요.
베네치아에서는 사라졌지만 국채는 이제 만국의 것이었습니다. 지난해 미국 국채 시장의 규모는 32조 달러로 추산됩니다. 세계 금융을 주도하는 미국 주식시장 40조달러와 비교해도 크게 뒤지지 않습니다. 금융시장의 거대한 축이 이탈리아의 작은 도시에서 시작된 셈이지요. 이렇듯 금융의 역사는 번영의 역사입니다.
ㅇ도시국가 베네치아는 국채를 최초로 발행한 나라로 꼽힌다.
ㅇ세금만으로는 인프라 구축· 전쟁 등 수 많은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서였다.
ㅇ조달한 돈으로 그들은 동로마제국의 수도까지 점령하기도 했다.
ㅇ금융혁신이 도시국가를 강대국가로 만든 것이다.
<참고문헌>
ㅇ윌리엄 N 게츠만, 금융의 역사, 지식의날개, 2023년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오늘의 운세 2024년 8월 17일 土(음력 7월 14일)·2024년 8월 18일 日(음력 7월 15일) - 매일경제
- 인구가 14억인데 금메달은 ‘0’…인도 ‘이것’ 잡느라 스포츠 신경 못 쓴다는데 - 매일경제
- “광복절 쓸데 없는 기념입니다”…나훈아 19년전 콘서트 발언 ‘재조명’ - 매일경제
- “내 딸만 할 수 있다”…‘걸리면 끝장’ 김정은이 금지시킨 이것 뭐길래? - 매일경제
- 유망주라더니 상장 첫날부터 20% 뚝…공모주 투자자 초상집 - 매일경제
- 독도 그림 빼란 요구에 日 수출 거절…국내서 ‘돈쭐’난 이 업체, 어디? - 매일경제
- 도로 위 떼쓰던 아들, 두고 돌아선 엄마…결국 사고나 뒤늦게 오열 - 매일경제
- ‘김여사 명품백’ 수사 부담 느꼈나…검찰 “외부판단 구해보겠다” - 매일경제
- "9월엔 아무도 우릴 기억 못할걸요…새로 시작해야 롱런" - 매일경제
- 박재홍-테임즈 넘었다! 韓 최연소-최소경기 30-30 가입, ‘제2의 이종범’ 김도영 다짐 “40-40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