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돈 벌고 싶은데 미국 눈치가”…한국에 필요한 생존전략은 [Books]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맹국이란 이름으로, 우리는 미국의 통제와 억제에 어느 선까지 맞장구를 쳐야 할까.
한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가 '국가 안보를 의지하고 있는 미국, 경제 성장을 좌우하는 중국' 사이에서 어떤 태도와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 딜레마에 빠진다.
한국 정부가 중국과 경제적·정치적으로 생산적 관계를 유지한다고 해서 미국이 훼방을 놓을 순 없다는 것이다.
미국은 G7을 통해 러시아·중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면서 한국과 호주도 이 과정에 끌어들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한국을 향해 “중국과의 제한적인 건설적 관계를 유지하라”고 조언한다. 한국 정부가 중국과 경제적·정치적으로 생산적 관계를 유지한다고 해서 미국이 훼방을 놓을 순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오히려 한국 정부의 그와 같은 확고한 기조가 미국과 다른 동맹국들의 평화 의지를 북돋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덧붙인다.
어려운 상황임은 분명하다. 특히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중 갈등은 심화했다. 중국공산당 지도부는 미국과의 경쟁을 의식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지지했다. 한 몸이 된 러시아와 중국, 이들에 반대하는 미국·유럽·태평양 동맹국 간 전선은 고착화됐다.
미국은 G7을 통해 러시아·중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면서 한국과 호주도 이 과정에 끌어들였다. 지정학적 분열 속에 위치한 한국은 러시아·중국과 강한 마찰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저자는 “한국으로서는 이 같은 흐름에 적응하는 것 말고는 다른 선택이 없다”고 말한다. 만약 올해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승리한다면, 중국에 대한 경제 제재, 첨단 기술 등은 더 강경해질 것이다. 다만 저자는 “민감한 첨단 기술 분야 외에 다른 부문에서 중국과 좋은 경제적 관계를 맺지 말아야 할 까닭은 어디에도 없다”고도 짚는다.
문제는 러시아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도 미국과 유럽의 러시아 제재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한국도 러시아와 관계를 회복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러시아가 훗날 북한을 지원할 가능성도 더 커졌다. 이런 맥락에서 중국과의 관계 유지가 중요해진다. 저자는 한편으론 중국의 팽창을 억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G7(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캐나다)의 외연 확대도 주장한다. 주요 7개국에 한국과 호주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서론에서 제시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적 격랑 외에도, 신냉전을 이해하기 위해 20세기와는 다른 오늘날 중국과 미국의 특징, 다자주의의 종말 등 국제 질서의 변화, ‘글로벌 사우스’(제3세계나 신흥국)와의 협력 방안 등을 논한다.
로빈 니블렛의 신냉전, 로빈 니블렛 지음, 조민호 옮김, 매경출판 펴냄, 2만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오늘의 운세 2024년 8월 17일 土(음력 7월 14일)·2024년 8월 18일 日(음력 7월 15일) - 매일경제
- “광복절 쓸데 없는 기념입니다”…나훈아 19년전 콘서트 발언 ‘재조명’ - 매일경제
- 인구가 14억인데 금메달은 ‘0’…인도 ‘이것’ 잡느라 스포츠 신경 못 쓴다는데 - 매일경제
- “내 딸만 할 수 있다”…‘걸리면 끝장’ 김정은이 금지시킨 이것 뭐길래? - 매일경제
- 도로 위 떼쓰던 아들, 두고 돌아선 엄마…결국 사고나 뒤늦게 오열 - 매일경제
- 유망주라더니 상장 첫날부터 20% 뚝…공모주 투자자 초상집 - 매일경제
- 국가 비상상황인데 ‘아빠 찬스’ 굳건…지지율 6% 막내딸, 총리 임명 강행 - 매일경제
- 독도 그림 빼란 요구에 日 수출 거절…국내서 ‘돈쭐’난 이 업체, 어디? - 매일경제
- “영업이익률 3년새 20% 뛰었다”…경기 침체 와도 끄떡없다는 이 종목 - 매일경제
- 박재홍-테임즈 넘었다! 韓 최연소-최소경기 30-30 가입, ‘제2의 이종범’ 김도영 다짐 “40-40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