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기억] 김 알렉산드라의 ‘열세 걸음’

2024. 8. 17. 00: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뭉우리돌을 찾아서’ 시리즈 중 러시아 하바롭스크 김 알렉산드라 순국지(추정). ⓒ김동우
세계 일주를 하던 청년 김동우가 ‘독립운동 사진가’로 변곡점을 찍은 곳은 인도 델리다. 무굴제국의 성으로 알려진 레드 포트(Red Fort)가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서 빛나는 성과를 거둔 ‘인면전구공작대(印緬戰區工作隊)’가 훈련하던 곳임을 알게 된 그는, 중국 상해 임시정부를 주축으로 한 독립운동이 어떻게 이처럼 멀리 떨어진 인도와 연관되어있는지 의아했다. 의문을 쫓다 보니 그동안 몰랐던 100년 전 역사와 함께 유럽에서 중미까지 예상을 뛰어넘는 범위로 독립운동사적지들이 산재해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그는 세계 일주를 멈췄고,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독립운동의 현장들을 홀로 찾아 헤매는 어렵고도 외로운 여정을 시작했다.

홍범도 장군이 활약하던 연해주부터 사후에 한 기의 묘로 남은 카자흐스탄까지, 장군이 넘어야 했던 길들을 사진가 김동우도 따라 넘었다. 독립운동을 하다 서른셋 나이에 처형된 김 알렉산드라가 처형 직전 마지막 소원으로 우리나라 13도를 그리며 열세 걸음을 걸었던 러시아 하바롭스크의 무심한 바위 위를 김동우도 걸었다. 멕시코와 쿠바를 오가며, 애니깽 농장에서 중노동으로 번 돈을 독립운동자금으로 임시정부에 보냈던 노동자들의 후손도 만났다. 2017년 4월부터 중국·일본·러시아·네덜란드·미국·쿠바 등 전 세계 10개국에 흩어져 있는 독립운동 흔적을 발로 쫓고 사진과 글로 기록해온 것이다.

2019년에 처음 전시와 책으로 발표한 작업의 제목 ‘뭉우리돌을 찾아서’의 뭉우리돌은 둥글둥글하게 생긴 큰 돌을 뜻하는 우리말로, 『백범일지』에 나온다. 일제 순사가 형무소에 투옥된 김구 선생에게 “지주가 전답에서 뭉우리돌을 골라내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니냐”라고 하자, 그 말을 외려 영광으로 여긴 백범이 “오냐, 나는 죽어도 뭉우리돌 정신을 품고 죽겠고, 살아도 뭉우리돌의 책무를 다하리라” 다짐하는 부분에 박혀있다.

희미해져 가는 역사의 기억을 기록으로 분명히 하고 있는 이 작업은, 사진가 자신이 ‘뭉우리돌 정신’이 없었다면 하기 어려웠을 일이다. 독립운동 사진가 김동우를 응원한다.

박미경 류가헌 관장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