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iphering 'all this mess' (KOR)

2024. 8. 16. 09: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언젠가 누군가는, 이 난장 속에서 쓸모 있는 걸 찾아낼 거야."

이 편지는 그의 유서가 되었다.

그 내용이 담긴 갈루아의 마지막 편지는 '인류 역사상 가장 심오한 문헌'으로 평가된다.

갈루아의 발견이 전해진 것도 그 보물의 가치를 믿어 준 친구, 슈발리에 덕분이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fter this, I hope there will be people who will profit by deciphering all this mess.” This is how Évariste Galois (1811-1832) ended the letter to his friend Auguste Chevalier.

Kim Sang-hyunThe author is a professor of mathematics at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After this, I hope there will be people who will profit by deciphering all this mess.” This is how Évariste Galois (1811-1832) ended the letter to his friend Auguste Chevalier. It was already dawn, and the night was too short to write everything about the great discovery. The morning came, and the 20-year-old Galois headed for a duel. The letter became his will. The funeral of the revolutionary fighting to end the monarchy developed into a riot of the Republicans. This is depicted in "Les Misérables" (1980) as “Do You Hear the People Sing?”

However, he was completely disregarded as a mathematician. In his school days, he was considered a snob who pretended to be a genius. He failed to get into the university of his choice twice. A teacher who administered the high school graduation exam said that he had never seen a student who knew so little. One math test supervisor believed in his genius and that he could get into another university.

Évariste Galois (1811-1832) [KIM JI-YOON]

The topic of his research was as broad as his ambition. He wanted to find a solution to all polynomial equations. He discovered that all polynomial equations had hidden symmetry. It was a revolutionary idea, but his explanation was clumsy. Even great mathematicians like Augustin-Louis Cauchy, Johann Carl Friedrich Gauss and Siméon Denis Poisson did not recognize the value. Later, the mathematical world began to realize the greatness of his discovery. Galois’ discovery he made during a year of imprisonment due to revolutionary activities and the last letter containing his findings are considered the most profound literature.

The more I review students, their talents seem to be a treasure hidden in the field. It is hard to gauge until it is fully pronounced. I use various standards, but I fear being remembered in history as an examiner who turned down Galois or Einstein. What I try to do is to be in the student’s shoes. Galois’ discovery remains today because his friend Chevalier believed in the value of the treasure.v

밭 속의 보물김상현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

“언젠가 누군가는, 이 난장 속에서 쓸모 있는 걸 찾아낼 거야.”

친구 슈발리에를 향한 편지는 마무리되었다. 어느덧 새벽이었다. 위대한 발견을 모두 적기에 하룻밤은 너무 짧았다. 동은 곧 텄고, 스무 살의 에바리스트 갈루아(1811~1832)는 결투장으로 향했다. 이 편지는 그의 유서가 되었다. 군주제 폐지를 주장하는 유력 혁명가. 갈루아의 장례식은 일련의 사건들과 맞물려 공화주의자의 폭동으로 번졌다. 영화 레미제라블에서 ‘민중의 소리가 들리는가’ 장면으로 그려진 봉기이다.

하지만 수학자로서는 철저히 외면당했다. 학창시절부터 천재인 척하는 ‘잘난체쟁이’로만 몰렸다. 지나친 비약과 들끓는 심성 때문이었다. 원하던 대학에는 두 번 낙방했다. “이렇게 아무것도 모르는 학생은 처음이다.” 고등학교 졸업시험을 주관했던 한 선생의 평이다. 어렴풋한 그의 천재성을 믿었던 수학 시험관 덕분에 그나마 다른 한 대학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의 연구 주제는 야망만큼이나 광활했다. 모든 방정식의 해를 찾는 문제였다. 그는 방정식마다 숨겨진 대칭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혁명적인 아이디어였으나 설명은 서툴렀다. 코쉬·푸아송·가우스와 같은 대가들도 그 진가를 알아보지 못했다. 사후 십수 년이 지나서야 수학계는 그 발견의 위대함을 깨닫기 시작했다. 혁명운동으로 투옥되었던 한 해 동안의 발견. 그 내용이 담긴 갈루아의 마지막 편지는 ‘인류 역사상 가장 심오한 문헌’으로 평가된다.

심사를 거듭할수록, 학생의 재능은 밭 속에 숨겨진 보물처럼 느껴진다. 완전히 꺼내볼 때까지 제대로 가늠하는 것은 어렵다. 기준을 이리저리 대보지만, 갈루아나 아인슈타인을 떨어뜨린 심사관으로 역사에 남는 것 아닐까 두렵다. 그나마 노력하는 것은, 학생의 입장에 서 보려는 약간의 따뜻한 시선이다. 갈루아의 발견이 전해진 것도 그 보물의 가치를 믿어 준 친구, 슈발리에 덕분이었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