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년 관통한 우리네 삶 이야기…시민 손에 재탄생한 노작 홍사용의 연극 ‘제석’

이나경 기자 2024. 8. 15. 20: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작시민극단 산유화의 작품 ‘제석’ 포스터. 시민극단 산유화 제공

 

“이것이 우리 집의 섣달그믐이다….”

95년 전 희곡이 시민의 손에 의해 재탄생했다. 1920년대 후반 서울 변두리 셋방살이를 하는 한 몰락한 양반 가문의 이야기는 2024년 우리네 삶에 어떠한 의미를 가질까. 고달픈 삶을 견디게 하는 것은 ‘웃음’일터, 21세기 시민이 그린 연극 ‘제석’은 애달픈 서민의 이야기를 밝고 유쾌한 한바탕 웃음으로 풀어냈다.

2024 경기예술활동지원사업 ‘모든예술31’에 선정된 노작 시민극단 산유화의 ‘제석’이 오는 17일과 18일 양일간 화성시 노작홍사용문학관 산유화극장에서 개최된다. 작품은 부제 ‘노작의 길을 걷다’에서 드러나듯, 노작 홍사용 선생을 기리며 그가 1929년 집필한 희곡 ‘제석’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했다.

■ 100여 년 전 희곡, ‘시민’이 이어낸 과거와 현재의 삶

노작 홍사용(1900~1947)은 일제 강점기던 1920년대 초 낭만주의 문학운동을 이끌었던 인물로 ‘나는 왕이로소이다’, ‘그것은 모두 꿈이었지마는’, ‘봄은 가더이다’ 등을 저술한 시인이다. 화성에서 유년 시절을 보낸 그는 기미독립운동 당시 학생운동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으며 이후 화성으로 귀향해 문학 창작에 몰두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화성에는 그의 호를 딴 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 2011년 결성, 노작홍사용문학관 소속 노작 시민극단 ‘산유화’는 과거 노작 선생이 그의 동료들과 조직한 극단 ‘산유화회(山有花會)’의 뜻과 정신을 이어받았다. 선생은 시라는 장르를 통해 유명해졌지만 손수 희곡 작품을 쓰고, 직접 출연하는 등 생전 희곡이나 연극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받쳤다. 한 세기가 흘러 노작 선생의 꿈과 열정은 그의 활동무대였던 화성을 중심으로 삼아 직장인, 주부, 자영업자 등 연극에 대한 열정을 가진 시민들로 구성된 순수 시민극단이자 지역 극단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극단 산유화 소속 시민 배우들이 연극 ‘제석’의 연습에 매진하고 있다. 시민극단 산유화 제공

■ 서울 변두리 셋방살이, 한 가족 앞에 나타난 ‘도깨비’

노작 선생의 ‘제석’은 자녀가 쓴 외채로 인해 몰락한 양반 출신 가족의 섣달그믐을 배경으로 한다. 누구는 설빔을 맞추고, 동네는 떡방아 찧는 소리로 요란한 때 이 가족에겐 정산하지 못한 방세를 받으려 집주인이 찾아오게 된다.

극단 ‘산유화’의 작품 줄거리는 이러하다. 1920년대 후반, 몰락한 양반 가문의 노인 김정수는 설을 보내기 위해 서울 변두리 셋방살이하는 큰아들 인식의 집을 찾는다. 한때 남부럽지 않게 살았던 노인은 작은아들의 사업 실패로 인해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졌다. 유학까지 다녀온 인식이지만 밥벌이조차 만만치 않고, 밀린 방세를 받으러 온 집주인에게 돈을 빼앗기다시피 한다. 가족 모두가 기다리던 인식은 온종일 바깥을 돌아다니며 겨우 돈을 마련하지만, 그마저도 외상값으로 내어주고 만다.

애달프고 슬픈 이야기지만 극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밝고 가벼우며 유쾌하다. 각색과 연출을 맡은 황이선 감독은 슬픔을 웃음으로 승화시켰다. 무엇보다 산유화의 작품에서 특별한 점은 우리에게 익숙하고 친숙한 도깨비를 등장시켰다는 점이다. 원작 ‘제석’에서는 무대 배경으로 설정된 구들, 창문, 문, 인두(화로)를 물건에 깃들어 인간사에 관여하는 도깨비로 의인화했다. 원작과는 다른 또 다른 매력이 무대를 찾은 관객에게 어떠한 감동을 줄지 관전 요소다.

이남우 노작시민극단 산유화 단장은 “우리에게 도깨비는 전통적으로 집을 보호해 주고, 수호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며 “도깨비가 가족에게 어떠한 의미가 될지, 원작과는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1929년 作, 소시민의 삶 크게 달라지지 않아”

95년 전 희곡 연극 ‘제석’은 지금의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 이 단장은 “1929년 시대의 모습과 2024년 지금을 살아가는 평범한 소시민의 삶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1929년에 쓰인 작품인데, 원작에 나타난 셋방살이의 모습이나 부동산 등 집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지금과 별반 다를 바 없음을 이야기해 보고자 했다”며 “그 속에는 절망에서도 ‘바람’을 잃지 않고 ‘희망’을 고대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담겨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광복절쯤에 공연을 하게 돼 특히 더 의미가 있는 것 같다”며 “노작 선생으로 인해 우리와 같은 평범한 시민에게 연극을 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노작 선생과 그의 작품을 지역민에게 알리는 계기가 돼 뜻깊다”고 덧붙였다.

전석 무료관람이며 예매는 노작홍사용문학관 누리집을 통해 가능하다.

이나경 기자 greennforest21@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