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땐 `유망` 1년 뒤 `부실기업`…증권사 상장업무 도마위
5년간 상장사 12곳 관리지정·상폐
주관 증권사에 과장 전망 지적도
증권사들이 상장을 주관하며 '유망기업'이라고 홍보한 기업들이 5년도 되지 않아 대거 부실기업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iM증권(옛 하이투자증권)은 최근 5년간 주관한 5개 기업 가운데 1곳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됐고, 한국투자증권이 상장을 주관한 우리벤처파트너스는 상장 1년 반만에 자진 상장폐지에 나섰다. 주관사들이 상장 당시 실사를 진행하고 성장성이 확실하다고 평가한 것과 달리 빠르게 재무상태가 악화되면서 상장 주관업무 역량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코스피와 코스닥에 신규 상장한 기업 중 12곳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 폐지된 것으로 집계됐다.
관리종목은 상장회사에 부도가 발생하거나 유동성 부족, 자본잠식, 공시의무 위반 등으로 상장폐지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투자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지정한다. 통상 자본금 50% 이상 잠식, 한 달간 시총 50억원 미만, 회생절차 돌입 등 최악의 상황에 지정되기 때문에 관리종목에 지정되면 '부실기업'으로 간주된다.
기업이 상장심사에 통과하기 위해서는 기존 경영성과와 함께 기업경영의 계속성과 경영투명성 및 안정성 등을 평가받는다. 주관사는 실사 등을 통해 기업의 재무상황, 성장성, 기업지배구조 등을 문서화하는 업무를 맡는다.
이같은 상장심사를 거쳐 상장에 성공한 것은 결국 주관사와 거래소 등이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안정적이고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상장 1년도 되지 않아 관리종목에 지정되는 기업이 나오면서 증권사가 기업공개(IPO) 실적을 위해 기업의 향후 전망을 부풀리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대신증권이 주관해 지난해 8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시큐레터는 지난 4월 관리종목에 지정됐다. 사유는 2023 사업연도 재무제표가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의견 거절'을 받으면서다. 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은 회계부정이 의심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iM증권이 2020년 12월 상장을 주관한 TS트릴리온은 4년여 만에 파산과 회생절차를 신청하며 관리종목에 지정됐다. 당초 TS트릴리온 상장은 삼성증권 등이 주관을 맡았지만, 소송 리스크 등으로 상장이 지연되자 당시 IPO 부문 확대를 추진하던 iM증권으로 주관사를 바꿔 상장했다.
최근 5년동안 상장을 주관한 회사 중 가장 많은 부실이 발생한 증권사는 한국투자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었다. 한투증권이 2020년 주관한 티와이홀딩스(재상장)와 2021년 상장시킨 NPX(옛 바이옵트로)가 모두 지난 3월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신한투자증권이 2022년 6월 상장시킨 위니아에이드는 이듬해 바로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하며 관리종목에 지정됐고, 현재 계속기업 불확실성 사유를 해소하지 못하면서 상장폐지 위기다. 이에 앞서 2020년 주관한 엠에프엠코리아도 올해 관리종목에 지정됐다.
하나증권이 상장을 주관한 포인트모바일은 2년 만인 2022년 관리종목에 지정됐고, 올해 4월에야 해제됐다. 이밖에 DB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이 주관한 회사에서도 각 1곳씩 부실기업이 발생했다.
상장 후 5년도 되지 않아 상장폐지된 기업도 2곳이나 나왔다. NH투자증권이 2019년 상장을 주관한 코리아센터는 3년여 만인 2022년 다나와에 흡수되며 상장 폐지됐고, 한국투자증권이 주관해 2021년 상장한 우리벤처 파트너스는 1년 6개월여 만인 지난해 자진해 상장폐지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IPO를 주관하기 위해 실적보다 높은 공모가를 받아내주겠다고 공공연하게 말하고, 청약 참가율을 높이기 위해 당장 실적이 없는 기업이 2년 뒤 엄청난 영업이익을 올릴 것이라고 홍보한다"며 "특히 기존 IPO 주관 실적이 부족한 증권사들이 우선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성장성이 부족한 기업을 상장시키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실사 과정에서 1~2년 만에 부진한 실적으로 상장폐지 요건이 발생하거나, 자진 상폐에 들어갈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이는 상장업무 부서의 역량 부족"이라며 "자진 상폐 계획을 알고도 상장을 주관했다면 이는 투자자를 기만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파두의 '실적 부풀리기 상장 의혹'으로 상장 주관사인 한투증권과 NH투자증권이 압수수색을 받는 등 주관사에 대한 책임론이 확대되고 있지만, 금융당국이나 거래소가 방관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거래소의 상장심사나 발행회사가 제출한 서류에 대한 검증 작업을 강화하고, 금감원 역시 증권신고서에 대한 검증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당국과 거래소 등은 지난 5월 IPO 제도 손질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금융투자협회 인수업무 규정에 실적이나 재무건전성 관련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금투협 관계자는 "지난 5월 당국과 함께 IPO 주관사 책임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고 후속 절차로 관련 내용들을 지속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남석기자 kn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끼어드는 차 피하려다 화물차 `꽈당`…원인 유발한 캠핑카는 그대로 떠나
- 승객에 플래시 비추고 항공권 검사…변우석 `과잉 경호` 4명 입건
- "저수지에 탯줄 달린 영아 시신 떠 있다"…신고 받고 경찰 인양
- "김주애만 할 수 있다고?"…北, `시스루·수탉머리` 금지령
- "해파리 무서워 휴가 망쳤다"…독성 해파리 유입 역대급
- [트럼프 2기 시동] `행정부 충성파로 신속 구성한다"
-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13곳 적발… 중기부 "매월 현장조사"
- 공수 뒤바뀐 여야… 국힘, 1심 선고 앞두고 `이재명 때리기` 집중
- `이사회 2.0` 도입 제시… 최태원 "사후성·평가로 역할 확대"
- 몬스테라 분갈이 네이버에 검색하니 요약에 출처까지… "`AI 브리핑` 검색 길잡이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