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모의 흰 피부가 돋보이는 이유 [으른들의 미술사]

2024. 8. 15. 1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세기 활동한 프랑스 르네상스의 대표 화가인 장 푸케(Jean Fouquet)가 그린 '세라핌에 둘러싸인 마돈나'는 벨기에 안트베르펜 왕립 미술관의 하이라이트 작품이다.

이 작품이 눈에 띄는 것은 독특한 성모의 모습 때문이다.

가슴을 드러낸 성모라는 점과 희디흰 피부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때문에 푸케가 그린 성모는 아기에게 젖을 먹이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며 아기 그리스도 역시 젖을 먹으려고 하고 있지 않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장 푸케, 세라핌에 둘러싸인 마돈나, 1450년 경, 패널에 유채, 93x85㎝, 안트베르펜 왕립미술관.

15세기 활동한 프랑스 르네상스의 대표 화가인 장 푸케(Jean Fouquet)가 그린 ‘세라핌에 둘러싸인 마돈나’는 벨기에 안트베르펜 왕립 미술관의 하이라이트 작품이다.

이 작품이 눈에 띄는 것은 독특한 성모의 모습 때문이다. 가슴을 드러낸 성모라는 점과 희디흰 피부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유모의 손에 자란 귀족 아이들

가슴을 드러내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성모 도상은 중세 말 유행한 성모 유형이다. 중세 시대 귀족들은 아이를 시골에 있는 유모에게 맡겨 키우게 했다. 모유는 아기에게 최상의 면역체의 공급원이자 최고의 영양분이었다. 그러나 영유아 사망률이 높았던 시기에 모유마저 먹지 못한 아기들의 사망률은 더 높았다.

엄마와 떨어진 아기는 유모의 젖을 먹고 컸기 때문에 친모보다 유모에게서 유대감과 안정감을 느낀다. 영국 왕실도 20세기까지 아이를 유모에게 맡겨 키우는 전통을 유지했었다.

찰스 3세도 유모의 손에 자라 어머니인 엘리자베스 2세보다 유모에게서 더 친밀감을 느꼈다고 한다. 다이애나 비는 이 전통을 끔찍이 싫어해 자신이 직접 두 아들을 키웠다.

벨기에 안트베르펜 왕립미술관에서 관람객들이 장 푸케의 작품을 관람하고 있다.

어머니와 여성 사이

중세 시대 그려진 성모들은 엄마로서 어린 그리스도를 보호하고 있다. 성모는 하늘과 지상을 연결하는 인간이자 성인이다. 성모는 조건 없는 사랑을 상징하며 모든 이의 어머니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성모는 항상 자애로운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푸케가 그린 성모는 중세 성모와 다르다. 허리가 잘록하고 봉긋한 가슴을 지닌 성모는 어머니라기 보다 관능적 여성에 가깝다.

그녀의 가슴은 어머니의 가슴이 아니라 여성의 가슴으로 보인다. 때문에 푸케가 그린 성모는 아기에게 젖을 먹이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며 아기 그리스도 역시 젖을 먹으려고 하고 있지 않다.

성모의 모델

푸케가 그린 성모는 사실 샤를 7세의 정부였던 아녜스 소렐(Agnes Sorel·1422~1450)을 모델로 그린 것이다. 샤를 7세는 20대 초반인 아녜스를 보자마자 사랑에 빠졌다. 아녜스는 샤를 7세의 총애를 등에 없고 사치스럽고 향락적인 생활을 유지했다. 그녀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그녀를 시기, 질투하는 세력도 점점 많아졌다.

아녜스는 넷째 딸을 낳다 사망했다. 이때 아이도 같이 사망했다. 당시에는 그녀가 산욕열이나 병 혹은 독살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자들은 수은 중독에 의한 사망으로 진단했다. 그녀의 흰 피부를 보면 이해가 되기도 한다. 당시 여성들은 비현실적으로 하얀 피부를 원했다. 흰 피부에 대한 여성들의 열망은 집착에 가까웠다. 물론 당시 사람들은 수은에 대해 무지했으며 수은 중독의 위험성을 몰랐다.

사망 원인을 정확히 밝힐 수 없는 지금, 사망 원인보다 여전히 더 궁금한 것은 그녀의 미백 비결이다. 15세기나 21세기나 미백에 대한 열망은 사라지지 않는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