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사'의 노력으로 문해력 키우려는 어른들을 위한 책
(지디넷코리아=안희정 기자)매년 9월 8일은 유네스코가 문맹 퇴치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1965년 제정한 ‘세계 문해’의 날이다. 한국의 문맹률은 세계 최저 수준이지만 실질 문맹률로 따지면 얘기가 달라진다. 22개 경제개발기구(OECD) 가입 국가 중 19위를 기록할 만큼 하위권이기 때문이다. 실질 문맹률 22%. 한국의 청소년 열 명 중 세 명은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성인 열 명 중 일곱 명은 글을 읽고도 무슨 뜻인지 모른다. 이는 글자를 알되 글은 모른다는 소리다.
문해력과 어휘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유선경 작가는 책 '어른의 어휘력'에서 “문해력이 떨어지면 복잡한 일이나 일상에서 요구하는 것에 대처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준을 갖추기 어렵고, 새로운 직업이나 신기술 등 새로운 학습을 수행하기 어렵다(P.26)”고 밝혔다. 새로운 언어적 체계를 익히고 익숙하게 활용하는 능력은 사회의 적응 능력과도 직결된다는 의미다.
이러한 열풍 때문인지 최근 '하루 한 장 나의 어휘력을 위한 필사노트(유선경, 위즈덤하우스)'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 책은 어휘력의 중요성을 일찌감치 간파한 유 작가가 올해 3월 새롭게 내놓았는데, 책과 노트를 융합하여 만들어진 필사노트는 유 작가가 선별한 134개의 동서고금의 필사하기 좋은 문장들이 작품 그리고 작가의 글과 함께 수록돼 있다.
끈기를 갖고 나의 글씨에 오롯이 집중하는 필사는 긴 호흡의 독서법이다. 차분함과 더불어 집중력 상승도 꾀할 수 있다. 예스24 종합 베스트셀러 1위를 달리고 있는 하루 한 장 나의 어휘력을 위한 필사노트는 곧 30쇄를 앞두고 있다.
어휘력과 문해력에서 더 나아가 맞춤법에 집중한 책도 있다.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에 올랐던 이주윤 작가의 ‘요즘 어른을 위한 최소한의 문해력(빅피시)'는 필수 어휘 70가지를 추려 족집게처럼 제안한다. 잘 갖춰진 글에 한두 개의 맞춤법 오류가 신뢰도에 치명타를 날리기에 맞춤법은 직장인들에게 필수 영역이다. 사소한 맞춤법 하나가 이미지, 성과, 관계까지 좌지우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교양 있는 어른들이 갖춰야 할 맞춤법을 주인공이 등장하는 스토리형 일러스트로 그려내 흥미 요소를 놓치지 않았다. 저자는 청소년들의 문해력 저하와 어휘력 부족 문제도 해결하고자 ‘요즘 10대를 위한 최소한의 맞춤법’도 펴냈다.
필사의 인기에 힘입어 도서와 함께 필사노트를 증정하기도 한다. 인문학자 김종원 작가의 '내 언어의 한계는 내 세계의 한계이다(마인드셋)' 언어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작가의 철학을 언어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의 세계를 담아낸 책이다. 20세기를 대표하는 철학자이자 천재로 소개되는 비트겐슈타인은 개인의 세계를 언어 세계의 한계와 동일시하며 삶에서 축복의 문을 열기 위해선 사색과 언어의 수준이 핵심이라고 말한 바 있다. 책은 비트겐슈타인의 주옥같은 명언들과 함께 필사 문장을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자연스럽게 사색을 통한 자신과 마주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어휘들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사전처럼 만들고 관련 문장들을 그러모아 펴낸 책도 눈에 띈다. '표현의 집, 군말인가 아닌가(김성훈, 부크크)'는 교육계에 종사해 온 작가가 알기는 쉽지만 쉽게 설명하거나 표현하기가 어려운 이들을 위해 자신만의 뜻으로 해석하여 펴낸 사전 형식의 도서다. 첫 책에는 ‘ㄱ(기역)’ 부터 ‘ㅂ(비읍)’까지 작가가 꼽은 단어들이 소개돼 있다. 가슬가슬하다, 강퍅하다, 까끄름하다, 너름새, 노깨, 닭달하다, 들큼하다, 마닐마닐하다, 밉광스레, 버르적버르적, 비끄러매다, 빙충맞다 등 익숙하지 않은 재미난 순수 한글 표현들이 함께 실려 있다. 1권을 시작으로 작가는 총 4권까지 출간을 목표로 두고 있다.
필사에 대한 과학적 검증과 연구도 이어진다. 문해력 연구자인 아네 망엔 노르웨이 스타방에르대 교수는 “화면으로 정보를 본 사람들은 내용을 더 적게 이해하고 기억한다”고 연구 결과 발표한 바 있다. 매튜 리버만 캘리포니아주립대 신경과학과 교수는 “글 쓰기는 걱정거리를 완화시킨다. 종이에 마음을 표현하는 것은 중요한 감정조절 행동”이라며 “안 좋은 일을 당하거나 감정 조절이 필요한데 이 때 글을 쓰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며 이럴 때 글을 쓰면 감정조절 효과가 나타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손을 쓰면서 메모하면 기억이 더 잘되고 인지력도 상승한다. 프랑스 마르세유대학교 진-루크 벨래이 교수팀은 사람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알려지지 않은 알파벳(unknown alphabet)을 가르쳤다. 한쪽은 손으로 글자를 쓰면서 배우게 했고, 다른 한쪽은 키보드를 사용해서 배우게 했다. 1주일 뒤 알파벳 기억력을 측정한 결과 읽고 쓴 그룹의 사람들의 성적이 훨씬 더 좋았다. 손을 쓰는 일을 자주 하면 치매위험이 30%나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AI 일상화 시대에 필사는 아날로그적 힘을 갖는다. 연필의 사각사각 질감과 종이에 번지는 펜과 잉크의 속도, 필압과 미끄러지는 손 끝이 만들어내는 필사 열풍은 당분간이 아닌 숏폼과 자극적인 콘텐츠에 중독된 현대인들에게 어휘력 상승과 문해력 강화라는 은은한 등불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희정 기자(hjan@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간] '붓다가 된 어느 흑인 사형수'…감옥에서 내면의 자유를 찾다
- [신간]내면 치유…"나와 세상을 변화시키는 자기 치유의 힘"
- 여당, 포털 압박 또…"뉴스 플랫폼 편향성 해결해야"
- "CGV에서 임영웅 공연 실황 보세요"
- NHN벅스, 새 제작 앨범 ‘토닥토닥’·‘따스하게’ 8월 발매
- 배달앱 수수료 7.8%로 인하...'배민 상생안' 극적 합의
- '스무돌' 맞이한 지스타 2024…주요 게임사 대표 모였다
- 설마했는데…삼성전자, '4만전자' 됐다
- 경계 사라진 비즈니스...엔비디아·어도비 등 ‘빅테크 혁신 팁’ 푼다
- 이석우 두나무-마이클 케이시 DAIS 협회장 "블록체인 산업, 외부 의존도 낮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