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Z세대, 들고 일어나다…케냐가 촉발한 시위 물결[딥다이브]
아프리카 젊은이들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케냐에서 Z세대가 주도한 시위가 증세 철회라는 성과를 거두자, 이에 자극받은 나이지리아와 우간다 젊은이들도 거리로 뛰쳐나왔죠.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빵세’에 폭발한 케냐 Z세대
2024년 6월 25일, 케냐가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Z세대(1997~2010년생) 시위대가 수도 나이로비에서 경찰의 저지선을 돌파해 국회의사당을 습격했습니다. 세금 인상을 골자로 한 재정법안이 국회에서 막 과반 찬성을 받아 통과된 직후였죠. 국회의원들은 비밀 터널을 통해 도망쳤습니다. 의회당 창문이 깨지고, 의자가 나뒹굴고, 건물에 불이 붙었습니다.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실탄을 발사했고, 이날만 14명이 사망했습니다.
케냐 Z세대를 각성케 한 건 지난 5월 케냐 정부가 발표한 재정법안입니다. 그동안 세금이 붙지 않았던 빵과 금융서비스에 16%, 식용유에 25%의 소비세를 새롭게 부과하는 내용이 포함됐죠. 과자·연료·휴대전화·통신요금 등에 붙는 각종 세금도 대폭 올리기로 했습니다. 생리대·기저귀 세금 인상도 예고됐고요.
청년들은 서민증세안에 즉각 분노했습니다. 케냐는 전체 실업률은 12.7%이지만 청년층(15~34세) 실업률은 무려 67%에 달하죠. 일자리가 없어 생계비 위기에 내몰린 이들은 빵과 식용유 값 인상을 견딜 수 없었습니다. 국회의원들에게 재정법안 반대를 요구하자는 움직임이 시작됩니다. X와 틱톡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RejectFinanceBill2024’ 해시태그를 공유한 이들이 모였습니다. AI 기술을 이용해 만든 이미지·노래·영상이 시위를 알리는 데 활용됐고요. 자발적인 청년들의 결집이 6월 중순 전국적인 시위 물결을 만들어냅니다.
세금 인상 철회에도 시위가 멈추지 않는 건 그만큼 케냐 젊은이의 좌절과 분노가 크단 뜻입니다. 어찌 보면 증세안은 낙타 등을 부러뜨린 마지막 지푸라기 하나였을 뿐이죠. 지긋지긋한 가난과 불평등, 만연한 부패와 무능한 지도층에 지친 케냐 청년들은 지금 당장의 변화를 요구합니다. 그리고 이는 그 이웃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3배로 뛴 쌀값, 배고파 못 살겠다
아프리카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동시에 가장 젊은 대륙입니다. 인구의 70%가 30세 미만이죠. 하지만 아프리카 대통령의 평균 연령은 62세입니다.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는 나이 든 리더는 아프리카 Z세대를 좌절시키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아프리카 최대 인구대국(인구 2억1850만명) 나이지리아도 마찬가지입니다. 2020년 나이지리아 청년들은 악명높은 경찰 특수강도수사대(SARS)의 해체를 요구하는 ‘#EndSARS‘ 시위를 벌였지만 결국 실패했습니다. 정권은 바뀌지 않았고, 2023년 대선에선 집권 여당의 대선후보 볼라 티누부가 승리했죠.
하지만 증세안 철회에 성공한 이번 케냐 시위는 나이지리아 청년들에게 영감을 줬습니다. 8월 1~10일 전국적으로 열린 나이지리아 시위의 슬로건은 ‘나쁜 정부 종식(#EndBadGovernance)’. 수십만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습니다. “우리는 배고프다”라는 외침이 이어졌습니다. 소외된 북부 지역에선 폭력시위와 함께 러시아 국기가 등장하기까지 했습니다. 보안군의 총에 사망한 시위 참가자만 최소 13명에 달한다죠.
전 세계 인플레이션이 둔화한 지금 나이지리아 물가만 거꾸로 가는 이유는 정부 정책에 있습니다. 티누부 대통령은 지난해 취임하자마자 과감한 경제개혁 정책을 잇달아 시행합니다. 외환시장을 자유화하고, 50년 넘게 이어져 온 연료 보조금을 폐지했죠. 외국인 투자자나 세계은행·IMF가 환영하는 시장 친화적 정책이었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기대한 정책 효과(외국인 투자자 귀환)를 기다릴 새 없이, 정책의 충격이 가난한 사람들을 덮쳤습니다. 외환시장 자유화로 통화 가치가 1년 만에 71% 폭락하면서, 밀·비료 같은 수입품 가격이 무섭게 치솟았고요. 보조금 폐지로 휘발유 가격이 1년 동안 223% 폭등하자 현지에서 생산된 야채 가격도 덩달아 급등합니다. 이 나라에 사는 1억 명 넘는 빈곤층엔 재앙입니다.
시위는 일단락됐지만, 아직 해결된 문제는 없습니다. 젊은이들의 깊은 좌절과 리더십의 붕괴를 확인해 줬을 뿐이죠. 그래서 이번 ‘배고픔의 시위(hunger protest)’는 어쩌면 아직 끝이 아닐지 모릅니다.
우간다·가나에도 퍼진 물결
나이지리아뿐만이 아닙니다. 7월 23일 우간다 젊은이들은 38년 동안 집권한 무세베니 정부의 부패에 항의해 수도 캄팔라를 행진했습니다. 경제 비상 상황인 가나에선 지난달 말 청년층이 계획한 대규모 시위를 고등법원이 금지하기도 했습니다. 케냐 시위가 만들어낸 새로운 물결이 아프리카 다른 나라로 퍼지고 있습니다.
나이로비 케냐타대학교의 자비에 이차니 박사는 이런 움직임이 “아프리카 정부에 대한 경종”이라고 말합니다. “정부가 신속하게 움직여 국민의 불만을 해결하지 못하면 대중이 일어날 것”이라는 뜻입니다.
물론 아프리카의 청년 시위가 과거 아랍의 봄이나 최근 방글라데시 시위처럼 정권 교체 혁명으로까진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득권층에 그동안 누려온 권한을 일부 내려놓고 한발짝 양보해야 한다는 깨달음을 주는 효과를 준다면 그것만으로도 성공이 아닐까 싶습니다. 젊은 대륙 아프리카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합니다. By.딥다이브
방글라데시 반정부 시위, 영국 극우세력의 반이민 폭력 시위, 베네수엘라의 대선 불복 시위 등. 요즘 전 세계적으로 눈에 띄는 대규모 시위가 참 많습니다. 각각 그 나라의 정치와 경제에 대한 중요한 스토리를 담고 있지만, 왠지 그 중에서도 아프리카가 가장 끌리더군요. 주요 내용을 요약해드리자면.
-지난 6월 케냐에서 세금 인상에 반대하는 대대적인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청년 실업률이 치솟은 가운데, 빵에 16%의 세금을 매긴다는 소식에 Z세대가 분노했습니다. 루토 대통령은 증세안을 철회했지만, 이제 시위대는 대통령 사임을 요구합니다.
-케냐 시위의 성과는 다른 아프리카 나라의 젊은이들에게도 자신감을 심어줬습니다. 살인적인 물가 급등에 시달리는 나이지리아에서는 8월 1~10일 전국적인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굶주린 청년들은 정치인의 약속을 더이상 신뢰하지 않습니다.
-시위가 우간다, 가나로도 번지면서 아프리카 정부들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청년 실업난과 불평등, 무능하고 부패한 지도자라는 공통점이 아프리카 Z세대를 뭉치게 만듭니다. 이 시위가 변화의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한애란 기자 haru@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순찰차 뒷좌석에서 ‘가출 신고’ 40대 女 숨진 채 발견
- “지갑 없어졌어” 지인과 다투다 흉기로 살해…30대 여성 구속
- 백지영, 전기세 폭탄 맞고 충격…“에어컨 다 꺼” 얼마 나왔길래?
- 물에 레몬즙만 섞어 마셨더니…놀라운 건강 효능
- 우크라 3㎞ 추가 진격…러 군수품 중요 보급로 끊었다
- 고양이에 생선 맡긴 꼴…주차요원에 키 줬더니 타고 도주
- 인터스텔라 박성혜 대표, "알렛츠 성장 비결? MZ세대 아닌 3040 프리미엄 시장 노렸죠"
- 6살 아들 런닝머신 뛰다 숨지자 30대 父 “뚱뚱한 것 같아서”…징역 25년
- [IT애정남] 버벅거리는 무선 마우스, 어떻게 해결할까요?
- 지드래곤, 카이스트 교수 이어 재단 명예이사장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