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crets to Japan’s elite sport success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메달 20개를 목표로 나선 일본 대표팀은 '개최국 이점 없이' 이번에도 종합 3위의 성과를 올렸다.
한국도 당초 금메달 5개란 목표를 배로 초과 달성했다.
일본은 16개 종목에서 메달리스트를 배출하며 다양한 종목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번 올림픽 남자 농구에서 유일한 아시아팀은 일본이었는데, 예선에선 은메달의 주인공인 프랑스를 꺾을 뻔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JUNG WON-SEOK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The Japanese national team — which aimed to win 20 gold medals in the Paris Olympics — ranked third again this time without any advantage of hosting the Games. Korea set the goal of winning five gold medals but won more than double. The two countries are celebrating the outstanding results, but they are a bit different.
First of all, Team Korea’s medals are concentrated in certain fields. Korea won 32 medals, second best in history and tied with results from the 2008 Beijing Olympics. But those medals were won in 11 sports. Half of the total medals came from shooting, fencing and archery, and 80 percent of the gold medals were from these three events. Korea had the most concentrated medal-winning events among the top ten. Japan produced medalists in 16 sports, standing out in many fields.
Japan has a clear advantage in ball games and track and field. Korea couldn’t advance to the Olympics in basketball, football and volleyball. The only Asian team in men’s basketball at the Olympics was Japan, which almost beat France — the silver medalist — in the preliminary round. Japan was leading France by four points, but tied with only 16 seconds left in the fourth quarter and lost in overtime. Had it not been for the “bad call” controversy, Japan could have won the game. In men’s volleyball, Japan also suffered a come-from-behind defeat against Italy in the quarterfinals, but overall the country proved that it plays neck and neck with others on the world stage. In track and field events, it was not uncommon for Japanese athletes to appear on the final stage.
Before the 2021 Tokyo Olympics, Japan launched the Japan Sports Agency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5 to implement an active elite sports policy. If each sports association was responsible for improving athletes’ performance in the past, the government is actively supporting sports now. The budget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is currently 10 billion yen ($67.6 million) per year. It was less than 5 billion yen in 2014, but the amount is still maintained after exceeding 10 billion yen in 2019. Through this, athletes consistently participate in games and training abroad and receive support from technical analysis teams and excellent coaches.
This created synergy for daily sports. In Japan, students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in clubs at schools, and they have the culture of valuing the experience of dedicating time to club activities at school.
After curriculum and classroom hours were drastically cut in 1987, the generation born afterward spent more time playing sports and chose them as their career path. Even if they don’t become successful athletes, the wide sports base offers a venue for them to make money. As Korea’s elite sports system is at a crossroads, this is something to consider.
일본의 엘리트 체육이 성공하는 이유정원석 도쿄 특파원
금메달 20개를 목표로 나선 일본 대표팀은 '개최국 이점 없이' 이번에도 종합 3위의 성과를 올렸다. 한국도 당초 금메달 5개란 목표를 배로 초과 달성했다. 두 나라 모두 신통한 성적 탓에 긍정적인 분위기 일색이지만, 양상은 조금 다르다.
먼저 메달의 쏠림 현상이다. 한국은 32개의 메달을 따 2008년 베이징올림픽 때와 동률인 역대 2위 성적을 냈지만, 메달은 11종목에 쏠렸다. 이른바 '총·칼·활' 3종목에서 전체 메달의 절반을 획득했고, 금메달 80%가 몰렸다. 종합 10위 안에 드는 나라 중 가장 종목 집중도가 컸다. 일본은 16개 종목에서 메달리스트를 배출하며 다양한 종목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구기 종목과 육상 종목에서 일본은 확실한 우위를 점해나가고 있다. 한국은 농구와 축구, 배구에서 출전권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이번 올림픽 남자 농구에서 유일한 아시아팀은 일본이었는데, 예선에선 은메달의 주인공인 프랑스를 꺾을 뻔했다. 4쿼터 종료 16초를 남기고 4점 차로 리드하다 동점을 허용하고 연장 끝에 패배했다. '오심' 논란만 아니었다면 이겼을지도 모르는 경기였다. 남자배구도 8강에서 이탈리아를 상대로 다잡은 경기를 역전패했지만, 세계 무대에서 대등하게 겨룰 수 있음을 증명했다. 육상 트랙 종목에서도 일본 선수들이 결승 무대에 등장하는 모습은 결코 보기 드문 장면이 아니었다.
일본은 도쿄올림픽을 앞둔 지난 2015년 스포츠청을 신설하며 엘리트 체육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전엔 선수 경기력 향상을 종목별 협회가 책임졌다면, 국가가 적극 지원하는 방향으로 튼 것이다. 경기력 향상을 위한 사업 예산은 현재 연간 100억엔(930억원)에 달한다. 2014년엔 50억엔을 밑돌았지만, 2019년 100억엔을 넘은 뒤 현재도 유지되고 있다. 이를 통해 선수들은 꾸준히 해외 경기와 합숙에 참여하고, 기술분석팀이나 우수 코치진의 지원을 받게 됐다.
이는 넓은 생활 체육 저변 하에서 시너지를 일으켰다. 일본에선 학교 내 부 활동을 '부카츠'(部活)라고 하는데, 학창시절 부 활동에 전념을 다 해보는 경험을 중시하는 문화가 있다. 특히 1987년 이후 교과 내용과 교육시간이 대폭 줄어들자 이후 태어난 세대는 체육 활동에 시간을 할애하다 그 길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었다. 비인기종목이라고 해도 체험해보고 도전해보는 이들이 생겨났다.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한다 해도 넓은 저변의 존재는 벌이와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이 돼 주고 있다. 전환점을 맞은 한국의 엘리트 체육이 고민해야 할 지점이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Fans demand Suga leave BTS after electric scooter DUI incident
- Civil complaint filed to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over BTS member Suga's attendance
- 'I couldn't stop thinking about her': Korean weightlifter Park Hye-jeong recalls late mother in tearful silver medal win
- Covid-19 in Korea could spike in late August as vacations end, health authorities warn
- Former members of Fifty Fifty make their own girl group
- 'Not in my backyard': EV-phobia spreads across Korea
- AfreecaTV streamer explains viral footage with HYBE Chairman Bang Si-hyuk
- Mercedes reveals 5 EVs have same batteries as Incheon fire EQE
- Buddhist monks play Cupid — with a 60% success rate, no less — as Korea struggles to lift low birthrates
- Seoul swelters through 14th day of heat wave as tropical nights hit 23-day str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