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의 산실' 임청각, 2025년까지 복원 완료

김진호 기자 2024. 8. 13. 09: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립운동의 산실'인 경북 안동시 임청각 복원사업이 광복 80주년을 맞는 2025년까지 완료된다.

13일 시에 따르면 중앙선 철로 이전을 전후해 본격적으로 추진된 임청각 보수·복원사업은 총사업비 280억원이 투입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일제로부터 국권을 찾은 지 80년 가까운 세월이 흘러서야 임청각을 복원할 수 있게 됐다"라며 "독립운동의 성지 안동, 그 중에서도 독립운동의 산실이었던 임청각의 완전한 복원은 우리 민족의 자존감을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사업비 280억원 투입
재현가옥 2동 복원
임청각 역사문화공유관 건립 등
복원 중인 임청각 (사진=안동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뉴시스] 김진호 기자 = '독립운동의 산실'인 경북 안동시 임청각 복원사업이 광복 80주년을 맞는 2025년까지 완료된다.

13일 시에 따르면 중앙선 철로 이전을 전후해 본격적으로 추진된 임청각 보수·복원사업은 총사업비 280억원이 투입된다.

재현가옥 2동을 복원하고, 일제의 철도개설로 훼손된 임청각 주변 지형과 수목을 재정비한다.

임청각 진입부에는 석주 이상룡((1858∼1932)의 독립정신을 기리고 그 뜻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임청각 역사문화공유관이 들어선다.

주차장, 산책로, 소방시설 등 관람·편의시설도 재정비할 계획이다.

시는 사업완료 후 '나라가 없으면 가문도 개인도 아무 의미가 없다'는 신념으로 평생을 조국 독립에 헌신한 석주 이상룡의 정신과 삶의 향기를 전하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2018년 안동시와 국가유산청(당시 문화재청)은 철도 부설로 훼손되기 이전의 임청각과 그 주변을 옛 모습에 가깝게 복원·정비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종합적인 복원·정비 계획을 마련했다.

허주 이종악의 '허주부군산수유첩(虛舟府君山水遺帖)' 속 그림인 '동호해람(東湖解纜)', 1940년을 전후해 촬영된 사진과 지적도 등 고증이 가능한 자료에 근거했다.

임청각(근대) (사진=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석주 이상룡은 1858년 안동 임청각에서 태어났다.

유학자로서 구한말 항일의병운동에 적극 가담하고, 이후 협동학교 설립에 참여해 애국계몽운동에 힘썼다.

1910년 8월 일제에 의해 국권이 피탈 당하자 1911년 1월 54세 나이로 50여 명의 가솔과 함께 재산을 처분해 마련한 독립운동자금을 들고 만주로 망명했다.

망명 후 서간도 지역에 항일 독립운동단체 경학사를 만들고, 신흥무관학교의 전신이 되는 신흥강습소를 설립해 독립군을 양성하고 독립정신을 일깨웠다.

그는 망명 전 "공자·맹자는 시렁 위에 두고, 나라를 되찾은 뒤에 읽어도 늦지 않다"며 독립운동에 매진할 것을 다짐하고, 사당에 모신 조상 신주를 땅에 묻으며 독립 전에는 귀국하지 않겠다는 각오를 다지기도 했다.

1925년 임시정부가 국무령제로 바뀐 후 초대 국무령을 지냈지만 분열된 독립운동계에 회의를 느끼고 다시 간도로 돌아와 무장항일투쟁에 심혈을 기울였다.

모든 기득권을 포기하고 독립전쟁에 열정을 바친 숭고한 삶을 살았지만 끝내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1932년 5월 지린성 서란에서 74세로 순국했다.

복원사업 이전 임청각 앞으로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사진=안동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나라를 되찾기 전에는 내 유골을 고국으로 가져가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

유해는 해방 이후에도 오랜 세월 타국에 묻혀 있다가 1990년 고국으로 돌아와 안장됐다.

석주 이상룡이 태어난 전통한옥 임청각(臨淸閣)은 조선시대 형조좌랑을 지낸 이명이 1519년 지은 가옥으로, 이상룡을 포함해 아들과 손자 등 11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했다.

임청각은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 중 '동쪽 언덕에 올라 길게 휘파람을 불고 맑은 시냇가에서 시를 짓는다(登東皐以舒嘯 臨淸流而賦詩)'라는 시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99간의 기와집이었다고 알려진 임청각은 민가로서는 워낙 규모가 커 '도깨비가 세운 집'이라는 전설도 전해진다.

임진왜란과 일제 강점기 중앙선 철도 부설로 인해 일부가 사라져 현재 규모로 줄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일제로부터 국권을 찾은 지 80년 가까운 세월이 흘러서야 임청각을 복원할 수 있게 됐다"라며 "독립운동의 성지 안동, 그 중에서도 독립운동의 산실이었던 임청각의 완전한 복원은 우리 민족의 자존감을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h9326@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