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1호선 전철’ 개통 50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74년 8월15일은 지하철 1호선이 개통한 날이다.
서울역~청량리역에서 시작한 1호선은 오는 15일이면 50년이 된다.
서울역부터 청량리역까지 9개 역을 잇는 9.54㎞ 길이의 국내 첫 지하철이다.
지하철 개통 당시 재밌는 일화가 많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74년 8월15일은 지하철 1호선이 개통한 날이다. 서울역~청량리역에서 시작한 1호선은 오는 15일이면 50년이 된다. 광복절인 이날은 만원버스에 시달리던 시민들을 해방시킨 ‘역사적인’ 날이다.
지하철은 1960년대 이후 급속히 증가한 인구와 한계에 다다른 지상 교통을 극복하기 위해 추진됐다. 1974년 개통 당시 이름은 ‘종로선’. 서울역부터 청량리역까지 9개 역을 잇는 9.54㎞ 길이의 국내 첫 지하철이다. 우리 기술과 인력으로 결실을 맺어 열차가 첫 운행되던 날, 그러나 개통식은 침통한 분위기에서 조용히 치러졌다. 개통식 직전 국립극장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문세광의 총탄에 맞은 것이다.
지하철 개통 당시 재밌는 일화가 많다. 신발을 벗고 역사에 들어왔다는 어르신, 휴대전화가 없던 시절 약속 장소가 엇갈린 시민의 민원으로 환승역에 통합 출구 번호를 만들었다는 얘기 등이 있다.
지하철은 신문물의 상징이었다. 대중교통 체계가 지하철을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생활권이 새롭게 형성됐다. 역을 중심으로 땅값이 크게 올랐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생활문화도 바뀌었다. 지하철역은 만남의 장소가 됐고, 전동차에서 이동 시간에 신문과 책을 읽는 등 독서문화가 발달해 출판산업에 영향을 미쳤다.
청량리에서 출발한 1호선 전철은 남쪽으로 점점 확장됐고, 구로에서 인천과 수원으로 갈렸다. 이후 남쪽으로 충남 아산 신창까지, 북으로는 경기도 연천까지 연결됐다. 현재 1호선은 38선 넘어 최북단 연천역에서 최남단 신창역까지 203.6㎞ 구간을 달린다. 1호선 전철의 하루 운행 거리는 12만8천520㎞로 매일 지구 3.2바퀴를 도는 것과 같다. 이용자도 크게 늘었다. 첫해 2천900만명이던 수송 인원은 올해 상반기 2억7천303만2천810명에 달했다. 하루 수송인원으로 환산하면 약 8만명에서 150만명으로 증가했다.
50년간 승객 800억명을 싣고 지구 5만바퀴의 거리를 달린 1호선은 오늘도 시민들을 곳곳에 실어 나른다. 언젠가는 북한 땅까지 내달리길 기대해본다.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기일보, 네이버 뉴스 구독자 200만 돌파…"전국 1등 언론 향해 도약"
- 13년간 희망 전한 ‘키다리 아저씨’ [경기도 산타를 찾습니다]
- 러 국방 만난 김정은 "北, 러 주권·영토 수호 정책 지지"
- 검찰, 이재명 위증교사 1심 무죄에 항소…"판결 중대 하자"
- 용인 보평역 서희스타힐스 조합원들 “기부채납 비율 줄여야” 촉구
- 허위로 고용보험 가입해 실업급여 부정수급 98명 적발… 13억원 반환 명령
- 한국올림픽성화회, ‘체육단체장 선거제도 개선’ 세미나 개최
- ‘모마가 돌아왔다’…수원 현대건설, 도로공사 꺾고 2연패 탈출
- 사상 초유... 야, ‘예산 감액안’ 예결위 단독 처리에 여, 반발 퇴장
- 출산 지원금 1억 주는 인천시, 올해 출생아 수 증가율 8.3% ‘전국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