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약 없는 스마트오토밸리... 특화산업 역외 유출 막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고차 수출은 이제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해 있다.
중고차 수출상사 입주·지원 시설과 2만여대 규모의 중고차 전시장을 갖춘다.
옛 송도유원지 일대에 난립해 있는 중고차 수출상들을 이전, 집적화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기본적으로 인천항만공사의 땅을 중고차 수출업체에 재임대하는 구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고차 수출은 이제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해 있다. 연간 50만대 이상의 중고차가 전 세계로 팔려 나간다. 한해 6조원대 시장이다. 이 수출 시장의 80%를 인천이 차지하고 있다. 인천 지역 경제의 특화산업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그 산업적 환경은 열악하다. 관련 제도적 정비나 지원이 없어 영세·낙후성을 벗어나지 못한다.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가 ‘스마트오토밸리’ 조성에 나서 있다. 인천 남항 인근의 중고차수출클러스터다. 당초 사전 절차를 거쳐 올해는 착공하려 했다. 그러나 기약도 없이 늦춰질 상황이라고 한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경색과 주민 반대 때문이다. 인천 중고차 수출 산업의 역외 유출이 걱정이다.
스마트오토밸리는 인천항 남항 인근 50만3천여㎡(15만평)가 부지다. 이곳에 4천370억원을 들여 2026년까지 최첨단 친환경 중고차수출클러스터를 새로 짓는다. 중고차 수출상사 입주·지원 시설과 2만여대 규모의 중고차 전시장을 갖춘다. 정비소나 튜닝클러스터, 중고차 테마 공간 등도 포함한다. 옛 송도유원지 일대에 난립해 있는 중고차 수출상들을 이전, 집적화하는 사업이다.
스마트오토밸리의 민간사업 시행은 ㈜카마존이 맡고 있다. 시행사는 현재 사업을 수행할 PF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PF 시장이 얼어붙은 데다 사업의 수익성을 담보하지 못해서다. 이 사업은 기본적으로 인천항만공사의 땅을 중고차 수출업체에 재임대하는 구조다. 더욱이 공모사업인 탓에 임대료 수익도 시세의 절반 이하다. PF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은 구조다. 원래 올해 말 착공, 2026년 완공할 계획이었다. 사업 일정 맞추기가 물 건너 간 상황이라고 한다.
또 하나 걸림돌이 있다. 사업 부지 인근 주민들이 요구하는 사업들도 진척이 없다. 주민들은 중고차 수출단지의 환경 피해를 우려했다. 남항 우회 교량 건설과 연안부두 트램 우선 추진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들 사업도 답보 상태다. 인천지방해수청이나 인천시가 내부 검토도 마치지 못했다.
중고차 수출도 저절로 성장하는 산업이 아니다. 최근 세계 중고차 수출 시장의 중국 성장세가 가파르다. 한국과 일본, 중국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하다. 여기에 국내 다른 도시들도 중고차 수출 산업을 탐낸다. 군산, 평택, 당진 등 서해안 항구도시들이다. 이들 도시도 중고차수출복합센터 등을 지으려 한다. 결국 인천의 수출 물량이 대상이다. 중고차 수출상들이 인천에만 눌러 있으리라는 생각은 안일하다. 사업 구조를 고쳐서라도 스마트오토밸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균관대 유지범 총장, 대만국립정치대학교에서 명예 교육학 박사학위 받아
- [영상] “온 어린이가 행복하길”…경기일보‧초록우산, 제10회 경기나눔천사페스티벌 ‘산타원
- 어린이들에게 사랑 나눠요, 제10회 나눔천사 페스티벌 산타원정대 [포토뉴스]
- 이재명 “혜경아 사랑한다” vs 한동훈 “이 대표도 범행 부인”
- “수고했어 우리 아들, 딸”…“수능 끝, 이제 놀거예요!” [2025 수능]
- 지난해보다 쉬웠던 수능…최상위권 변별력 확보는 ‘끄덕’ [2025 수능]
- 평택 미군기지 내 불법 취업한 외국인 10명 적발
- ‘낀 경기도’ 김동연호 핵심 국비 확보 걸림돌…道 살림에도 직격탄 예고
- 직장 내 괴롭힘에 고작 ‘감봉 1개월’...경기아트센터, 솜방망이 처벌 논란
- [시정단상] 지방재정 안정화 정책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