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진주] 국기연에 이어 LH도? ‘IT 인력’ 대전 이전 추진
[KBS 창원] [앵커]
경남 혁신도시의 대표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 LH가 대전에 데이터센터 신설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계획대로라면 관련 인력 상당수가 진주를 떠날 수밖에 없어 보여, 올해 초 국방기술진흥연구원에 이어 또다시 논란이 일 전망입니다.
보도에 이대완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혁신도시의 LH가 최근 제2 데이터센터 신설에 나섰습니다.
대전 LH 연수원이 유력 후보지입니다.
2년 전,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대규모 '카카오톡 먹통 사태' 이후, 서버를 분산하라는 정부 방침에 따른 조치입니다.
본사의 전력과 공간 부족도 LH가 내세우는 명분입니다.
문제는 대전으로 옮겨가는 인력 규모입니다.
현재 LH의 관련 인력은 본사 직원 44명과 용역사 150명 등 모두 200여 명, 신설되는 제2 데이터센터가 메인 서버로 정해지면서, 상당수 인원의 이주가 불가피합니다.
가족까지 합치면 수백 명으로, 웬만한 공기업이 이전하는 규모입니다.
LH 측은 이번 계획이 부서 이전이 아닌 신설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인력 이동 계획은 부정하진 않았습니다.
[육지완/LH IT운영처 팀장 : "(제2 센터) 시설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 다만 저희의 시스템별로 효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지역 경제계는 걱정입니다.
수도권이 아닌 지역 간 이전에 규제가 없는 혁신도시법의 허점을 이용한 사실상 '쪼개기 이전'에 해당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신설될 데이터센터가 기존 시설과 얼마나 떨어져야 하는지 정부의 명확한 지침도 없기에, 왜 진주나 경남이 아닌 곳으로 가려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입니다.
[허성두/진주상공회의소 회장 : "LH의 신규 데이터센터 구축 검토가 향후 LH뿐만 아니라 타 공공기관에도 영향을 미쳐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점이 우려됩니다.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앞서 경남혁신도시의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지난 1월 1개 부서, 50명의 대전 이전을 추진하다, 지역 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습니다.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
최상목 “항공우주 분야 우수 외국인재 유치해야”
최상목 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12일) 사천 우주항공청과 우주항공 기업을 방문해 외국 인력 수급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항공우주 분야에서 우수한 외국 인재 유치의 필요를 강조하고 "외국인 정책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 상황"이라며, "지속가능한 외국인 정책 협업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경전선 ‘완사·횡천·북천’ 명예역장 운영
경상남도가 경전선 구간 무인역인 사천시 완사와 하동군 횡천, 북천역에 명예 역장을 둡니다.
무인역 명예 역장은 기차 승객이 타고 내릴 때와 안전 사각지대에서 사고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경상남도는 명예역장을 내년 2월부터 1년 동안 시범 운영합니다.
한려해상, 사천공항에서 ‘상괭이 사진전’
한려해상 국립공원사무소가 이달 말까지 사천공항에서 '토종 돌고래 상괭이 사진전'을 엽니다.
이번 사진전은 국립공원 사무소 직원과 자원봉사자가 2년 넘게 직접 촬영한 상괭이 사진 31장을 전시합니다.
상괭이는 우리나라 토종 돌고래입니다.
이대완 기자 (bigbowl@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안세영 “개인 스폰서 풀어달라”…문체부, 배드민턴협회 ‘이것’ 조사 [지금뉴스]
- “지인 데려와 설문 참여해달라”…제주드림타워 여론조사 왜곡 전말
- [현장영상]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이승만-김구 편가르기 안해…공개 토론하자”
- [현장영상] 광복회장 “후손들 격앙…경축식 안가는 게 옳다고 판단”
- 지진에 태풍까지 ‘관통’…일본 열도 ‘불안’
- 파리 올림픽에 북한 김정은이?…코스프레 이유 밝힌 호주 인플루언서 [현장영상]
- 배터리 닳도록 선착장서 ‘뱅뱅’…배 타기도 어려워진 전기차
- [현장영상] 국방장관 지명 김용현 경호처장 “강력한 힘 기초로 확고한 안보”
- 심우정 검찰총장 후보자 “정치적 중립 역할 최선”…인사청문 준비 본격 착수
- 지난달 가계대출 5.3조↑…주담대 증가세 이어져